수목탐구이야기

목련과 옥란속 61

1114 중국버들목련 = 중국 특산 망춘옥란(望春玉兰)

중국버들목련은 섬서 감숙 하남 호북 사천성 등 중국대륙의 중앙지역에서 자생하는 또 하나의 중국 고유의 희귀한 목련 수종으로서 원산지 중국에서나 학명 어디에도 버들이라는 이름이 없지만 우리나라에서 중국버들목련이라고 이름을 붙이고 있다. 최초 등록 당시인 2011년에는 학명 그대로 비욘디목련이라고 하였다가 최근 1~2년 사이에 국명을 변경한 것이다. 그 이유는 실제로 버들목련으로 등록된 일본 원산의 Magnolia salicifolia보다 잎이 더 좁고 길기 때문에 영어권에서도 Chinese willow-leaf magnolia라고 부르는 것을 따른 것으로 보인다. 일본 원산 버들목련과는 잎 모양 외에도 나무 높이나 꽃의 색상이나 크기와 모양 등에서 닮은 점이 매우 많다. 그렇지만 일본의 버들목련이 서구인들..

1113 백목련 '사와다스 핑크' - 황산목련 '와다스 핑크'로 오등록된 품종

그리고 우리나라 국표식에 황산목련 '와다스 핑크'라고 학명 Magnolia cylindrica 'Wadas Pink'인 원예품종이 등록되어 있으나 정체가 불명이다. 이런 이름으로 등록된 품종은 없다는 말이다. 일본 원예가 와다에서 유래된 백목련의 Magnolia denudata 'Wada's Japanese Clone'이라는 원예품종이 있으나 순백색 꽃이 피므로 부합하지 않고 핑크 색 꽃이 피는 비슷한 이름으로는 백목련의 또 다른 원예품종인 Magnolia denudata 'Sawada's Pink'라는 것이 있는데 이 품종의 오자가 아닌가 한다. 이 품종이라면 약한 핑크 색조를 띠고 있는 백색 꽃이 피는 종으로서 미국 앨라배마에서 K. Sawada라는 사람에 의하여 발견되어 미국의 유명한 목련 육종가 ..

1112 황산목련 - 중국 원산 또 하나의 아름다운 희귀 목련 수종

우리나라에 등록된 목련과에는 모두 300여 개 수종이 등록되어 있지만 아변종이나 원예종들을 제외한 원종 기준으로는 40개 종이 등록되어 있다. 그 중에서 백합나무속 2종을 제외한 38종을 통합론자들은 모두 하나의 목련속으로 분류한다. 하지만 목련의 최대 자생지인 중국에서는 이들을 특성에 따라서 22개 이상의 속으로 세분하여 분류하고 있다. 이질감이 있는 목련들을 모두 묶어서 하나로 통합하는 것보다는 이렇게 특성에 따라서 세분한 속명이 일반인들의 이해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하여 분리론에 따라서 목련과를 탐구해 왔다. 이제 그 막바지 우리 토종 목련을 비롯하여 백목련 자목련 등이 포함된 옥란속 즉 Yulania속을 탐구하고 있는 중이다. 우리나라에는 옥란(玉蘭)속 수종들은 모두 13종이 등록되어 있는데 그..

1111 자목련 '창덕'

우리나라 국가표준식물목록에 자목련의 원예품종으로 자목련 '창덕'이라는 국명에 학명 Magnolia liliiflora 'Changdok'로 2011년에 등록된 품종이 있다. 정말 오랫만에 보는 우리말로 된 품종명이라서 반갑기는 하다. 식물 전체를 통틀어도 우리나라서 개발하여 우리말로 이름이 붙은 원예품종이 매우 드문데 자목련에서 그 하나를 보게 된다. 목련 품종들 중에서는 천리포수목원의 설립자인 민병갈선생이 개발한 품종들이 더러 있으며 그 중에는 천리포수목원의 직원 이름으로 품종명을 붙인 목련 '김 군소'라는 학명 Magnolia 'Kim Kunso'는 나름대로 인기가 높아 널리 알려져 있는 편이다. 하지만 이 창덕은 누가 언제 어떻게 선종하여 개발하였는지에 대한 정보를 알 길이 없다. 그리고 제대로 알..

1110 자목련 '도리스'

자목련 '도리스'는 학명 Magnolia liliiflora 'Doris'로 우리나라 국표식에 2011년 등록되어 있는데 국제적으로는 수많은 목련 품종들의 재배와 유통으로 유명한 네덜란드 Piet Vergeldt Nursery의 품목에 2018년에 오르면서 널리 알려지기 시작한 품종이다. 그러니까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지기도 전에 우리나라에는 이미 도입되어 있었다는 이야기이다. 높이는 2~3m인 왜성종이고 와인 자색 큰 꽃을 오랫동안 피우는 것이 특징이라고 한다. 누가 개발한 품종인지 품종명 도리스가 뭐를 뜻하는지에 대한 정보는 보이지 않는다. 미국 뉴욕 Brooklyn Botanic Garden에서 자목련과 북미 원산 황목련을 교잡시켜 Magnolia x brooklynensis이라는 횡색 꽃이 피는 교..

1109 자목련 '오닐'

자목련 '오닐'은 미국 일리노이대학의 교수이자 목련 전문 육종가로 유명한 Joseph C. McDaniel (1912-1982)이 선종한 품종으로서 1973년 공개되었다. 3~4개의 꽃받침 모양의 화피편과 7~9개의 꽃잎 모양의 화피편으로 구성된 꽃은 크고 색상이 짙은 자색이며 개화시기가 조금 늦은 것이 특징이다. 표본 나무는 일리노이주 섐페인시 도심에 가면 있다고 하는데 아마 McDaniel교수가 일리노이대학 섐페인 캠퍼스 인근 민가에서 발견한 것 같다. 이 품종도 '니그라'와 마찬가지로 교잡종의 개발에 부모종용으로 많이 쓰인다. 색상이 '니그라' 못지 않게 흑자색인 경우도 보이지만 다소 연한 색상인 경우도 보인다. 품종명 'O'Neill'은 남자 이름인데 혹시 표본목 소유주의 이름이 아닌가 한다. 여..

1108 자목련 '니그라'

학명 Magnolia liliiflora 'Nigra'로 표기되는 자목련 '니그라'는 black라는 뜻을 가진 품종명 Nigra의 글자 그대로 꽃 색상이 매우 짙은 암자갈색 꽃이 피는 품종이다. 이 원예품종의 역사는 깊다. 대영제국의 최전성기를 이끌었던 빅토리아여왕시대의 초창기 식물 헌터 중 한 사람인 John Gould Veitch (1839 – 1870)가 1861년 일본에서 가져간 품종인데 8~10장의 화피편이 10 x 5cm 사이즈로 매우 크고 매우 짙은 흑자색 꽃을 피우는 품종이라고 묘사한다. 그래서 검다는 뜻의 Nigra라는 품종명을 붙여서 1883년 공개한 것으로 보인다. 자목련은 1790년에 일본으로부터 유럽에 최초 도입되었고 1792년 에 학명이 부여되었는데 초창기 도입 수종의 꽃 색상은..

1107 자목련 - 오랜 재배 역사를 가진 중국 원산의 관목

우리나라 일반인들 대부분이 목련으로 알고 있던 수종의 등록 정명은 백목련이고 등록명 목련은 우리 자생종으로 따로 있지만 우리가 잘 모르는 것과 마찬가지로 우리가 일반적으로 자목련이라고 알고 있는 키 큰 수종은 국표식에 진짜 자목련이라고 등록된 수종이 아니고 자주목련이라고 등록된 스프렝게리목련이거나 자목련과 백목련이나 여타 목련과의 교잡종들일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진짜 목련을 본 사람이 많지 않듯이 진짜 자목련을 알아보는 사람도 드물고 재배하는 정원은 더더욱 흔하지 않다. 그런데 목련은 비록 흔하지는 않지만 그 특성이 나름대로 뚜렷하여 쉽게 구분이 될 것 같지만 자목련은 스프렝게리목련이나 백목련과 자목련의 교잡종인 접시꽃목련 등 원예종들과 매우 흡사하여 그 정확한 실체를 파악하기가 쉽지 않을 듯하다. 그..

1106 털캠밸목련 '마하라니'

털캠밸목련 '마하라니'는 목련 그 중에서도 특히 옥란속 품종들의 육종으로 유명한 미국 캘리포니아 산타 크루즈에 사는 Todd Gresham( ~1969)가 개발하여 1964년 발표한 품종으로서 캘리포니아 산호세에 있는 W.B. Clarke Nursery에서 공급 받은 묘목에서 선종하였다고 한다. 광란형 신엽의 색상이 적자색이고 지름 25cm 크기의 백색 꽃이 컵과 컵받침의 형상으로 피는 것이 특징이라고 한다. 온난한 지역에서는 이른 봄 2월 중순부터 3월 상순까지 꽃을 피우는 조기 개화 품종이다. 품종명 Maharanee는 인도 산스크리트어로 왕비 또는 공주라는 뜻인데 그가 개발한 다른 품종명에 Maharaja라는 것이 있는데 이는 왕이라는 뜻이라고 한다. 혹시 개발자가 인도계 사람이 아닌지 궁금하다. ..

1105 털캠밸목련 '라나스' - 최고의 목련 품종 중 하나

털캠밸목련 '라나스'는 앞 게시글의 캠밸목련 '보드 힐'과 같은 탄생 배경을 가지고 있으며 그 특징 또한 매우 비슷하다. 원추형 수형에 24 × 15cm 크기의 잎은 넓고 두꺼우며 원종보다 주름이 깊고 꽃잎 즉 화피편은 12장으로 11 × 6cm 사이즈라고 묘사되어 있다. 의원을 지냈기에 흔히 M. P. Williams로 불리는 영국 콘월(Cornwall)에 있는 카헤이스(Caerhays)성 수목원의 John Charles Williams(1861~1939)가 1947년 발표하여 널리 알려진 품종이다. 이는 중국 운남지역 식물 채집으로 유명한 스코틀랜드 식물채집가 George Forrest(1873~1932)가 중국과 미얀마의 접경지대인 운남성 Salween강과 Shweli강 즉 중국명으로는 노강(怒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