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목련과 옥란속 61

1124 별목련 '루브라'

별목련 '루브라'는 학명 Magnolia stellata 'Rubra'로 표기되는데 품종명 rubra는 영어로 red color 즉 붉은색이라는 뜻이다. 그만큼 별목련 중에서는 가장 색상이 붉은 품종 중 하나이다. 이는 1925년 일본 출신 Koichiro Wada (1907~1981)가 일본에서 발굴하여 미국으로 도입한 품종으로서 진한 장미 핑크색으로 꽃이 피었다가 점차 색이 약간 옅어지기는 하지만 여전히 끝까지 핑크색을 유지하며 키가 제법 커서 거의 소교목에 가까운 특징을 보인다고 한다. 와다씨는 이 루브라 품종을 활용하여 또 다른 원예품종인 앞 게시글에서 본 별목련 '크리산테미플로라'를 개발하기도 하였다. Koichiro Wada는 일본 누마즈시(沼津市) 출신으로 요코하마에서 Hakoneya Nur..

1123 별목련 '로열 스타'

별목련 '로열 스타'는 화피편 25~30장으로 구성된 백설 같은 순백색의 꽃이 원종보다 약 1주일이나 열흘 정도 늦게 피며 속성으로 튼튼하게 잘 자라고 뿌리 나누기 등 번식이 용이한 품종으로서 미국 뉴저지주 네샤닉 스테이션(Neshanic Station)에 있는 John Vermeulen & Son Nursery에서 별목련 '워터릴리'라는 품종의 묘목에서 1947년 선종한 것이라고 한다. 그 후 1955년 발표되고 1960년부터 판매되었으며 1967년 네덜란드 Boskoop전시회에서 은상을 받은 바도 있고 2012년 영국왕립원예학회인 RHS로부터 우수 정원수 상인 AGM를 수상한 바도 있는 인기 품종이다. 원종보다 약간 늦게 피기 때문에 봄 늦서리를 피할 수 있어 냉해 피해가 적으며 개화기간이 약 2주일..

1122 별목련 '로세아'

별목련 '로세아'는 꽃 색상이 장미색이라서 Rosea라는 품종명이 붙은 별목련의 원예품종 Magnolia stellata 'Rosea'를 말한다. 사실 별목련은 원래가 백색에서 자홍색까지 꽃 색상이 다양하여 일본 원산지에서 자생하는 것 중에서도 색상이 매우 짙은 핑크색 꽃이 피는 나무들이 더러 있는데 이런 짙은 핑크색 꽃이 핀다고 Rosea라는 품종명을 붙인다는 것은 약간 억지 같은 느낌이 든다. 그래서 이런 품종명은 힘있는 자가 아니면 감히 붙일 수가 없는데 알고 보니 영국의 최대 원예 가문인 비치(Veitch)가문에서 1893년 일본에서 도입한 나무의 꽃 색상이 유난히 붉다고 붙인 품종명이라고 한다. 아무리 영향력이 막강한 가문이라도 이런 보통명사로 품종명을 붙이면 태클이 들어 오는 법이다. 미국 캘..

1121 별목련 '매시 핑크 폼' = 별목련 '로세아 매시'

별목련 '매시 핑크 폼'이라며 학명을 이상하게 Magnolia stellata 'Massey' Pink Form' 엉터리 따옴표를 사용하여 등록한 품종이 있다. 이런 품종은 없는데 아마 영국 RHS에서 Magnolia stellata 'Massey'에다가 pink form을 부기하여 Magnolia stellata 'Massey' pink form라고 표기한 것을 그렇게 등록한 것으로 보인다. RHS에서 그렇게 표기한 이유는 이 Massey라는 품종이 그다지 대단한 품종도 아니면서 이름이 헷갈리게 불명확하기 때문에 장미색이라는 것으로 추가로 표시한 것으로 보인다. 보아하니 이 품종은 1970년 영국 켄트주 켄터비리에 있는 Pickard, Magnolia Gardens의 1970년 카타로그에 장미빛이 도는..

1120 별목련 '킹 로즈'

별목련 '킹 로즈'는 Magnolia stellata 'King Rose'라는 이름 그 자체에서 꽃이 크고 색상이 핑크색이라는 뜻을 내포하고 있다. 하지만 그림상으로는 색상도 장미색이라고 하기에는 다소 연하고 꽃 사이즈도 특별하게 크다는 언급은 없다. 키는 10년에 2m 정도에 불과하다니 좁은 가정의 정원에 매우 적합한 사이즈로 보인다. 이 또한 앞 제인 플랫을 선종한 미국 서북부 오리건주 스프링필드에 있는 Gossler Farms Nursery에서 뉴질랜드에서 도입한 묘목에서 선종한 것으로 그들의 1988-89 카타로그에 수속됨으로써 알려진 품종이다. M. stellata 'King Rosea' 또는 M. stellata 'Rose King'이라고도 한다. 등록명 : 별목련 '킹 로즈' 학 명 : Ma..

1119 별목련 '제인 플랫'

별목련 '제인 플랫'은 미국 오리건주 스프링필드에 있는 Gossler Farms Nursery의 1984~85년 카타로그에 수록됨으로써 알려진 별목련의 원예품종인데 연한 핑크색 20~30개의 화피편으로 구성된 아름다운 꽃이 핀다. 이 품종은 같은 오리건주 포틀랜드에 있는 Jane and John Platt의 정원에서 발견하였기에 여주인 이름을 따서 'Jane Platt'이라는 품종명이 붙었다. 지름 10cm의 연한 핑크색 겹꽃이 매우 아름다워 2012년 영국 왕립원예학회인 RHS로부터 우수 정원수(AGM) 상을 받은 바 있다. 예로부터 일본에서 자생하는 별목련 중에서 색상이 핑크색을 Keiskei나 Rosea 변종이라고 하였는데 이 품종은 M. stellata 'Keiskei Flore Pleno'나 M..

1118 별목련 '돈'

별목련 '돈'은 학명 Magnolia stellata 'Dawn'로 표기된 것을 그대로 읽어서 '돈'이라고 하는데 정말 와닿지 않는 이름이다. 천리포수목원에서는 이를 별목련 '던'이라고 하던데 그게 그거 아닌가. '새벽' 이나 '여명'이라고 번역하여 이름을 붙이면 누가 세금이라도 받나? 아름다운 꽃 나무에다가 그냥 돈이라고 하니까 꽃잎이 너무 많아 어지러워 머리가 돌겠다는 뜻인지 금전이라는 뜻인지 여하튼 어울리지 않는다. 이 품종은 미국 정부기관에 근무한 언론인이자 국제목련협회 종신회원인 Harold C. Hopkins (1922~2014)라는 사람이 메릴랜드주 베서스다(Bethesda)라는 도시의 민가에서 발견한 품종으로 꽃잎이 최대 40장 이상인 연한 핑크색 꽃이 피는 품종이라고 하는데 1976년 미..

1117 별목련 '크리산테미플로라' = 별목련 '천리포'

우리나라 국표식(국가표준식물목록의 약칭)에 별목련 '천리포'라며 학명 Magnolia stellata 'Chollipo'로 2011년에 등록된 원예품종이 있다. 이는 천리포수목원의 민병갈 즉 Carl Ferris Miller박사가 털캠밸목련 '마하라니'를 도입하여 심어놓고 보니 이상하게 캠밸목련이 아닌 별목련 품종이 나왔다고 한다. 그래서 화피편이 20~30개나 되어 유난히 꽃잎이 많은 품종이라서 일단 민박사가 1987년에 잠정적으로 별목련 '천리포' 즉 'Chollipo'라는 품종명을 붙였다고 한다. 그런데 아마 나중에 밝은 핑크색에 꽃잎이 무려 40까지나 피어 마치 국화(Chrysanthemum) 꽃처럼 보인다고 'Chrysanthemumiflora' 또는 'Chrysanthemiflora'라는 품종..

1116 별목련 '센테니알'

별목련 '센테니알'은 1872년 창설된 미국 하버드대학 부설 아놀드수목원의 100주년 기념의 일환으로 100주년이라는 뜻인 Centennial이라는 품종명을 붙여서 1972년에 발표한 별목련의 원예품종이다. 그 후 오리건주 스프링필드에 있는 Gossler Farms Nursery의 1975~76년 카타로그에 올려지면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부모종 중 하나가 핑크색 꽃이 피는 별목련 '로제아'라서 백색 꽃이 기본이지만 가끔 핑크색 꽃이 피기도 하는데 꽃의 사이즈가 지름 13cm로 10cm 미만인 원종에 비하여 크다는 점이 특징이다. 학명은 Magnolia stellata 'Centennial'인데 이를 센테니얼이라고 하지 않고 센테니알이라고 등록되어 있어 정말 영 적응이 안된다. 센테니얼로 고쳐야 되는 ..

1115 별목련 - 일본 원산으로 겹꽃이 피는 왜성종

별목련은 키가 일정하지는 않아 원산지에서는 최대 10m까지도 자란다고는 하지만 대부분 최대 5m 정도만 자라는 관목 또는 소교목으로서 우리나라에 등록된 목련들 중에서는 자목련 다음으로 키가 작다. 일본 열도 중간쯤에 위치한 나고야시(名古屋市) 남쪽 태평양을 둘러싼 이세만(伊勢湾) 주변 지역인 아이치현(愛知県) 기후현(岐阜県) 미에현(三重県) 등에서만 극히 일부 자생하는 멸종위기 일본 고유종이다. 비록 우리나라 국가표준식물목록에는 2011년에 등록되어 있지만 훨씬 전에 국내에 도입되어 나름대로 널리 알려져 두산백과 등 일부 도감에도 등록된 수종이다. 아마 왜성종이라서 분재로 인기가 높은 것도 하나의 원인일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미 1971년에 부산 금강식물원에서 채집한 표본이 경상대에 남아 있는데 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