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4 우산고로쇠 우산고로쇠 (국내서는 고로쇠나무로 통합 분류) 우산고로쇠 (국내서는 고로쇠나무로 통합 분류) 이제 우리나라 자생종 단풍나무 중에서 더 좁게는 고로쇠나무 중에서 마지막 남은 수종 우산고로쇠를 알아보자. 울릉도 식생을 조사하던 일본학자에 의하여 발견되어 일본 식물학자 나카이.. 무환자나무과/ 단풍나무속 2018.02.28
443 왕고로쇠나무 왕고로쇠나무 왕고로쇠나무 우리 자생종 고로쇠나무 중 하나인 왕고로쇠나무를 알아보자. 지난 1월 10일 긴고로쇠를 포스팅한 이래 바쁜일이 있어서 거의 40일 동안 나무공부를 쉬었다가 돌아왔더니 리듬이 깨져 약간 감이 떨어지고 있다. 왕고로쇠나무는 우리나라와 일본에서만 자생하.. 무환자나무과/ 단풍나무속 2018.02.28
442 긴고로쇠와 집께고로쇠가 과연 우리 자생종이 맞는가? 긴고로쇠 긴고로쇠 털고로쇠나무의 아종 중에 긴고로쇠라는 것이 우리 자생종으로 국표식에 등록되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낡은 학명 Acer mono f. dissectum으로 등록되어 있지만 국제적으로는 학명을 Acer pictum subsp. dissectum으로 표기를 한다. 여기서 dissectum은 깊게 갈라졌다는 뜻으로 잎의 .. 무환자나무과/ 단풍나무속 2018.01.10
441 털고로쇠나무 - 고로쇠나무들의 원종 털고로쇠나무 잎 뒷면에 털이 밀생하여 비로드같은 느낌이라고 한다. 털고로쇠나무 과거 한동안 고로쇠나무의 변종으로 분류되던 털고로쇠나무는 일본과 우리나라에만 자생하는 키가 매우 큰 단풍나무이다. 당초 식물분류학을 창시한 린네가 세계 각 지역의 식물을 조사하기 위하여 여.. 무환자나무과/ 단풍나무속 2018.01.10
440 고로쇠나무 그리고 털고로쇠나무와 그 아종들 고로쇠나무 고로쇠나무 미국 아놀드수목원에 있는 나무이다. 고로쇠나무는 20m까지 자라는 매우 큰 나무이다. 고로쇠나무는 세상에 이만큼 학명 체계가 혼란스러운 수종도 있을까 싶을 정도로 복잡하다. 우리나라 자생종 고로쇠는 모두 8종이지만 국제적인 기준으로는 긴고로쇠의 이명.. 무환자나무과/ 단풍나무속 2018.01.09
439 만주고로쇠, 우리 자생종 고로쇠나무들의 분류 만주고로쇠 만주고로쇠 높이도 적당하고 수형이 아름답다. 앞에서 우리 자생종 단풍나무 종류는 거의 다 살펴 보았고 이제 고로쇠나무들만 남았으나 이 고로쇠들이 국제적으로 제대로 통일된 이론이 없어 나라마다 뒤죽박죽이고 국내 도감에서도 제대로 정리가 안되어 있어 그야말로 .. 무환자나무과/ 단풍나무속 2018.01.03
438 신나무 신나무 이렇게 아름다운 단풍을 보려면 양달에 있어야 한다. 신나무 열매가 매우 좁게 벌어지며 아직 수꽃이 남아 있다. 우리나라 전역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단풍나무가 바로 신나무가 아닐까 한다. 우리 주변에 매우 흔한 단풍나무인데도 그다지 눈에 띄지 않는 이유는 가을 단풍.. 무환자나무과/ 단풍나무속 2017.12.30
437 부게꽃나무 부게꽃나무 화서가 가지끝에서 나와 총상 원추화서로 직립하여 단풍나무로서는 특이한 모습을 보인다. 부게꽃나무 잎자루에는 짧고 부드러운 털이 있기도 하고 없기도 한다. 단풍나무속으로 분류되지만 좁은 의미의 단풍나무와는 모습이 다른 또 하나의 우리 자생종 부게꽃나무라는 것.. 무환자나무과/ 단풍나무속 2017.12.26
436 청시닥나무 그리고 시닥나무와 구분 포인트 청시닥나무 잎이 얕게 갈라지며 5갈래라고는 하지만 실제로는 밑의 2갈래는 매우 작게 갈라진다. 청시닥나무 가을에 단풍은 여느 단풍나무 못지않게 아름답다. 시닥나무와 이름이 비슷한 청시닥나무라는 우리 자생종이 있다. 그 이름만 들어 봤을 때는 시닥나무의 근연종으로 누구나 생.. 무환자나무과/ 단풍나무속 2017.12.25
435 시닥나무 시닥나무 잎이 3~5개로 갈라지고 가장자리 날카로운 톱니가 있으며 중렬편과 측렬편의 끝은 뾰족하다. 잎자루는 붉으며 초기에는 털이 있다. 산겨릅나무와 마찬가가지 만주와 극동 러시아 그리고 우리나라 이북지방에 자생하는 또 하나의 단풍나무 종류로 시닥나무라는 것이 있다. 시닥.. 무환자나무과/ 단풍나무속 2017.1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