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리고사 수국
스트리고사 수국
아스페라수국 마이크로필라는 잘못된 이름이다.
우리나라 국표식에 등록된 품종은 아니지만 요즘 시중에서 '아스페라수국 마이크로필라'라는 이름으로 유통되는 품종이 있길래 그 정체를 파악해 본다. 우선 결론적으로 말해서 이 품종은 서양에서 앞 포스트에서 다룬바 있는 아스페라수국 즉 Hydrangea aspera의 변종으로 과거 분류된 적이 있어 아직도 그렇게 표기하는 도감이 많으나 나중에 아스페라수국이 아닌 strigosa수국의 변종으로 분류되었다가 현재는 아예 strigosa수국으로 통합된 품종을 말하는 것 같다. 그리고 우리나라 유통업체에서 [아스페라수국 마이크로필라]라고 하면서 학명으로 Hydrangea aspera라고 표기한 것까지는 이해가 되는데 품종명을 업체마다 한결같이 'microphilla'라고 명시하고 있다. 이 정체불명의 단어는 아마 'microphylla'를 잘못 스펠링한 것 같다. microphylla는 작은 잎이라는 뜻이다. 그런데 품종 설명에 가서는 큰 잎을 가진 것이 특징이라고 한다. 그렇다면 이 것은 microphylla가 아니고 그 반대인 큰 잎이라는 뜻인 macrophylla 즉 매크로필라가 되어야 타당하다. 그리고 microphylla라는 변종명은 없고 macrophylla라는 변종명은 존재하므로 이 또한 국내 유통업체들의 오류인 것 같다.
자 그렇다면 스트리고사수국 매크로필라로 수정되어야 마땅한 이 품종은 어떠한 것이며 또 어떤 과정을 거쳐서 분류방법이 변화하여 왔는지 탐구해 보자. 원래 이 수종은 중국 섬서 사천 운남 귀주와 호북과 호남성이 원산지로서 산수국과 비슷한 레이스캡형 꽃이 피는 수국의 한 종으로서 키가 1~3m로 자라는 낙엽 관목이다. 이를 중국에서 蜡莲绣球(납련수구)라고 하며 뿌리와 잎을 약으로 사용하는데 한의약계에서는 잎을 감차(甘茶) 또는 첨차(甜茶)라고 하며 뿌리를 토상산(土常山)이라고 부른다. 참고로 감차와 토상산 등의 이름은 이 수종에 한하는 지칭하는 이름이 아니고 비슷한 약효가 있는 산수국 등 다른 수국도 그렇게 부른다는 것이다. 그리고 중국 호북성에서 자생하는 잎이 넓은 蜡莲绣球(납련수구)의 변종이 있는데 이를 중국에서 阔叶蜡莲绣球(활엽랍련수구)라고 한다.
스트리고사 수국
잎이 좁고 뒷면에 뻣뻣한 회갈색 털이 보여 원종인 납련수구로 판단된다.
스트리고사 수국
잎이 넓고 뒷면 털이 회록색이라서 매크로필라 즉 활엽랍련수구로 판단된다.
스트리고사 수국
장식화의 꽃잎에 거치가 없어 원종인 납련수구로 판단된다.
스트리고사 수국
장식화에 세거치가 있는 매크로필라 즉 활엽랍련수구
그런데 원종인 납련수국(蜡莲绣球)보다 변종인 활엽랍련수구(阔叶蜡莲绣球)가 먼저 아일랜드의 원예가인 Augustine Henry(1857~1930)에 의하여 중국 호북성에서 발견되어 1887년 영국 식물학자 William Hemsley(1843~1924)가 아스페라수국의 변종으로 Hydrangea aspera var. macrophylla라고 명명한다. 그 후 영국태생 미국 식물 채집가 E.H.Wilson(1876~1930)이 중국 호북성에서 원종인 납련수구를 발견하고 이를 미국 하버드대 알프레드 리더 Alfred Rehder(1864-1949)교수가 Hydrangea strigosa라고 명명한다. 아울러 리더교수는 헴슬리가 명명한 변종을 아스페라수국이 아닌 스트리고사수국의 변종이라고 정정하여 Hydrangea strigosa var. macrophylla로 1911년 재명명한다. 그 후 1956년에 미국 여성 식물학자 Elizabeth M. McClintock(1912~2004)에 의하여 strigosa가 aspera의 아종이라는 주장도 대두되었으나 현재 strigosa는 독립된 종으로 분류되고 있다. 그리고 변종으로 분류되던 활엽랍련수구(阔叶蜡莲绣球)가 원종과 큰 차이점이 없다고 판단되어서인지 원종인 납련수구(蜡莲绣球)에 통합되어 버린다.
따라서 국내서 아스페라수국 마이크로필라라고 유통되는 품종은 우선 엉터리 스펠링을 정정하면 아스페라수국 매크로필라가 되는데 이는 이미 100여 년 전에 스트리고사수국 매크로필라가 되었으며 보다 정확하게 최근의 서양 분류체계를 따라서 분류한다면 그냥 스트리고사수국 즉 Hydrangea strigosa가 된다. 그리고 참고로 수국 중에서 가장 인기가 높은 좁은 의미의 수국을 지칭하는 매크로필라 수국 즉 Hydrangea macrophylla와는 전혀 다른 종이므로 혼동해서는 안된다. 여하튼 이 품종은 영국왕립원예협회(RHS)의 우수품종(AGM)으로 선정된 바 있는 인기 정원수이다.
중 국 명 | 학 명 | 서양 최신 분류 | 특기사항 |
蜡莲绣球(납련수구) | Hydrangea strigosa | Hydrangea strigosa | 잎뒷면 회갈색 뻣뻣한 털, 장식화 전연 |
阔叶蜡莲绣球(활엽랍련수구) | Hydrangea strigosa var. macrophylla | 얇고 넓은잎, 잎뒷면 회녹색 단모, 장식화 세거치 |
이 름 : 스트리고사 수국 (가칭, 미등록종)
중국명 : 납련수구(蜡莲绣球)
이 명 : 癞疠(날여), 大叶土常山(대엽토상산), 大叶老鼠竹(대엽노서죽), 납련팔선화(腊莲八仙花)
학 명 : Hydrangea strigosa Rehder(1911)
이 명 : Hydrangea strigosa var. macrophylla (Hemsl.) Rehder(1911)
이 명 : Hydrangea aspera var. macrophylla Hemsl.(1887)
이 명 : Hydrangea aspera subsp. strigosa (Rehd.) McClintock(1956)
특 징 : 1~3m 높이 관목
잎크기 : 8~28 x 2~10cm
꽃차례 : 산방상 취산화서, 지름 28cm
개화기 : 7~8월
결실기 : 11~12월
내한성 : 영하 17도, 중부지방에서는 지상부 고사 가능성이 높음
종소명 aspera는 영어로는 rough이며 거칠다는 뜻이고 strigosa는 영어로 with bristles이며 억센 털로 덮여 있다는 뜻이다.
Hydrangea strigosa 즉 납련수구의 효능
뿌리(根) - 토상산(土常山)
성질 : 량(凉), 맛 : 맵고 심(辛酸) 독성 : 소량,
효능 : 척담결(涤痰结), 산종독(散肿毒) 요항영류(疗项瘿瘤), 절학(截疟)
잎(叶) - 감차(甘茶), 첨차(甜茶), 밀향초(蜜香草)
성질 : 량(凉), 맛 단맛(甘)
효능 : 치학질(治疟疾), 절구학(截久疟)
스트리고사 수국
스트리고사 수국
스트리고사 수국
스트리고사 수국
스트리고사 수국
스트리고사 수국 매크로필라
스트리고사 수국 매크로필라
'수국과 수국속 > 기타수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652 히말라야나무수국 브레트스크네이데리 그룹 - 중국 동릉수구(东陵绣球), 내한성 강한 아름다운 유망 정원수 (0) | 2019.02.11 |
---|---|
651 아스페라수국 핫 초코릿 - 벨기에서 육종한 신품종 (0) | 2019.02.10 |
649 아스페라수국 빌로사 그룹 - 유모수구(柔毛绣球) (0) | 2019.02.09 |
648 아스페라수국 - 중국 원산 马桑绣球(마상수구), 蝶萼绣球(접악수구) = 고산등수구(高山藤繡球) (0) | 2019.02.07 |
606 수국 런어웨이 브라이드(Runaway Bride) 스노 화이트(Snow White) - 종간교잡종, 인기 대폭발 2019년 신품종 (0) | 2018.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