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수국과 수국속/기타수국

649 아스페라수국 빌로사 그룹 - 유모수구(柔毛绣球)

낙은재 2019. 2. 9. 00:13


아스페라수국 빌로사 그룹


아스페라수국 빌로사 그룹


우리나라 국가표준식물목록에는 아스페라수국 빌로사 그룹이라는 국명으로 학명을 Hydrangea aspera Villosa Group이라고 표기한 수종이 하나 등록되어 있다. 린네 이후 사용되고 있는 이명법에 부합하지 않는 이런 비합법적인 학명을 사용한 이유는 그만큼 이 아스페라수국 집단이 복잡하다는 것을 반증하고 있다. 이렇게 된 이유는 당초 영국 태생으로 미국 하버드대학을 위하여 일한 세계적으로 유명한 식물 채집가인 어니스트 헨리 윌슨 E.H.Wilson(1876~1930)이 중국 사천성 문천현에서 최초 발견한 표본을 토대로 하버드대 식물학 교수인 알프레드 리더 Alfred Rehder(1864-1949)가 Hydrangea villosa Rehder로 명명하고 이런 내용을 찰스 스프라그 사전트 Charles Sprague Sargent(1841~1927)교수가 1911년 Plantae Wilsonianae라는 책으로 편집 발간한 것이다. 


그리고 이후에 delicatula, sterilis, strigosior, velutina등의 변종명이 들어간 Hydrangea villosa의 품종과 변종으로 더 세분하여 분류하게 된다. 그런데 문제는 나중에 와서 중국 현지에서는 유모수구(柔毛绣球)라고 불리는 이 Hydrangea villosa가 앞 포스트에서 다룬 아스페라수국 즉 Hydrangea aspera와 동일한 종으로 밝혀져 그 유사종으로 편입되면서 Hydrangea villosa에 딸린 품종과 변종들의 설 땅을 잃어버린 것이다. 그러나 아직 학자들 사이에는 마상수구(马桑绣球) 즉 Hydrangea aspera와 완전하게 동일하다는 것을 인정하기에 주저하므로 이들 즉 빌로사 원종과 변품종들을 모두 한 그룹으로 묶어서 Hydrangea aspera Villosa Group이라는 어쩡쩡한 모습으로 잠정적으로 표기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들은 결코 원예종이 아니므로 Hydrangea aspera 'Villosa Group'이라고 표기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은 것 같다. 그래서 우리나라 국표식에서도 Hydrangea aspera Villosa Group으로 2013년 변경한 것 같다. 


참고로 영국 태생의 유명한 식물 채집가 E.H.Wilson은 1917년에서 1918년 사이 우리나라에도 와서 많은 새로운 식물을 발견하고 명명하였는데 그 중에는 제주도에서 구상나무를 발견하여 Abies koreana E.H.Wilson로 명명하였으며 울릉도에서는 일본 나카이박사 및 우리 정태현박사와 동행하면서 섬개야광나무를 발견하여 그의 이름으로 나카이가 Cotoneaster wilsonii Nakai로 명명한 것이다. 그 외에도 그가 명명에 관여한 아시아식물은 거의 2천 종에 이른다. 그리고 그를 파견한 하버드대학 식물학교수인 Alfred Rehder(1864-1949)는 독일에서 태어나 미국으로 건너간 사람으로서 윌슨이 채집한 식물들을 분류하여 명명하는 역할을 하였는데 그의 이름이 들어간 우리나라 식물이 현재도 241건이나 국가표준식물목록에 등록되어 있다. Charles Sprague Sargent 또한 이 때 윌슨이 호북성에서 채집한 자채수구(紫彩绣球)가 그의 이름이 들어간 Hydrangea sargentiana로 명명되어 책 편집에 고생한 보람을 얻는다. 말하자면 그당시 미개한(?) 대만 중국 그리고 우리나라에 와서 신종을 발견하고 자기들끼리 논공행상 잔치를 벌인 것이 된다. 


빌로사 그룹의 villosa는 부드러운 털로 덮여있다는 뜻이고 과거 변종명이었던 delicatula는 섬세하고 연약하다는 뜻이고 sterilis은 불임이라는 뜻이며 strigosior는 짧고 뻣뻣한 털이 있다는 뜻이고 velutina는 벨벳같이 아주 부드럽다는 뜻이다. 그러니까 이 빌로사 품종에는 이런 특성들이 섞여져 있다고 보면 되겠다. 중국명 또한 유모수구(柔毛绣球)로 부드러운 털이 있다는 뜻이므로 villosa와 일맥상통한다. 빌로사는 원종과 변종 품종 외에도 이들을 개량한 원예종들도 있다.  


등록명 : 아스페라수국 빌로사 그룹

학  명 : Hydrangea aspera Villosa Group

정  명 : Hydrangea aspera

이  명 : Hydrangea villosa, Hydrangea aspera ssp.villosa

중국명 : 유모수구(柔毛绣球)

원산지 : 중국 감숙 섬서 호북 강소 호남 광서 귀주 사천 운남성

분  류 : 수국과 수국속 낙엽 관목

수  고 : 1~4m

엽  편 : 지질, 피침형, 난상피침형, 난형혹장타원형, 변연밀소치

엽  병 : 1~4.5cm

잎크기 : 5~23 x 2~8cm

화  서 : 산방상 취산화서, 직경 10~20cm, 가운데 볼록, 

악  편 : 장식화 4~5, 담홍색, 도란원형혹 난원형

양성화 : 자람색혹 자홍색

악  통 : 종상

화  편 : 난형혹 장란형

수  술 : 10매

자  방 : 하위

열  매 : 삭과 항아리형

종  자 : 갈색, 타원형 혹 방추형

화  기 : 7~8월

과  기 : 9~10월

내한성 : 영하 17도

원예종 : 'Mauvette', 'Rocklon', 'Rosthornii', 'Sam McDonald', 'Velvet and Lace' 등


아스페라수국 빌로사 그룹

4~7번이 빌로사 그룹인데 6번에서 보듯이 열매에도 털이 있다.


아스페라수국 빌로사 그룹


아스페라수국 빌로사 그룹


아스페라수국 빌로사 그룹


아스페라수국 빌로사 그룹


아스페라수국 빌로사 그룹


유모수구

아스페라수국 빌로사 그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