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페라수국
아스페라수국
지난 해 10월부터 시작한 미국과 유럽 그리고 일본에서 유통되는 내한성이 강하거나 인기가 높은 수국과 산수국 미등록 원예종들의 탐구를 마무리하고 이제는 원래대로 돌아와 우리나라 국가표준식물목록에 등록된 수국속 수목 중 아직 다루지 않은 11종에 대한 탐구여정을 재개한다. 이들은 모두 우리가 말하는 이른바 5대 인기 수국 종 즉 수국과 산수국, 나무수국 그리고 미국수국과 떡갈잎수국이 아닌 등수국, 중국수국, 용수국 그리고 성널수국 등 다소 생소한 이름들인데 이번 탐구 대상인 아스페라수국 또한 생소한 이름이다. 우리나라에는 '아스페라수국'과 '아스페라수국 빌로사 그룹'이라고 원예종 같은 형식으로 학명표기된 Hydrangea aspera Villosa Group이 하나 더 등록되어 있다. Hydrangea aspera 즉 아스페라수국은 1825년 영국의 데이비드 돈(David Don : 1799-1841)이라는 식물채집가가 네팔에서 발견하여 명명한 학명이다. 잎과 줄기 등 거의 나무 전체에 털이 빽빽하므로 거칠다는 뜻인 영어 rough에 해당하는 라틴어 aspera라고 종소명을 명명한 것이다.
그런데 비교적 간단하게 파악할 수 있으려니 하였더니 뜻 밖에도 이 아스페라수국은 원산지 중국에서는 유사한 몇 개의 수종으로 분류하여 각기 다른 이름으로 부른다. 이를 서양에서는 학자에 따라서는 이들을 아스페라수국의 유사종으로 파악하여 통합하거나 일부를 아종으로 분리하여 분류하기도 하는데 학자에 따라서 분리하는 범위가 달라서 약간 복잡하다. 이들을 원산지인 중국 이름을 기준으로 하면 아래와 같이 5개 종으로 분류가 되나 이들을 미국과 영국에서는 대체적으로 아래와 같이 분류를 한다. 우리나라에는 이 중에서 중국명 마상수구(马桑绣球)가 아스페라수국으로 유모수구(柔毛绣球)가 아스페라수국 빌로사 그룹으로 등록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미국에서 널리 사용되는 분류방법을 기준으로 할 때는 이들 모두가 아스페라수국이며 다만 맨 아래 장시수구(长翅绣球)와 원엽수구(圆叶绣球)만 아스페라수국 로부스타(robusta) 아종으로 세분하여 분류하는 것이다.
중국명 | 학 명 | 영국분류 | 미국분류 | 대표적인 특징 |
马桑绣球(마상수구) | Hydrangea aspera | Hydrangea aspera | Hydrangea aspera | 거친 털 |
柔毛绣球(유모수구) | Hydrangea villosa | 화서와 잎뒷면 유모 | ||
蝶萼绣球(접악수구) | Hydrangea kawakamii | Hydrangea kawakamii | 대만 고유종, 덩굴성 | |
长翅绣球(장시수구) | Hydrangea longialata | Hydrangea robusta | Hydrangea aspera subsp. robusta | 종자에 긴 날개 |
圆叶绣球(원엽수구) | Hydrangea rotundifolia | 둥근잎 |
직립 관목 또는 소교목인 아스페라수국은 히말라야 인근지역인 네팔이나 인도 북부 그리고 중국 서남부가 원산지이므로 일본에서는 이를 히말라야 다마아지사이(玉紫陽花)라고 부른다. 그리고 주로 이에 통합되어 분류되는 접악수구(蝶萼绣球)는 대만 해발 2,250m의 고산지대에서만 발견되는 대만 고유종인데 특이하게 덩굴성 관목이다. 그래서 원산지 대만에서는 이를 고산등수구(高山藤繡球)라고 부른다. 이를 일본에서는 카와카미아지사이라고 부르며 학명 또한 Hydrangea kawakamii이다. 여기서 가와카미라는 이름의 유래는 이를 1908년 명명한 일본 식물학자 하야타 분조(早田文藏)가 또 다른 대만 전문 일본 식물학자 카와카미 타키야(川上瀧彌)의 이름을 기려 명명한 것이다. 카와카미는 1871년 일본 야마가카현 출생으로 1904년 일제의 대만총독부 기사로 부임하여 대만 식물을 조사하여 약 3,500종의 대만 식물을 분류하고 대만총독부 박물관을 설립 초대관장을 역임하였으나 과로로 1915년 44세를 일기로 병사한 일본 식물학자이다. 그러니까 우리나라에는 나카이(中井)라는 학자가 1907년부터 와서 식물 조사를 하였는데 그와 마찬가지로 대만에는 카와카미(川上)라는 학자가 1904년부터 가서 식물 조사를 한 것이다.
여러 개의 유사종이 있다가 통합이 될 때에는 가장 먼저 명명된 수종의 이름이 우선권을 가진다. 따라서 1825년에 명명된 Hydrangea aspera로 통합되는 것이며 중국명 또한 마상수구(马桑绣球)가 중심이 될 것이다. 중국에서는 수국을 수구(绣球)라고 하는데 마상수구는 아무래도 마상(马桑)을 닮은 수구라는 의미일 것으로 보이나 우리나라 미등록종인 코리아리아과 코리아리아속 Coriaria nepalensis로 학명 표기되는 마상(马桑)은 중국 남서부에 자생하는 관목인데 그 잎이나 꽃 그리고 열매가 마상수구와는 많이 달라 둘 사이에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가 궁금하다. 원래 네팔이나 베트남 그리고 대만과 중국 남부 등 열대 또는 아열대지방이 원산지이지만 워낙 이 수국들이 해발 1,000m 이상의 고산지대에서 자생하던 것이라서 내한성이 예상보다 매우 강하다고 한다. 그래서 대부분의 서양 도감에서는 영하 20도는 견디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한편에서는 마상수구(马桑绣球)의 경우 온난한 기후를 선호하며 생장 적정온도는 18~28도이고 겨울에도 5도이하로는 내려가지 않는 것이 좋다고 한다. 따라서 아스페라수국은 품종에 따라서 내한성의 차이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마상(马桑)
Coriaria nepalensis
마상(马桑)
Coriaria nepalensis
등록명 : 아스페라수국
학 명 : Hydrangea aspera D. Don
원산지 : 중국 서남부, 네팔, 베트남
중국명 : 마상수구(马桑绣球)
영어명 : rough leaved hydrangea
일본명 : ヒマラヤタマアジサイ
분 류 : 수국과 수국속 낙엽 관목 또는 소교목
수 고 : 2~3m, 간혹 10m
줄 기 : 원주상, 4둔릉, 황백색 단조복모와 과립상 비늘
수 피 : 갈색
엽 편 : 지질, 장란형, 변연단첨두 불규칙 둔형 소치, 상면 소조복모
화 서 : 산방상 취산화서, 지름 15~25cm, 볼록, 분지 소산, 조장
화 판 : 장란형, 2~2.5mm, 선단급첨, 기부절평
열 매 : 삭과 항아리형
종 자 : 갈색, 활타원형 혹 근원형
화 기 : 8~9월 (단일조식물 : 短日照植物)
과 기 : 10~11월
자생지 : 해발 1400~4000m 산곡 또는 산비탈
약 용 : 식적해소, 청열해독, 외용선개(癣疥 : 버짐)
내한성 : 영하 20도, 중부지방 노지월동 가능성 검증이 필요할 듯
이 특징 묘사는 유사종을 통합한 Hydrangea aspera에 대한 것이 아니고 중국명 마상수구(马桑绣球)에 대한 것이다.
아스페라수국
아스페라수국
아스페라수국
아스페라수국
아스페라수국
아스페라수국
아스페라수국
아스페라수국
아스페라수국
아스페라수국
==========================
등록명 : 아스페라수국
중국명 : 접악수구(蝶萼绣球)
대만명 : 고산등수구(高山藤繡球)
학 명 : Hydrangea aspera
이 명 : Hydrangea kawakamii
일본명 : カワカミアジサイ
특 징 : 1.5m 높이의 덩굴성 관목
화 기 : 7월
과 기 : 10~11월
내한성 : 영하 23도
고산등수구(高山藤繡球)
고산등수구(高山藤繡球)
고산등수구(高山藤繡球)
고산등수구(高山藤繡球)
고산등수구(高山藤繡球)
'수국과 수국속 > 기타수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652 히말라야나무수국 브레트스크네이데리 그룹 - 중국 동릉수구(东陵绣球), 내한성 강한 아름다운 유망 정원수 (0) | 2019.02.11 |
---|---|
651 아스페라수국 핫 초코릿 - 벨기에서 육종한 신품종 (0) | 2019.02.10 |
650 스트리고사수국( Hydrangea strigosa) - 납련수구(蜡莲绣球), 스트리고사수국 매크로필라 - 阔叶蜡莲绣球(활엽랍련수구) (0) | 2019.02.09 |
649 아스페라수국 빌로사 그룹 - 유모수구(柔毛绣球) (0) | 2019.02.09 |
606 수국 런어웨이 브라이드(Runaway Bride) 스노 화이트(Snow White) - 종간교잡종, 인기 대폭발 2019년 신품종 (0) | 2018.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