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발도리
말발도리
물참대
가장 사랑스러운 우리 자생종 정원수라고 할 수 있다.
물참대
말발도리와 물참대를 구분할 수 있으면 식물 동정의 고수가 되는 것이라 할 만큼 어렵다.
전세계 말발도리속 즉 Deutzia는 모두 65종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거의 모두가 한중일 3국에 분포하며 그중 50여 종이 중국에서 자생한다. 속명 Deutzia는 일본에 와서 약 2년 체류하면서 식물 탐사를 한 스웨덴 식물학자 툰베리가 일본에 자생하는 マルバウツギ 즉 마루바우츠기(丸葉空木)를 보고 1871년 Deutzia속을 신설하고 Deutzia scabra로 명명한 것이다. 속명 Deutzia는 툰베리의 일본 탐사에 자금을 후원한 네덜란드 변호사이자 식물애호가인 Van der Deutz, Johan (1743-1788)의 이름에서 온 것이며 모식종 Deutzia scabra의 종소명 scabra는 거칠다는 뜻으로 이 말발도리의 잎 양면에 거친 털이 있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다. 원산지 일본 이름 마루바(丸葉)는 둥근 잎이라는 뜻이고 우츠기(空木)는 줄기 가운데가 비어 있다고 붙은 이름인데 일본에서는 여러 종류의 관목에 우츠기라는 이름이 붙어 있다.
스카브라말발도리
일본 고유종으로서 말발도리속의 모식종이다.
스카브라말발도리
잎이 둥글다고 일본 이름은 마루바우츠기(丸葉空木)이다.
스카브라말발도리
말발도리는 만개하면 품종에 상관없이 아름답다.
열매가 말발굽을 닮았다고 우리 이름 말발도리가 붙었다는데 우리나라에는 말발도리속에 모두 30종이 등록되어 있으며 그중 5종 1변종이 우리나라 자생종이다. 우리 자생종 중 꼬리말발도리는 우리나라에서만 자생하는 고유식물이다. 우리 이름은 말발도리 외에도 물참대라는 우리 자생종도 있고 일본에서 온 빈도리라는 이름도 있다. 학명 Deutzia glabrata의 국명 물참대는 뜬금없는 이름이다. 원래는 1937년 정태현선생의 조선식물향명집에 근거하여 댕강말발도리라는 이름이었는데 1966년 이창복선생이 물참대로 바꿔버렸다. 그렇다고 뭔가 뚜렷한 근거를 제시한 것도 없어 보인다. 그렇다면 일종의 횡포가 아닌가? 여하튼 물참대는 원래 강원도 방언으로서 조팝나무의 일종인 아구장나무의 이명이라고 1942년 정태현선생이 조선삼림식물도설에 기록한 이름이다. Deutzia속을 말발도리로 부르기로 한 이상 일관성 있게 xx말발도리라는 이름을 정태현선생이 제대로 붙인 것을 나중에 이창복선생이 변경해 버린 것이다.
꼬리말발도리 우리나라 고유종
희귀종으로 사진 조차 구하기 어렵다. 사진출처 : 두피디아
그의 횡포(?)는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일본에서 매우 흔하고 인기가 높은 학명 Deutzia crenata이며 일본 이름이 그냥 우츠기(空木)인 외래종을 1970년 정태현선생이 일본말발도리라고 일관성 있게 제대로 붙였는데 여기에도 심술을 부려 1980년에 대한식물도감에서 빈도리라는 생뚱맞은 이름을 붙이고 만다. 빈도리는 속이 빈 (말발)도리라는 뜻으로 보이는데 빈도리만이 속이 비어있는 것도 아닌데도 말이다. 여하튼 그래서 Deutzia속의 우리 이름은 말발도리와 물참대 그리고 빈도리 세 개가 사용되어 모두 xx수소(溲疏)로 통일된 중국이나 xx우츠기(空木)로 통일된 일본에 비하여 무질서 해 보인다. 이런 무질서가 전적으로 이창복선생의 횡포라고는 할 수가 없다. 같은 식물명은 먼저 붙인 이름이 우선권을 가지게 되는데 우리나라는 어쩐 일인지 무조건 이창복선생의 주장은 시간를 초월하여 최우선시되는 것이 문제라고 하겠다. 도대체 이런 적폐가 왜 아직도 방치되고 있는지 한심하다.
빈도리
국명인 빈도리보다도 이명인 일본말발도리가 더 와닿는다.
빈도리
우리 자생종 말발도리나 물참대보다도 더 많이 보급되어 있어 안타깝다.
우리나라에 등록된 말발도리속 식물 리스트
자생여부 |
학 명 |
국 명 |
원산지 |
중국명 |
일본명 |
|
Deutzia crenata Siebold & Zucc. | 빈도리 | 일본 |
齿叶溲疏 |
ウツギ |
|
Deutzia crenata f. plena Schneid | 만첩빈도리 |
|
|
|
|
Deutzia crenata 'White Marginata' | 흰테무늬빈도리 |
|
|
|
자생식물 |
Deutzia glabrata Kom. | 물참대 | 한, 중, 러 |
光萼溲疏 |
|
|
Deutzia glauca W.C.Cheng | 푸른말발도리 | 중국고유종 |
黄山溲疏 |
|
|
Deutzia gracilis Siebold & Zucc. | 애기말발도리 | 일본고유종 |
细梗溲疏 |
ヒメウツギ |
|
Deutzia gracilis 'Nikko' | 애기말발도리 '니코' |
|
|
|
|
Deutzia grandiflora Bunge | 큰꽃말발도리 | 한, 중 |
大花溲疏 |
|
자생식물 |
Deutzia grandiflora var. baroniana Diels | 바위말발도리 |
|
|
|
|
Deutzia longifolia 'Veitchii' | 긴잎말발도리 '베이트키' | 중국고유종 |
长叶溲疏 |
|
자생식물 |
Deutzia paniculata Nakai | 꼬리말발도리 | 우리고유종 |
|
|
자생식물 |
Deutzia parviflora Bunge | 말발도리 | 한, 중, 러 |
小花溲疏 |
|
자생식물 |
Deutzia parviflora var. amurensis Regel | 털말발도리 |
|
|
|
|
Deutzia pulchra S.Vidal | 풀크라말발도리 | 대만, 필리핀 |
美丽溲疏 |
|
|
Deutzia purpurascens (Franch. ex L.Henry) Rehder | 분홍말발도리 | 중, 인도, 버마 |
紫花溲疏 |
|
|
Deutzia reflexa Duthie | 레플렉사말발도리 | 중국고유종 |
异色溲疏 |
|
|
Deutzia scabra Thunb. | 스카브라말발도리 | 일본 |
|
マルバウツギ |
|
Deutzia scabra 'Bright Crane' | 스카브라말발도리 '브라이트 크레인' |
|
|
|
|
Deutzia scabra 'Variegata' | 스카브라말발도리 '바리에가타' |
|
|
|
|
Deutzia 'Pink Minor' | 말발도리 '핑크 마이너' |
|
|
|
|
Deutzia 'Rosea Plena' | 말발도리 '로세아 플레나' |
|
|
|
|
Deutzia schneideriana Rehder | 스크네이데리아나말발도리 | 중국고유종 |
长江溲疏 |
|
|
Deutzia setchuenensis Franch. | 세트쿠엔시스말발도리 | 중국고유종 |
四川溲疏 |
|
자생식물 |
Deutzia uniflora Shirai | 매화말발도리 | 한, 일 |
|
ウメウツギ |
|
Deutzia x elegantissima 'Rosealind' | 엘레간티시마말발도리 '로즈린드' |
|
|
|
|
Deutzia x hybrida 'Magicien' | 꽃말발도리 '매지션' |
|
|
|
|
Deutzia x hybrida 'Mont Rose' | 꽃말발도리 '몽 로즈' |
|
|
|
|
Deutzia x hybrida 'Strawberry Fields' | 꽃말발도리 '스트로베리 필즈' |
|
|
|
|
Deutzia x kalmiiflora Lemoine | 칼미아말발도리 |
|
|
|
|
Deutzia x rosea (Lemoine) Rehder | 붉은말발도리 |
|
|
|
이들 수종에 대하여 당장은 하나하나 탐구하지 못하고 나중을 기약하면서 우선 이렇게 리스트로 정리해 본다.
매화말발도리
주변에서 매우 흔하게 보이는 말발도리로서 전년지에서 개화한다는 점이 다른 종과의 차이점이다. 그래서 화려함이 적다.
털말발도리
말발도리의 변종인데 일부에서는 말발도리에 통합시켜 분류한다.
'수국과 기타속 > 말발도리속' 카테고리의 다른 글
665 상록말발도리 설희(雪姫) = 중국 다복선수소(多辐线溲疏) Deutzia multiradiata (0) | 2019.03.01 |
---|---|
70 분홍말발도리 등 수입 말발도리들 (0) | 2016.03.15 |
69 빈도리와 만첩빈도리 그리고 각시말발도리 (0) | 2016.03.14 |
68 매화말발도리와 바위말발도리, 꼬리말발도리 (0) | 2016.03.14 |
67 말발도리와 물참대 그리고 털말발도리 (0) | 2016.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