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화말발도리
말발도리속 나무의 두 번째로 매화말발도리와 바위말발도리 및 꼬리말발도리를 알아본다. 꼬리말발도리는 우리나라에서만 자생하는 고유종이며 매화말발도리도 우리 고유종으로 알았으나 최근 일본에서도 발견되고 있다. 바위말발도리는 중국에서도 구치수소 또는 이엽수소로 불리면서 분포한다.
등록명 : 매화말발도리
학 명 : Deutzia uniflora Shirai
분 류 : 범의귀과 말발도리속
신분류 : 수국과 말발도리속
원산지 : 우리나라 자생종, 일본
일본명 : ウメウツギ(梅空木)
높 이 : 1m
잎크기 : 6.5 x 3cm
꽃자루 : 5mm
매화말발도리
큰 바위 돌 위에 올려져 있어도 잘 산다.
매화말발도리
매화말발도리
매화말발도리
정원의 석축 틈새에 심기에 아주 좋다.
매화말발도리
좁은잎매화말발도리 (용문산)
용문산에서 자생하는 것으로 발견된 잎이 좁은 이 종을 특별히 좁은잎매화말발도리(Deutzia coreana var. angustifolia Nakai)라고 하는데 매화말발도리의 이명으로 처리하고 있다.
좁은잎매화말발도리 (용문산)
흙이 전혀 없는 바위틈에서도 잘 자란다.
그래서 바위말발도리로 착각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전년지에서 꽃이 피는 것으로 보아 매화말발도리가 맞다.
좁은잎매화말발도리
용문산
좁은잎매화말발도리
용문산
좁은잎매화말발도리
용문산
매화말발도리
매화말발도리
매화말발도리
등록명 : 바위말발도리
학 명 : Deutzia grandiflora var. baroniana Diels
이 명 : Deutzia hamata Koehne
원산지 : 우리나라 자생종, 중국
중국명 : 구치수소(钩齿溲疏), 이엽수소(李叶溲疏)
높 이 : 1m
잎크기 : 6 x 4cm
꽃자루 : 12mm
바위말발도리
홍릉수목원
바위말발도리 (홍릉수목원)
바위말발도리 (홍릉수목원)
바위말발도리
바위말발도리
바위말발도리
바위말발도리
바위말발도리
바위말발도리
꽃잎이 완전히 펴지는 물참대나 말발도리와는 달리 매화말발도리와 바위말발도리는 꽃잎이 완전히 펴지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수술의 모양이 아래 그림과 같이 갈고리(钩齿) 모양을 하고 있어 중국에서는 바위말발도리를 구치수소(钩齿溲疏)라 부른다. 그리고 매화말발도리와 바위말발도리 둘은 매우 흡사하여 구분이 쉽지 않아 보이지만 자세히 보면 바위말발도리는 여타 말발도리속 나무들과 마찬가지로 가지의 끝 즉 신년지에서 꽃이 피는데 반하여 매화말발도리는 전년지 즉 묵은 가지에서 꽃이 달려 쉽게 구분이 된다. 그리고 꽃자루도 바위말발도리가 좀 더 길다.
바위말발도리 수술
매화말발도리도 이와 비슷하다.
(좌) 물참대와 (우) 말발도리 수술
등록명 : 꼬리말발도리
학 명 : Deutzia paniculata Nakai
원산지 : 우리나라 고유종
높 이 : 2m
잎크기 : 10 x 5cm
경상도지역에서만 발견되는 우리나라 고유종으로서 원추화서 꽃차례가 특징이다.
꼬리말발도리
꼬리말발도리
'수국과 기타속 > 말발도리속' 카테고리의 다른 글
666 말발도리속 30종 리스트 (0) | 2019.03.03 |
---|---|
665 상록말발도리 설희(雪姫) = 중국 다복선수소(多辐线溲疏) Deutzia multiradiata (0) | 2019.03.01 |
70 분홍말발도리 등 수입 말발도리들 (0) | 2016.03.15 |
69 빈도리와 만첩빈도리 그리고 각시말발도리 (0) | 2016.03.14 |
67 말발도리와 물참대 그리고 털말발도리 (0) | 2016.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