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수국과 기타속/말발도리속

69 빈도리와 만첩빈도리 그리고 각시말발도리

낙은재 2016. 3. 14. 19:32

만첩빈도리


말발도리속 나무 중에서 우리 자생종은 아니지만 우리나라 자생종보다 더 많이 알려졌고 특히 정원수로서 더 널리 보급되고 있는 빈도리와 만첩빈도리 그리고 각시말발도리에 대하여 알아본다. 이는 다른 대부분의 정원수들도 그렇지만 우리의 산과 들에서 야생하는 아름다운 자생종의 상품화에는 별 관심이 없고 외국에서 손쉽게 수입하여 판매하는 유통구조와 관련이 있어 보인다. 우리 자생종들이 자연상태에서 훼손되지 않고 잘 보존되고 있다고 좋아해야 할지 아니면 우리 것은 점점 사람들에게 잊혀져 가고 외래종들만 넘치게 되는 것인지 알 수가 없다.    


등록명 : 빈도리

이   명 : 일본말발도리

학   명 : Deutzia crenata Sieb. et Zucc.

분   류 : 범의귀과 말발도리속 관목

신분류 : 수국과 말발도리속

원산지 : 일본, 중국

일본명 : ウツギ (空木)

중국명 : 치엽수소(齿叶溲疏)

꽃색상 : 백색, 홑꽃

꽃차례 : 원추화서

높   이 : 2m


일본 고유종이 아닌데도 우리나라서 이를 일본말발도리라고 이명으로 부르고 있는 것은 당초에는 일본 고유종인 줄 알았기 때문일 것이다. 그리고 빈도리는 나무 줄기의 속이 비었는데다가 일본에서 공목(空木)이라고 부르기 때문에 말발도리 꽃이 피는 속이 빈나무라고 그런 이름을 붙였을 것이라고 본다. 하지만 일본에서는 모든 말발도리를 공목이라고 부르며 실제로 우리 자생종 말발도리속 나무들도 속이 비어 있거나 아니면 매우 무른 재질로 채워져 있어 거의 빈 것이나 다름이 없다는 점은 알아둘 필요가 있다. 즉 줄기 속이 비어 있는 것은 빈도리만의 특징은 아니다. 따라서 당연히 종소명 crenata나 중국명 齿叶에도 줄기 속이 비었다는 뜻은 내포하지 않고 있다.  


빈도리


빈도리


빈도리


빈도리


빈도리


빈도리


빈도리


빈도리 (齿叶溲疏)



등록명 : 만첩빈도리

학   명 : Deutzia crenata Sieb. et Zucc. f. plena (Maxim.) C.K.Schneid

원산지 : 일본, 중국

일본명 : サラサウツギ (更紗空木)

중국명 : 치엽수소(齿叶溲疏)

꽃색상 : 외부 핑크 내부 백색, 겹꽃

꽃차례 : 원추화서

높   이 : 2m


만첩빈도리


만첩빈도리


만첩빈도리


만첩빈도리


만첩빈도리

나이가 제법 든 우리 정원의 만첩빈도리인데 뿌리에서 

계속 새로운 가지가 나오는 것이 빈도리의 특징 중 하나이다. 


만첩빈도리

잘린 줄기의 속이 마치 대나무처럼 확실하게 비어있다.


빈도리 및 만첩빈도리의 수술모습


매화말발도리와 바위말발도리 수술


물참대(좌)와 말발도리(우) 수술모습 


말발도리속을 거의 모든 나라에서 수국과로 분류하는데 우리만 국생정 자료에서 범의귀과로 고수하고 있으며 빈도리나 만첩빈도리의 화서가 원추화서라는데 우리만 총상화서라고 한다. 내가 봐도 화서에 곁가지가 있으므로 원추화서가 맞는 것 같다. 우리 자생종 꼬리말발도리를 원추화서라고 표기한 것과는 대비된다. 


그리고 만천빈도리의 꽃색상은 핑크와 백색이 섞여있는 것이 옳은데 국생정 자료에는 그냥 백색이라고 잘못 표기되어 있다. 일본명 사라사우쯔기(更紗空木)는 그 이름 자체에 무늬가 있다는 것을 내포하고 있다. 빈도리 즉 Deutzia crenata에는 빈도리와 만첩빈도리만 있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변종들이 있어 백색 만첩꽃이 피는 것은 일본에서는 백화팔중공목 (白花八重空木 : シロバナヤエウツギ) 이라고 부른다. 아래 나무가 바로 그 것이다.


백화만첩빈도리(白花八重空木 : シロバナヤエウツギ)

Deutzia crenata Sieb. et Zucc. f. candidissima (Bon.) H.Hara



등록명 : 각시말발도리

이   명 : 애기말발도리, 닛코말발도리

학   명 : Deutzia paniculata 'Nikko'

이   명 : Deutzia gracilis 'Nikko', Deutzia crenata 'Nikko'

원산지 : 일본에서 개발한 원예종

일본명 : ヒメウツギ (姫空木)

중국명 : 빙생수소 (冰生溲疏)

높   이 : 30 ~ 60cm

넓   이 : 60 ~ 150cm

잎크기 : 3 ~ 6cm

꽃차례 : 10 ~ 15cm 길이의 원추화서

꽃지름 : 1.5cm 

당초 일본에서 1976년 육종하여 Nakaiana란 이름으로 명명하였다가 나중에 crenata로 변경하고 다시 gracilis로 변경한 설구(雪球)라는 품종이 가장 우량품종으로 인기가 높아 널리 분포되어 있다. 수형이 반원형 즉 돔형을 이루기 때문에 이런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gracilis는 왜성이란 뜻으로 빈도리에 비하여 나무 크기가 매우 왜소하고 잎이나 꽃도 작지만 꽃은 많이 달리는 편이다.


각시말발도리

바로 이런 모습 때문에 설구라는 별명을 얻었다.


각시말발도리


각시말발도리


각시말발도리


각시말발도리


각시말발도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