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층층나무과/산딸나무

691 상록산딸나무 - 히말라야원산, 남부지방 노지월동 가능

낙은재 2019. 3. 25. 09:13


상록산딸나무

상록이지만 추운 지방에서는 낙엽이 진다. 열매는 식용은 가능하지만 맛은 없다.


상록산딸나무


상록산딸나무


중국과 인도 파키스탄 및 네팔에 걸쳐 있는 히말라야 해발 1300 ~ 3150m에 자생하는 상록 산딸나무가 있다. 앞에서 본 곰의말채나무와 마찬가지로 덴마크 의사 겸 식물학자 Nathaniel Wallich(1786~1854)가 그의 스승인 스코틀랜드 외과의사 겸 식물학자인 William Roxburgh(1751~1815)가 인도에서 채집한 표본을 근거로 1820년에 꽃 모양이 두상(頭狀)을 하고 있다고 Cornus capitata로 명명한 것이다. 그래서 중국에서는 과거 운남지방에서 간염과 복수, 식적기장 등의 치료용 약재로 사용하며 부르던 이름 계소자(鸡嗉子) 또는 계색자(鸡嗦子)를 이명으로 돌리고 두상사조화(头状四照花)를 중국 정명으로 하고 있다. 계소자는 닭의 모이주머니 즉 닭똥집을 말하는데 이 산딸나무의 열매의 오돌토돌한 외피가 닭의 피부와 닮았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라고 한다. 종소명 capitata는 머리라는 뜻이고 중국명 두상(頭狀) 또한 그런 뜻이지만 사실 이 산딸나무 만의 특성은 아니고 동양에서 자생하는 산딸나무들은 모두 이런 두상화서를 하고 있다. 아마 인도식물 전문가인 왈리치는 명명 당시 이런 사실을 몰랐던 것 같다. 


등록명 : 상록산딸나무

학  명 : Cornus capitata Wall.

분  류 : 층층나무과 층층나무속 상록 교목

원산지 : 히말라야, 중국, 인도, 파키스탄, 네팔

중국명 : 두상사조화(头状四照花), 계소자(鸡嗉子)

영어명 : evergreen dogwood

수  고 : 3~15m (최대 20m)

수  피 : 갈색, 회흑색, 종렬

가  지 : 유지 - 회록색, 백색단유모 노지 - 회갈색

동  아 : 소, 원추형, 백색 세모 밀생

잎  편 : 대생, 박혁질, 혁질, 장원타원형 장원피침형

잎크기 : 5.5~11 x 2~4cm

잎모양 : 선단돌첨, 기부설형혹 관설형

잎색상 : 상면 밝은 녹색, 백색 단유모, 하면 회록색, 백색단유모

잎  맥 : 상면 중륵 명현, 하면 융기, 측맥 4~5대, 궁형내만, 상면 약간오목, 하면 볼록, 맥액 공혈, 무모, 백수상모

엽  병 : 원주형, 1~1.4cm, 백색단유모 밀생, 상명 유구, 하면 원형

화  서 : 두상화서, 구형, 100여 송이, 녹색, 지름 1.2cm

총포편 : 4, 백색, 도란형 활도란형, 3.5~6.2 x 1.5~5cm, 선단돌첨, 기부협착, 양면단유모

꽃받침 : 관상, 길이 1.2mm, 선단 4렬, 열편 치형, 외측 모밀색, 내측 백색단유모

꽃부리 : 4, 장원형, 길이 3~4mm, 하면 백색모

수  술 : 4, 화사섬세, 3mm, 화약 타원형, 0.8mm

화  반 : 배상, 약유4천렬, 자방하위

암  술 : 화주원주형, 1.5mm, 백색사상모 밀생

과  서 : 편구형, 지름 1.5~2.4cm, 성숙시 자홍색, 총과경 조장, 원주형, 4~8cm, 유시조모, 점변무모

개화기 : 5~6월

결실기 : 9~10월

용  도 : 수피 약용, 열매 식용

내한성 : 영하 12도

이 종은 꽃색이 붉은 원예 품종들이 개발되어 있다.


상록산딸나무 계소자(鸡嗉子)


상록산딸나무


상록산딸나무

꽃(포)이 질 때는 자홍색으로 변하기도 한다.


상록산딸나무


상록산딸나무


상록산딸나무 원예종으로 보인다.


상록산딸나무 원예종


상록산딸나무



상록산딸나무


상록산딸나무


상록산딸나무


상록산딸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