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황목 또는 불꽃나무로 불리는 등록명 델로닉스 레기아
콩과는 식용 콩 종류만으로 구성된 것은 절대 아니고 이렇게 아름다운 교목도 매우 많이 포함되어 있다.
콩과(科)는 난초과와 국화과를 제외하면 세상에서 가장 큰 과로서 무려 700여 속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식물의 수는 약 2만1천 종에 달하여 정말 어마어마하게 거대한 과이다. 우리나라에 등록된 자생종의 수가 겨우 4천여 종이며 외래종을 모두 합하여도 1만 5천 종에 불과한 점을 감안하면 콩과 식물의 숫자가 실로 방대함을 이해할 수 있다. 콩과에는 우리가 잘아는 콩(대두)과 같은 일년초나 미모사와 같은 다년초 등 초본도 있지만 칡이나 등과 같은 덩굴성 식물도 있고 싸리나무와 같은 관목도 있다. 그리고 회화나무나 아까시나무 같은 교목도 있으며 심지어는 키가 80m가 넘는 Koompassia excelsa라는 열대 우림에서 자라는 거대한 교목도 있다. 콩과(科)에는 말 그대로 콩(대두)과 땅콩(낙화생), 누에콩(잠두), 완두, 팥(적두), 녹두, 동부(강두), 강남콩(채두), 작두콩(도두) 등 수많은 다양한 종류의 콩이 속하므로 인류의 먹거리를 제공하는 식용자원이라는 점에서 경제적으로 벼과와 함께 가장 중요한 식물의 과라고 할 수 있다. 식용자원뿐만 아니라 이 콩과에는 아차(儿茶: 아카시아)와 결명(决明), 감초(甘草), 황기(黄芪), 칡(葛), 고삼(苦参) 및 계혈등(鸡血藤) 등 약용식물도 많이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동물 사료로 사용되는 우리가 잘 아는 클로버 즉 토끼풀과 자운영도 포함되어 있다.
다년초인 미모사
교목인 회화나무
우리나라에서는 학자수로 널리 알려져 있다.
Koompassia excelsa
키가 80m 이상까지 자라는 열대수종이다.
그렇지만 콩과에는 그런 식용 및 약용 식물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매우 아름다운 화목류와 매우 흥미로운 식물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다. 콩과에 속하는 흥미로운 식물 일부를 나열해 보면 우선 대립과 충돌을 뜻하는 갈등(葛藤)의 어원인 칡(葛 : 갈)과 등(藤)이 모두 콩과에 속한다. 그리고 아카시아라고 우리가 오랫동안 잘못 알고 있었던 밀원식물 가짜 아카시아 즉 아까시나무도 있고 꽃이 노란 진짜 아카시아도 여기 콩과에 속한다. 그리고 최근에 많이 보급되고 있는 붉은 꽃이 피는 꽃아까시나무도 당연히 콩과이다. 밤이면 잎이 모두 접히므로 남녀가 합금(合衾)하여 즐기는 나무라고 중국에서 합환(合欢)이라고 불리는 자귀나무도 있으며 무시무시하게 커다란 가시가 있는 주엽나무나 조각자나무도 있고 각종 싸리나무는 물론 골담초와 실거리나무도 있다.
비단등나무
우리가 알던 아카시아는 아까시나무이고 이게 진짜 아카시아이다.
꽃아까시나무
자귀나무를 중국에서는 합환(合欢)이라고 한다.
가시가 어마어마한 주엽나무
실거리나무
유다가 목매달아 자살하였다는 유다박태기나무를 비롯한 박태기나무도 있고 우리 자생종 솔비나무와 다릅나무도 있다. 독성분이 있지만 꽃이 아름다운 금사슬나무도 있고 무엇보다도 이 과에는 우리나라에서 학자의 나무로 알려진 회화나무가 있다. 이 정도만 하여도 넘치는 것인데 콩과의 레퍼토리는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세계적으로 아름다운 나무로 알려진 닭벼슬나무와 불꽃나무로 알려진 봉황목도 여기에 속한다. 그리고 춤추는 나무로 알려진 무초(舞草)도 중국에서 주영화(朱缨花)라고 부르는 칼리안드라도 여기에 속한다. 그리고 호주의 사막콩이라고 불리지만 먹지는 않는 호주 대표적인 아름다운 야생화 Sturt's Desert Pea도 있다. 정말 아름답고 흥미진진한 나무들이 즐비한 과가 바로 콩과라고 할 수 있다.
유다박태기나무
다릅나무
금사슬나무
처진회화나무 - 수양회화나무
닭벼슬나무
봉황목 또는 불꽃나무
무초(舞草)
영어로 댄생 플랜트로 불리며 그 이름 무초와는 달리 1.5m까지 자라는 관목이다.
주영화(朱缨花)
호주 대표적인 아름다운 야생화 Sturt's Desert Pea
전세계 콩과 식물은 모두 2만 종이 넘지만 우리나라에는 극히 일부만 등록되어 있다. 우리나라 기후조건에 맞지 않는 열대식물이 많기 때문이다. 그러나 극히 일부라고는 하지만 결코 적지 않은 숫자인데 우리나라에 등록된 콩과 식물은 등록 학명 기준으로 모두 97속에 567종이다. 이 중에 중복되는 이명을 제외하고도 정명만 386종이 되며 그 중에 목본만 30여 속에 약 200종이 되는 것으로 파악된다. 그러므로 이 콩과로 등록된 모든 종을 탐구하기에는 너무나 많은 시간이 걸릴 것으로 판단되므로 앞으로 이들에 대하여 일일이 하나하나 탐구할 수는 없을 듯하다. 워낙 그 숫자가 많기 때문에 목본 위주로 그리고 되도록 원예종들은 제외한 원종들 중심으로 파악하려고 한다. 그래도 적지 않은 시간이 걸리겠지만 워낙 흥미로운 식물이 많으므로 매우 기대가 된다.
콩과는 앵글러 체계나 크론퀴스트 체계에서는 Leguminosae과로 부르고 있으나 가장 최신 분류시스템인 APG 체계에서는 Fabaceae과로 표기를 한다. Leguminosae는 레귐(legume)이 달리는 식물이라는 뜻인데 레귐(legume)은 콩과 식물의 열매를 통칭하는 말로 보면 되는데 라틴어가 아닌 영어이다. 우리말로 하면 꼬투리열매이며 한자어로는 협과(莢果)라고 한다. 순수 우리말 꼬투리는 콩과 식물의 종자를 싸고 있는 껍질을 말한다. 대개 열매가 익으면 껍질이 마르고 길고 납작한 심피의 씨방이 양쪽으로 대칭을 이루면서 두 줄로 갈라져 씨가 튀어 나오는데 이 꼬투리열매에서 열매가 빠진 빈 꼬투리를 깍지라고 하는 것이다. 그러니까 콩과 식물의 열매는 모두 꼬투리 모양을 하고 있는데 이를 협과(莢果)라고 하고 서양에서는 레귐(legume)이라고 하는 것이다. 그래서 이 과를 Leguminosae라고 하는 것이다.
이런 형태의 열매를 영어로 legume이라고 하고 우리말로 꼬투리열매 또는 협과라고 한다.
이 꼬투리는 속의 종자가 다 빠져나가 빈 것이므로 이런 것을 깍지라고 한다.
새로운 과명이 된 Fabaceae는 콩과의 모식속 Faba에서 왔는데 faba는 영어 bean 즉 콩에 해당하는 라틴어이다. 따라서 legume이나 faba 모두 콩이라는 뜻이지만 bean이 인간이나 동물의 식용 열매를 뜻하므로 꼬투리같이 생긴 모든 열매를 뜻하는 레귐의 범위가 좀더 넓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콩이라는 것은 넓은 의미의 콩을 말한다. 우리말 콩은 좁게는 특정식물 즉 메주를 쑤는 대두라고 불리는 Glycine max를 지칭하지만 넓게는 여러가지 콩 종류 모두를 통칭한다고 볼 수 있다. 넓은 의미의 콩에 해당하는 한자는 두(豆) 이며 좁은 의미의 콩은 대두(大豆)가 된다. 그 외에도 콩에는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완두와 팥 등 많은 종류가 있지만 콩과를 신설할 때의 모식속은 Faba속이었는데 현재 이 속은 폐지되고 Vicia속으로 편입되었다.
따라서 Vicia속의 Vicia faba가 콩과의 모식종이라고 할 수 있는데 Vicia faba가 우리나라에서는 흔하지 않아서인지 이상하게 국가표준식물목록(국표식)에 등록조차 되어 있지 않지만 중국을 비롯 아시아의 넓은 지역에서 재배하며 더 나아가 유럽 아메리카 아프리카 및 오세아니아 등 전세계 6대륙에 널리 퍼져 인간에 의하여 가장 먼저 재배된 대표적인 식용 콩이라고 할 수 있다. 그 원산지는 유럽의 지중해 연안과 중동이라는 주장은 있지만 아직 확실하지는 않으며 영어로는 넓은 콩이라는 의미로 broad bean이라고 부르며 이를 많이 재배하는 중국에서는 꽃이 늙은 누에를 닮았다고 잠두(蚕豆)라고 하며 이를 따라 우리나라와 일본에서도 잠두(蚕豆) 또는 누에콩이라고 부른다.
중국은 서한시대 실크로드를 개척한 장건(张骞)이 서역에서 도입하여 재배하기 시작하였는데 1950년대에는 세계 최대 생산국이 되었다고 한다. 소라마메(ソラマメ)라고 부르고 한자로 잠두(蚕豆) 외에 공두(空豆)라고도 쓰는 일본도 8세기부터 중국에서 도입하여 재배한다는데 우리는 왜 별로 관심이 없는지 모르겠다. 원래 온난한 지역에서 재배하던 것이기는 하지만 현재 중국에서는 북경 인근 장가구(张家口)시에서 생산한 것을 최상급품으로 친다고 하니까 우리나라도 충분히 재배할 수는 있을 것 같은데도 말이다. 농진청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1970년대에 도입되어 제주도와 전남 해안지방에서 재배하기 시작하고 있다고는 한다. 아마 고온 다습한 지역을 좋아한다고 남부지역에서만 시도한 것 같은데 세계 잠두의 생산 지도를 보면 더 서늘한 지역에서도 많이 재배되고 있음을 알 수 있어 우리나라 중부지방에서도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잠두(蚕豆) - 누에콩
이게 콩과 식물의 모식종으로 학명은 Vicia faba로 표기한다.
잠두(蚕豆) - 누에콩
잠두(蚕豆) - 누에콩
잠두(蚕豆) - 누에콩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 그리고 유럽 및 남북미,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등 전 세계에서 식용으로 재배를 하지만 우리나라와 일본은 주요 산지에서 제외되고 있다. 중국 동북부에서도 재배되는 것으로 봐서는 우리나라 기후조건에 부적합하지는 않을 것 같다.
'콩과 > 콩아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865 좀골담초 - 몽고나 만주 시베리아 외에 북한지역에서도 자생하는 우리 자생종 (0) | 2019.11.28 |
---|---|
864 반용골담초 - 골담초가 아닌 좀골담초의 변종 또는 원예종 (0) | 2019.11.27 |
863 골담초 - 중국 원산 금계아(锦鸡儿), 국내서도 서식지가 발견되어 우리 자생종으로 분류 (0) | 2019.11.26 |
816 우리나라에 콩과에 등록된 목본 30개 속 (0) | 2019.09.28 |
58 양골담초(유통명 : 애니시다)와 골담초 그리고 비수리(야관문) (0) | 2016.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