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콩과/콩아과

865 좀골담초 - 몽고나 만주 시베리아 외에 북한지역에서도 자생하는 우리 자생종

낙은재 2019. 11. 28. 15:28


좀골담초



좀골담초

골담초에 비하여 잎의 사이즈는 작고 숫자는 많으며 꽃의 길이는 약간 짧다.


전세계 골담초속은 모두 89종의 관목 또는 소교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로 아시아와 동유럽에 자생한다. 그 중 약 60종이 중국에 자생하며 우리나라는 골담초와 좀골담초 그리고 참골담초 등 3종이 자생한다. 우리 자생종 외에도 시베리아골담초와 북경골담초 그리고 난쟁이골담초 등 중국 원산의 3종을 더하여 원종 기준 모두 6종이 우리나라 국표식에 등록되어 있다. 이번에는 주로 중국 동북부지역과 몽고 그리고 시베리아 및 우리나라 북한의 함경도나 황해도에 주로 자생하지만 남한 청송에서도 그 자생지가 발견된 좀골담초에 대하여 알아본다. 이미 앞에서 골담초의 변종인 줄로만 알았던 반용골담초가 바로 이 좀골담초의 변종 또는 원예종이라는 것을 파악한 바 있다. 


좀골담초의 학명은 1785년 프랑스 생물학자 Jean-Baptiste Lamarck(1744~1829)가 시베리아에서 발견한 표본을 대상으로 Caragana microphylla라고 명명한 것이다. 종소명 microphylla는 잎의 작다는 뜻이며 라마르크는 조각자나무를 명명한 학자이기도 하다. 그래서 중국명도 작은 잎 골담초 즉 금계아라는 뜻으로 소엽금계아(小叶锦鸡儿)라고 한다. 그리고 일본 이름도 작은잎골담초라는 뜻의 コバノムレスズメ(코바노무레스즈메))이며 우리 이름 좀골담초도 그런 뜻이다. 이 좀골담초는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하나의 변종이 있는게 그게 산서성 오대산에서 발견된 혁질 잎에 회록색 털이 있는 변종으로서 중국에서는 이를 오대금계아(五台锦鸡儿)라고 하며 학명은 Caragana microphylla var. potaninii이다. 우리나라에는 미등록종이다. 그 외에도 좀골담초 즉 중국의 소엽금계아(小叶锦鸡儿)는 그 형태 변화가 다양하여 이를 5개의 변종으로 다시 세분하는데 그 중국 이름과 간단한 특징은 다음과 같다. 


모서금계아(毛序锦鸡儿) f. pallasiana Kom. - 화서 유모, 후기 모탈락

녹엽금계아(绿叶锦鸡儿) f. viridis Kom. - 소엽, 화서 녹색, 소엽 상면 근무모, 하면 유모, 화악변연무모 

흥안금계아(兴安锦鸡儿) f. daurica Kom. - 소엽 긴쐐기상장원형, 선단원혹절평, 녹색, 유모

회엽금계아( 灰叶锦鸡儿) f. cinerea Kom. - 소엽 견상유모, 화악외면 단융모 

모지금계아(毛枝锦鸡儿) f. tomentosa Kom. - 소엽예첨, 도피침형, 어린 소지 융모 밀생, 백색


위 어느 변종도 우리나라 반용골담초와 같이 꽃이 크다는 특징은 없다. 따라서 위 5개 변종이 인정받지 못하여 모두 원종에 통합되듯이 우리나라에 등록된 반용골담초도 나름대로 차이점은 존재하되 식물분류학적으로는 하나의 변종으로 인정받지는 못하는 것으로 인식하면 되겠다.


등록명 : 좀골담초

학  명 : Caragana microphylla Lam.

분  류 : 콩과 골담초속 낙엽 관목

원산지 : 우리자생종, 중국, 몽고, 러시아

중국명 : 소엽금계아(小叶锦鸡儿)

일본명 : 소엽군작(小葉群雀)

수  고 : 1~2m

가  지 : 노지 심회색 혹 흑록색, 눈지 피모, 직립 또는 휘어짐

엽  형 : 우상복엽 5~10 쌍 소엽

탁  엽 : 1.5~5cm 길이, 탈락

소  엽 : 도란형 혹 도란상장원형, 3~10mm 길이, 2~8mm 너비, 선단원 혹 둔, 가끔 오목, 다자첨, 유시 단유모

화  경 : 1cm 길이, 가운데 관절, 유모

화  악 : 관상종형, 9~12mm 길이, 5~7mm 너비, 악치 관3각형

화  관 : 황색, 25mm 길이

기  판 : 관도란형, 선단 약간 오목, 기부 짧은 자루

익  판 : 자루가 꽃잎의 1/2길이, 짧은 귀, 치상

용골판 : 자루와 꽃잎 같은 길이, 귀 불명확, 기부 절평

열  매 : 자방 무모, 협과 원통형, 약간 편평, 4~5cm 길이 4~5mm 너비, 예첨두

개화기 : 5~6월

결실기 : 7~8월

내한성 : 영하 39도

용  도 : 녹비, 사료, 사막 녹화용


좀골담초


좀골담초


좀골담초


좀골담초


좀골담초


좀골담초


좀골담초

국내 안동대학이 청송 자생지에서 채취한 표본


====================================


서양 유통시장에서는 이 좀골담초의 원예종인 아래 Caragana microphylla 'Mongolian Silver Spires'의 인기가 높은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