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산박태기나무
꽃사진만으로는 박태기나무와 구분이 어렵다.
황산박태기나무
열매가 두껍고 질기며 특히 부리가 굵고 곧다. 그리고 잎도 혁질이며 털이 있다.
황산박태기나무는 중국에 자생하는 박태기나무 5종 중 하나이다. 앞 게시글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세계 박태기나무는 모두 9종이며 그 중에서 6종이 국내에 등록되어 있다. 그리고 중국에 자생하는 5종 중 4종이 등록되어 있다. 그 중 하나가 안휘성 황산에서 자생하는 황산박태기나무이다. 학명이 Cercis chingii이라고 되어 있는 것을 원산지 중국 이름인 황산자형(黄山紫荆)을 따라서 황산박태기나무라고 하니 누가 들어도 중국 황산이 원산지라는 것을 알 수 있는 적절한 이름이라고 생각된다. 학명의 종소명 chingii는 중국 식물학자로서 특히 양치식물학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진인창(秦仁昌 : 1898~1986)의 이름에서 온 것이다. 1927년 중국 안휘성에 진인창이 발견한 표본을 대상으로 미국에서 유학하고 돌아 온 중국 식물학자로서 중국 근대 식물분류학의 창시자 중 하나로 일컬어지는 진환용(陈焕镛 :1890~1971)교수가 명명한 것이다.
황산박태기나무는 열매가 두껍고 단단하며 나중에 성숙하면 갈라지고 꼬이며 날개가 없다. 그리고 끝의 부리는 곧고 굵다. 잎은 혁질이고 두터우며 잎맥 사이 특히 하면에 족생 유모가 있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그러니까 잎과 열매가 두텁다는 것인데 사진상으로는 큰 차이가 없어 보여 중국 자생 5종의 박태기나무 중 박태기나무와 가장 구분하기 어려워 보인다. 물론 실물은 쉽게 구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 외에도 박태기나무에 비하여 꽃이 약간 작은 듯하며 특히 꽃 색상이 담자홍색으로 피었다가 점차 백색으로 변한다고 하며 큰 줄기에서는 잘 피지 않고 주로 작은 가지에만 피는 경향이 있으며 열매는 오히려 박태기나무에 비하여 약간 더 큰 것으로 보인다. 이 황산자형을 중국에서는 발견자 진인창(秦仁昌)의 이름으로 종소명이 명명되었다고 진씨자형(秦氏紫荆)이라고도 부르며 절강성과 안휘성에서 많이 자생한다고 절환자형(浙皖紫荆)이라고도 부른다. 浙(절)은 절강성을 말하고 皖(환)은 안휘성의 약칭이다.
등록명 : 황산박태기나무
학 명 : Cercis chingii Chun
분 류 : 콩과 박태기나무속 낙엽 관목
원산지 : 중국
중국명 : 황산자형(黄山紫荆) 별명 - 진씨자형(秦氏紫荆), 절환자형(浙皖紫荆)
수 고 : 2~4m
화 기 : 2~5월
과 기 : 8~10월
내한성 : 영하 23도
황산박태기나무
상해 진산식물원
황산박태기나무
황산박태기나무
꽃 크기에 비하여 꽃자루는 긴 편이다.
황산박태기나무
황산박태기나무
황산박태기나무
잎 앞뒤로 털이 없는 박태기나무와는 달리 황산박태기나무는 잎맥간에 털이 있다.
황산박태기나무
황산박태기나무
열매가 두터운 혁질이며 부리가 굵고 곧으며 날개는 없고 나중에 꼬인다.
황산박태기나무
숙성하면 갈라지고 꼬인다는 점에서 박태기나무와 차이를 보인다.
'콩과 > --박태기나무속' 카테고리의 다른 글
852 사슬박태기나무 - 아름다운 꽃나무 중국 수사자형(垂丝紫荆) (0) | 2019.11.21 |
---|---|
851 운남박태기나무 = 이우나넨시스박태기, 중국 호북자형(湖北紫荆) (0) | 2019.11.20 |
849 흰박태기나무 - 원종에 통합된 박태기나무의 변종 (0) | 2019.11.18 |
848 박태기나무 '아본데일' - 외대로 자라는 품종과 열매없는 왜성종 - 박태기나무 '돈 이골프' (0) | 2019.11.18 |
847 박태기나무 - 중국 원산 자형(紫荆), 가정의 화목과 형제자매간 우애를 돈독하게 한다는 나무 (0) | 2019.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