꿩복수초
복수초속에 등록된 외래종은 3종이다. 모두가 1753년 린네가 식물분류학을 시작할 때 명명한 종들이다. 그만큼 서구에 일찍이 알려졌다는 뜻인데 바꿔 말하면 유럽이거나 인근 아프리카나 서아시아 원산이라는 말이 된다. 우선 유럽복수초라고 등록된 Adonis vernalis L.는 spring pheasant's eye 또는 yellow pheasant's eye라고 현지에서 불린다. 봄에 그리고 노랑색 pheasant's eye라는 것인데 pheasant는 꿩을 말한다. 꿩의 눈이 가장자리에 선명하게 붉은색으로 되어 있어 꽃의 중심부 즉 수술과 암술이 모여있는 꽃심이 동그랗고 선명한 복수초나 수선화 또는 앵초에 붙이는 서양식 이름이다. 유럽복수초는 꿩의눈 중에서 봄에 노란 꽃이 핀다는 것을 그 이름으로 알 수 있다. 종소명 vernalis도 봄에 개화한다는 뜻이다. 하지만 유럽복수초들은 우리와 같은 음력 정초에 피지를 않아서 봄을 알리는 꽃으로 인식되지는 않는다.
꿩의 눈이 이렇게 생겼으므로 복수초 외에도 아래 꽃들을 서양에서 꿩의눈이라 부른다.
서양에서 꿩의 눈으로 불리는 수선화 Narcissus poeticus(미등록종) poet's narcissus와
앵초 Primula farinosa(미등록종)
등록명 : 유럽복수초
학 명 : Adonis vernalis L.
분 류 : 미나리아재비과 복수초속 다년생 초본
원산지 : 유럽
영어명 : spring pheasant's eye 또는 yellow pheasant's eye
특 징 : 봄 4월초에 지름 8cm의 큰 노란 꽃을 피운다.
유럽복수초
유럽복수초
다음은 summer pheasant's-eye로 불리는 Adonis aestivalis이다. 이 종은 우리나라에 여름꿩복수초로 등록되어 있다. 서양의 일반 영어명과 부합하는 이름이다. 꽃이 좀 늦게 여름에 꽃이 피기 때문이다. 하지만 꽃색상이 붉어서 인기가 높아 세계적으로 널리 보급된 종이다. 다년생 초본이 아니고 일년초이다. 종소명 aestivalis는 여름에 꽃이 핀다는 뜻이다.
등록명 : 여름꿩복수초
학 명 : Adonis aestivalis L.
분 류 : 미나리아재비과 복수초속 일년생 초본
원산지 : 유럽
영어명 : summer pheasant's-eye
높 이 : 40cm
개화기 : 6월
여름꿩복수초
여름꿩복수초
꿩복수초로 등록된 Adonis annua 또한 다년초가 아닌 일년초로서 4월부터 9월까지 꽃을 피워 Autumn Pheasant's-eye이라고 불린다. 유럽과 북아프리카 그리고 인근 서아시아가 원산지인데 이 종을 그냥 대표적인 Pheasant's-eye라고 부르기 때문에 우리 이름도 꿩복수초라고 한 것 같다. 종소명 annua은 일년생이라는 뜻이다.
등록명 : 꿩복수초
학 명 : Adonis annua L.
분 류 : 미나리아재비과 복수초속 일년생 초본
원산지 : 유럽, 아프리카, 아시아
영어명 : autumn pheasant's-eye
높 이 : 25cm
개화기 : 4월 ~ 9월
꿩복수초
==========================
다음은 복수초들의 원예종들 일부를 간단하게 그림만 소개한다.
Adonis 'Kin Pukurin'
Adonis 'Chichibu Beni'
Adonis 'Chichibu Beni'
Adonis 'Beni Nadeshiko'
Adonis 'Beni Nadeshiko'
Adonis amurensis ‘Sandan Zaki’
Adonis amurensis ‘Sandan Zaki’
Adonis 'Hakuju'
Adonis 'Flore-Pleno'
Adonis 'Flore-Pleno'
Adonis amurensis 'Shichihenge'
Adonis amurensis 'Tsumaoregasa'
Adonis amurensis 'Tsumaoregasa'
'기타 과 식물 > 기타초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 띠 - 과거 소중한 식물이었지만 요즘은 천대받는 모(茅) (1) | 2021.06.28 |
---|---|
(8) 삼잎국화, 겹삼잎국화 (0) | 2016.08.06 |
(7) 몰티플로루스 스카독수스 Scadoxus multiflorus (0) | 2016.07.16 |
(6) 코다타 폰테데리아 = 해수화 (0) | 2016.07.15 |
(5) 히말라야돌부채(Bergenia stracheyi) = 히말라야바위취, 돌부채 (0) | 2016.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