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꽃아까시나무는 백색 꽃이 아닌 핑크색이나 자색 꽃이 피는 미국 남부 원산의 아까시나무속 또 다른 수종이다. 키가 3m까지만 자라는 왜성 낙엽성 관목으로서 줄기와 엽축 그리고 잎 뒷면과 화서가 온통 털로 덮여 있어 이를 원산지에서는 강모로 덮여있다고 bristly locust 또는 moss locust라고 한다. 1767년 린네에 의하여 명명된 학명 Robinia hispida L. 도 뻣뻣한 털이 있다는 뜻의 종소명 hispida가 붙은 것이다. 한편 원산지에서 꽃 색상이 장미색이라고 rose-acacia라고도 부르기도 한다. 그래서 우리나라 이름 꽃아까시나무가 붙은 것으로 보인다. 이는 우리 독창적인 이름이라기보다는 일본 이름 ハナアカシア(花針槐)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여하튼 우리나라에는 꽃이란 접두사가 붙은 이름을 가진 수종들이 매우 많다. 꽃산딸나무, 꽃사과나무나 꽃개오동, 꽃누리장나무, 꽃개회나무, 꽃단풍, 꽃댕강나무 등과 같이 대개 아름다운 꽃이 피는 수종에 붙인다. 그런데 이 아까시나무의 경우는 글쎄 백색 꽃을 피우는 아까시나무 즉 Robinia pseudoacacia가 워낙 흔하기 때문에 붉은색 아까시나무 꽃이 특이하다고 그렇게 꽃아까시나무라는 이름을 붙였겠지만 사실 원래 아까시나무는 거의 대부분 백색이 아닌 붉은 계통의 꽃이 핀다.
즉 전세계 아까시나무속은 모두 4종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중 3종이 모두 붉은색 계통의 꽃이 핀다. 이 꽃아까시나무보다 더 진한 붉은색 꽃이 피는 수종들도 많지만 아마 이 꽃아까시나무가 국내에 먼저 도입되었기 때문에 꽃이라는 접두사가 붙은 것으로 보인다. 영어권에서도 이 수종을 rose-acacia라고 일반적으로 부르는데 이 또한 붉은색 아까시나무 수종으로는 맨 처음 서양에 소개되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그리고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붉은색 아까시나무는 생소하여 모두를 하나의 수종으로 착각하기 쉬우나 우리나라에 등록된 아까시나무속 10개 수종 중 6종이 붉은색 꽃이 피는 종이라는 사실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이 수종은 키가 3m 미만으로 작은 왜성종으로서 꽃차례가 짧고 꽃의 수효는 적지만 꽃 사이즈가 크고 색상이 홍색 내지 장미색이며 줄기나 화서 등이 온통 빳빳한 털로 덮여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꽃아까시나무는 일설에 의하면 1920년대에 이미 국내에 관상용으로 도입되었다는 주장도 있으며 국표식에서 꽃아까시나무라는 이름의 출처를 1969년 이창복의 우리나라의 식물자원이라고 하므로 그 도입시기가 최소한 1960년대 이전인 것이 분명해 보인다. 따라서 백화가 피는 아까시나무 다음으로 이른 시기에 국내 도입된 것으로 파악된다. 이를 모양괴(毛洋槐) 즉 털아까시나무라고 부르는 중국이나 이를 하나엔쥬(花槐) 즉 꽃회화나무라고 부르는 일본도 최소한 1950년대 이전에 도입된 것으로 파악된다. 따라서 최근에 도입된 여타 붉은 꽃이 피는 품종들과 비교가 되는 것이다. 이 수종은 결실이 잘 되지 않아서 대부분 아까시나무를 대목으로 하는 접목 방식에 의하여 번식하는 것으로 알려진다. 그리고 우리나라 국표식에는 꽃아까시나무의 원예종으로 꽃아까시나무 '루브라'라는 품종이 학명 Robinia hispida 'Rubra'로 등록되어 있으나 이 학명은 세계 어디서도 잘 보이지 않아서 그 품종의 정체가 도대체 무었인지 파악할 수가 없다.
등록명 : 꽃아까시나무
이 명 : 꽃아카시아, 장미색아카시아나무, 털아카시아
학 명 : Robinia hispida L.
분 류 : 콩과 아까시나무속 낙엽 관목
원산지 : 미국 남부
영어명 : bristly locust, moss locust, rose-acacia
중국명 : 毛洋槐(모양괴)
일본명 : 花槐 (ハナエンジュ), ハナアカシア(花針槐), ベニバナエンジュ(紅花槐)
수 고 : 1~3m
줄 기 : 유지 녹색, 자홍색 경선모 백색곡유모 밀생, 2년생지 심회갈색, 갈색강모, 모 2~5mm
엽 서 : 우상복엽, 15~30cm, 엽축 강모 백색단곡유모, 상변 홈
소 엽 : 11~17, 타원형, 난형, 활란형, 근원형, 1.8~5 x 1.5~3.5cm, 통상엽축하부 1대 소엽 최소, 양단원, 선단 뾰족, 유눈시 상면 암홍색, 후녹변, 무모, 하면회록색, 중맥소피모
엽 병 : 백색유모 밀생
탁 엽 : 뾰족, 숙존
화 서 : 총상화서 액생, 화관을 제외한 부분 자홍색 선모 백색 세유모 밀색, 3~8송이
총화경 : 4~8.5cm
포 편 : 난싱피침형, 5~6mm, 상부 3렬, 선단점미첨, 조락
화 악 : 자홍색, 사종형(斜钟形), 악통 5mm, 악치 난상3각형, 3~6mm, 선단미첨 내지 첩상(钻状)
화 관 : 홍색 내지 장미색, 화판구병, 기판근신형, 2cm x 3cm, 선단요결, 익판렴형, 2cm, 용골판 근3각형. 1.5cm, 선단원, 전연합생, 익판과 용골판 이(耳)
수 술 : 2체, 기판의 1매 분리, 화약타원형
자 방 : 근원주형, 1.5cm, 포선상돌기, 연봉성미유모, 주두정생, 배주다수
열 매 : 협과선형, 5~8cm x 8~12mm, 편평, 선강모, 선단급첨, 과경단(果颈短), 종자 3~5립
화 기 : 5~6월
과 기 : 7~10월
내한성 : 영하 29도









'콩과 > --아까시나무속' 카테고리의 다른 글
953 슬라비니아까시나무 - 아까시나무와 꽃아까시나무의 교잡종 (0) | 2020.04.02 |
---|---|
952 룩수리안스아까시나무 - 뉴멕시코 원산 붉은 아까시나무 (0) | 2020.04.02 |
950 아까시나무 '프리시아' - 황엽아까시나무 (0) | 2020.03.30 |
949 아까시나무 '토르투오사' - 줄기가 뒤틀리는 원예종 (0) | 2020.03.29 |
948 민둥아까시나무 - 가시가 없고 둥글게 자라는 왜성 변종 (0) | 2020.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