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콩과 된장풀속은 콩과 중에서도 콩아과 된장풀족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싸리속과 근연관계에 있다. 초본과 아관목이 주를 이루는 된장풀속은 속명이 chain 즉 사슬 구조로 된 열매라는 뜻의 Desmodium인데 우리나라에는 모두 9종이 등록되어 있다. 이 중에 원종만도 5종이나 되며 캐나다된장풀을 제외한 나머지 4종은 모두 우리 자생종이다. 그런데 문제는 우리나라 된장풀속의 대표격인 된장풀을 비롯하여 개도둑놈의갈고리와 그 아변종들은 이제는 더 이상 된장풀속 즉 Desmodium속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럼 결국 우리나라 된장풀속에는 된장풀은 없고 잔디갈고리와 큰도둑놈의갈고리 그리고 외래종 캐나다된장풀 등 3종만 남게 되었다. 따라서 이제 Desmodium속을 된장풀속이 아닌 큰도둑놈의갈고리속이나 잔디갈고리속으로 불러야 될 듯하다. 하지만 잔디갈고리와 큰도둑놈의갈고리 또한 최근 일본 학자의 연구 결과에 의하여 그 입지가 흔들리고 있어 조만간 Desmodium속에는 우리 자생종은 하나도 남지 않게 될 운명에 처했다.
직립관목 또는 아관목인 된장풀은 현재 신설된 콩과 콩아과 된장풀족 Ohwia속으로 변경되었으며 학명은 우리나라 국표식에는 아직 과거 학명인 Desmodium caudatum (Thunb.) DC.로 등록되어 있으나 서양은 물론 중국과 일본 등 온 세상은 모두 새로운 학명인 Ohwia caudata (Thunb.) H. Ohashi로 표기하고 있다. 따라서 이미 국내 일부 학자들은 새로운 속인 Ohwia속을 된장풀속이라고 부르고 있다. 그럼 이제 된장풀의 학명 변천사를 살펴보자. 원래 동양식물 조사를 위하여 일본을 방문한 린네의 제자 툰베리가 1784년 일본에서 발견하여 묏황기속으로 분류하여 Hedysarum caudatum Thunb.로 명명한다. 그 후 1825년 스위스 식물학자 Augustin Pyramus de Candolle(1778~1841)에 의하여 된장풀속으로 편입되어 Desmodium caudatum (Thunb.) DC.로 재명명된 것이다. 그래서 이 학명이 현재 우리나라 국표식에 등록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던 것을 비교적 최근인 1999년에 이 분야 세계적인 전문가인 일본 학자인 오하시 히로요시(大橋広好 : 1936~ )가 잎자루에 날개가 있는 된장풀을 별도 독립하여 새로운 Ohwia속을 신설하여 현재의 학명 Ohwia caudata (Thunb.) H. Ohashi로 명명한 것이다. 속명 Ohwia는 일본의 저명한 식물분류학자인 오이지사부로(大井次三郎 : 1905~1977)의 이름을 기려서 명명한 것이며 툰베리가 당초 명명한 종소명 caudata는 꼬리가 있다는 뜻이다. 아마 매우 긴 정생 소엽을 말하는 것 같다.
관동이서에서 오키나와까지 온난한 지방에서 자생하는 일본에서는 된장풀이 방부 효과가 있어 잎이나 줄기를 된장이나 간장 속에 넣어 두면 맛이 좋아지거나 된장이 상하였을 때 맛이 돌아온다고 이를 미소나오시(ミソナオシ)라고 하며 한자로는 味噌直し로 쓴다. 나오시(直し)는 바로잡는다는 뜻이다. 별명으로 미소쿠사(ミソクサ) 즉 미증초(味噌草)라고도 쓰는데 이게 바로 우리말로 번역하면 된장풀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일본에서는 살충효과가 있는 이 잎으로 구더기를 퇴치하였으므로 이를 우지코로시(ウジコロシ)나 우지쿠사(ウジクサ)라고도 불렀는데 우리말로 하면 구더기잡이와 구더기풀이라는 뜻이 된다.
장강이남 온난한 지방에서 자생하는 중국에서는 이를 정명으로 소괴화(小槐花)라고 하지만 매우 다양한 별명들이 있어 어지럽다. 나신초(拿身草) 점신시인(粘身柴咽) 점초자(黏草子) 점인마(粘人麻) 산편두(山扁豆) 초혜판(草鞋板) 양대귀(羊带归) 청주항(青酒缸) 등이 그들인데 특히 약재명을 말할 때는 청주항(青酒缸)을 많이 쓴다고는 하지만 이제는 중약명도 거의 소괴화(小槐花)로 통한다. 전초 특히 뿌리와 잎을 약으로 쓰는데 거풍활혈(祛风活血) 이뇨(利尿) 및 살충(杀虫)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제주도와 일부 남부지방에서만 자생하는 우리나라는 이를 된장풀이라고 하는데 이는 1942년 정태현의 조선삼림식물도설에 근거한다. 이후 이창복과 이우철 등 국내 식물학자들이 너도나도 그대로 따라 하였기에 우리나라 정명이 되었다. 그 유래가 된장의 구더기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하였기 때문이라고 설명하고 있지만 실제로 우리나라 자생지인 제주도에서 그렇게 하였는지는 의문시 된다. 물론 일제강점기에 일본의 영향으로 그렇게 따라 하였을 수는 있지만 일본의 풍습을 마치 우리 전래 풍습인양 설명하면서 이름의 유래를 설명하는 것은 문제가 있어 보인다. 그당시 흔히 하던대로 그냥 일본 이름을 그대로 따라한 것에 지나지 않아 보이기 때문이다.
등록명 : 된장풀
신학명 : Ohwia caudata (Thunb.) H. Ohashi
구학명 : Desmodium caudatum (Thunb.) DC.
분 류 : 콩과 된장풀속(Ohwia) 낙엽 관목 또는 아관목
원산지 : 한중일 동남아 인도 등
중국명 : 소괴화(小槐花)
일본명 : 미소나오시(ミソナオシ)
수 고 : 1~2m
수 피 : 회갈색, 다 분지, 상부분지 유모
엽 서 : 우상복엽 3소엽
탁 엽 : 피침상선형, 5~10mm, 기부 1mm 너비, 줄무늬, 숙존
엽 병 : 1.5~4cm, 편평, 교후, 상면심구, 다소피유모, 양측 좁은 날개
소 엽 : 근혁질 혹 지질, 정생소엽 피침형 장원형, 5~9 x 1.5~2.5cm, 측생소엽 교소, 선단점첨, 급첨혹 단점첨, 기부설형, 전연, 상면녹색, 광택, 극단유모, 노시점변무모, 하면첨복단유모, 중맥상 메밀생, 측맥 10~12조, 불달엽훼
소탁엽 : 선상, 2~5mm
소엽병 : 14mm
화 서 : 총상화서 정색 혹 액생, 5~30cm, 화서축 유모, 매절 생2화
포 편 : 첩형, 3mm
화 경 : 3~4mm, 복유모 밀생
화 악 : 착종형, 3.5~4mm, 복유모와 구상모, 열편피침형, 상부열편 선단 미2렬
화 관 : 녹백 혹 황백색, 5mm, 맥문 명현, 기판 타원형, 판병 극단, 익판협장원형, 판병, 용골판 장원형, 판병
웅 예 : 이체
자 예 : 7mm
자 방 : 봉선상 첩복유모 밀생
열 매 : 협과 선형, 편평, 5~7cm, 초만곡, 신전적 구상모, 복배봉선 천액축(淺缢缩), 유협절 4~8, 협절 장타원형, 9~12 x 3mm
화 기 : 7~9월
과 기 : 9~11월
용 도 : 약용, 사료
내한성 : 중부지방 노지 월동 불가능












'콩과 > 콩아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977 땅비싸리 - 정원수로 개발이 가능한 아름다운 우리 자생 관목 (0) | 2020.06.05 |
---|---|
976 잔디갈고리와 도둑놈의갈고리 어원 (0) | 2020.06.01 |
974 매듭풀과 둥근매듭풀 - 우리 자생종 다년생 초본 (0) | 2020.05.29 |
973 꽃싸리 - 우리 자생종, 싸리속과 가장 가까운 근연종 (0) | 2020.05.24 |
918 에리트리나 헤르바케아 - 미국 원산의 초본 같은 관목 (0) | 2020.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