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 콩과 된장풀속으로 등록된 식물에는 목본이 둘 있다. 하나는 이제는 더 이상 된장풀속 즉 Desmodium속이 아니고 새로인 신설된 속인 Ohwia속으로 분류되는 된장풀이고 또 하나는 잔디갈고리이다. 모두 온난한 지방에서만 자라는 남부수종들이라서 우리나라에서는 거의 제주도에서만 자생하는 것이다. 된장풀은 그 이름과는 걸맞지 않게 관목 또는 아관목으로 분류되지만 잔디갈고리 또한 풀인지 나무인지 헷갈리는 아관목 형태를 취하고 있다. 물론 일본에서도 아관목이라고 하지만 다년초로 인식하는 경우가 흔하여 별명으로 이를 풀싸리 즉 쿠사하기(クサハギ)라고 부르기도 한다. 참고로 일본에서는 쿠사하기(草萩)라고 부르는 식물이 여러 종이 있는데 대표적인 것은 장미과 물양지꽃 즉 Potentilla cryptotaeniae이며 앞에서 다룬 중국원산 귀화식물인 콩과 분홍싸리도 그 중 하나이다.
잔디갈고리와 된장풀이 헷갈리는 것은 그 형태만은 아니다. 이 분야 세계적인 권위자인 일본 학자 오하시 히로요시(大橋広好 : 1936~ )와 스코틀랜드 분류학자 Robert Reid Mill (1950~ ) 등의 최근 연구에 의하여 Desmodium속이 하나하나 재분류되어 분해되고 있기 때문이다. 된장풀은 이미 콩과 Ohwia속으로 분리되어 나갔으며 도둑놈의갈고리와 큰도둑놈의갈고리는 2000년에 위에서 언급한 일본 오하시와 스코틀랜드 학자 밀에 의하여 신설된 새로운 콩과 Hylodesmum속으로 편입되었으며 이 잔디갈고리도 콩과 Grona속으로 2018년에 편입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최신 분류에 따르면 그동안 우리나라 된장풀속 즉 Desmodium속으로 분류되었던 우리나라 자생 원종 기준 4종의 식물은 모두 다른 속으로 분류되어 이제 Desmodium속에는 외래종인 캐나다된장풀 하나만 남게 된 것이다.
된장풀속 우리 자생종 분류 변경 내역
우리나라 이름 | 구 학 명 (현 등록명) | 신 학 명 |
된장풀 | Desmodium caudatum | Ohwia caudata |
도둑놈의갈고리 | Desmodium podocarpum | Hylodesmum podocarpum |
큰도둑놈의갈고리 | Desmodium oldhami | Hylodesmum oldhamii |
잔디갈고리 | Desmodium heterocarpon | Grona heterocarpos |
잔디갈고리의 학명은 원래 식물분류학을 창설할 당시인 1753년에 린네가 인도의 표본을 대상으로 묏황기속인 Hedysarum heterocarpon L.로 최초 명명하게 된다. 그 이후 1825년 스위스식물학자 캉돌(de Candolle : 1778~1841)에 의하여 된장풀속으로 변경되어 Desmodium heterocarpon (L.) DC.로 재명명 된다. 그래서 이 학명이 현재 우리나라에 국표식 뿐만 아니라 세계 거의 모든 도감에 등재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던 것이 불과 1~2년 전인 2018년에 일본 학자 오하시 히로요시와 오하시 카주아키에 의하여 Grona heterocarpos (L.) H. Ohashi & K. Ohashi로 다시 속이 변경되어 재명명 된다. 그래서 아직 이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도감이 많지만 향후 이렇게 변경될 것으로 추정된다. 종소명 heterocarpon이나 heterocarpos는 다른 열매라는 뜻인데 여기서는 열매의 형태가 다양하다는 뜻으로 풀이 된다. 새로이 변경된 Grona속은 일본 학자들이 최근에 신설한 속이 아니고 포르투갈 선교사이자 식물학자인 João de Loureiro (1717~1791)가 1790년에 창설한 것이다.
우리 이름 잔디갈고리는 주로 잔디에서 자라고 열매에 갈고리 모양의 털이 있어서 이런 이름이 붙은 것이라고 한다. 우리나라 된장풀속에 등록된 9종의 식물 중 7종에 갈고리라는 이름이 붙었는데 모두 열매에 갈고리 모양의 털이 있기 때문이다. 중국이나 일본에서는 이를 鉤狀毛(구상모)라고 한다. 열매에 갈고리 털이 나는 이유는 사람이나 동물에 붙어서 멀리 이동하여 번식하기 위함이다. 이래서 중국에서는 이 Desmodium 속명 자체를 산거머리라는 뜻인 산마황(山螞蝗)속이라고 하는 것이다. 열매가 거머리처럼 달라 붙기 때문이다. 일본에서는 이 속의 식물들을 통일성이 없이 된장풀을 미증초(味噌草)라고 하고 큰도둑놈의갈고리를 등감초(藤甘草)로 부르는 등 제각각 부른다. 그 중 도둑놈의갈고리를 중국의 산거머리와 비슷한 맥락으로 누스비토하기(ヌスビトハギ) 즉 도인추(盗人萩)라고 부르는데 우리말로 하면 도둑놈싸리라는 뜻이다. 바로 이 도인추에서 우리나라 이름 도둑놈의갈고리가 영향을 받았음이 분명해 보인다.


하지만 일본 이름 도인추(盗人萩)의 유래는 '도둑과 같이 몰래 옷에 달라붙는다.'라는 설도 있지만 일본의 저명한 식물학자인 마키노는 선글라스나 여성들 브래지어를 닮은 열매의 모양이 마치 도둑이 발비닥의 일부만 짚고서 땅을 걷는 발자국 모양과 같다는 설을 주장한 바 있다. 여하튼 잔디갈고리의 갈고리는 도둑놈의갈고리의 갈고리와 마찬가지로 열매에 달린 갈고리 모양의 털 즉 구상모(钩状毛)를 지칭하는 것이다. 갈고리는 1937년 조선식물향명집에서 갈구리로 되어 있던 것을 1980년 이창복의 대한식물도감에서 표준어법에 맞게 갈고리로 변경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그럼 앞에 붙은 수식어 잔디는 어디에서 유래되었을까 파악해 보자. 잔디갈고리는 1969년 이창복의 ‘우리나라 식물자원’에 처음 잔디갈쿠리로 등장하였다가 1980년 이창복의 대한식물도감에서 잔디갈고리로 변경된 것으로 파악된다. 그리고 그 도감에서 ‘제주도 한라산 남쪽 경사면의 잔디밭에서 난다.’ 라고 기재하고 있어 얼핏 우리 독창적인 이름이라는데 이론의 여지가 없어 보인다.




하지만 그렇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왜냐하면 이 Desmodium heterocarpon의 일본 이름이 시바하기(シバハギ)인데 이를 한자로는 일반적으로 지추(芝萩)라고 쓰기 때문이다. 시바 즉 지(芝)가 잔디를 뜻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초본상 관목인 잔디갈고리가 반드시 일조량이 풍부한 잔디밭에서만 잘 자라는 것은 아니다. 일본에서는 초지(草地)와 경사면(斜面) 수변(水辺) 그리고 숲속(茂み, 林内)에서 자생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중국에서도 주생육지가 산비탈 초지(山坡草地)나 물가(水旁) 또는 덤불이나 숲속(灌丛或林中)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할미꽃과 같이 볕을 좋아하여 무덤가 잔디 등에서만 잘 자라는 식물이 결코 아니다. 게다가 일본에서 시바하기의 한자 표기를 지추(芝萩)가 아닌 柴萩(시추)로 하는 경우도 많고 특히 일본 사전에는 柴萩(시추)로 되어 있다. 柴萩(시추)가 되면 잔디싸리가 아니라 잡목싸리로 변하게 된다. 그러니까 결국 식물의 특성이 잔디와는 별 관계가 없는데도 일본 이름이 시바하기라는 것 때문에 우리나라 이름이 잔디갈고리가 되었다는 것을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
중국에서는 이 Desmodium heterocarpon를 가지두(假地豆)라고 한다. 가(假)는 가짜라는 뜻이고 지두(地豆)는 중국에서 학명 Arachis hypogaea인 낙화생(落花生)과 학명 Solanum tuberosum인 마령서(马铃薯)를 뜻하는데 낙화생은 땅콩이며 마령서는 일명 토두(土豆)인 감자를 말한다. 우리말 감자는 원래 중국에서 단맛이 나는 고구마를 뜻하는 감저(甘藷)가 와전된 것이고 우리말 땅콩은 그야말로 지두(地豆) 즉 땅(地)의 콩(豆)이라는 중국말을 그대로 의역한 것이다. 정말 식물 공부는 한도 끝도 없는 것 같다. 여하튼 이 잔디갈고리를 가지두(假地豆)라고 하는 이유는 잎은 땅콩을 닮았지만 열매는 아니라서 가짜 땅콩이라는 뜻이다. 중국에서는 이 잔디갈고리를 오래 전부터 약으로 써 왔는데 이뇨통림(利水通淋) 산어소종(散瘀消肿)의 효능이 있으며 비뇨계결석과 외상출혈 등의 치료에 사용하였다고 한다.
등록명 : 잔디갈고리
학 명 : Desmodium heterocarpon (L.) DC.
신학명 : Grona heterocarpos (L.) H. Ohashi & K. Ohashi
분 류 : 콩과 잔디갈고리속 낙엽 아관목
원산지 : 한중일 인도 동남아 등
중국명 : 가지두(假地豆)
일본명 : 시바하기(柴萩)
영어명 : False Groundnut
수 고 : 30~150cm
꽃색상 : 자홍색, 자색, 백색
화 기 : 7~10월
과 기 : 10~11월
내한성 : 영하 1도






'콩과 > 콩아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978 정등싸리의 정체 - 흰꽃땅비싸리의 원종인 중국과 일본 원산 정등(庭藤) (0) | 2020.06.06 |
---|---|
977 땅비싸리 - 정원수로 개발이 가능한 아름다운 우리 자생 관목 (0) | 2020.06.05 |
975 된장풀 - 남부지방에 자생하는 소관목 (0) | 2020.05.30 |
974 매듭풀과 둥근매듭풀 - 우리 자생종 다년생 초본 (0) | 2020.05.29 |
973 꽃싸리 - 우리 자생종, 싸리속과 가장 가까운 근연종 (0) | 2020.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