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련과의 수종들은 그 분류방법이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엄청 혼란스럽다. 목련과 수종들 중 백합나무속을 제외한 나머지 모두를 목련속에 통합해야 한다는 대통합론자들이 있는가 하면 백합나무속 외에도 초령목속과 단성목련속 후벽목속 남양초령목속 등 몇 개의 속은 남겨두고 나머지를 목련속 즉 Magnolia속에 통합하여야 한다는 중통합론자들이 있으며 아예 20여 개 속으로 철저히 분리하여야 한다는 완전 분리론자들이 있다. 이번에 탐구할 망글리에티아속 즉 Manglietia속은 중통합론자들이 별도 속으로 존치시켜야 한다는 주장도 일부 있지만 목련속에 포함시켜야 한다는 주장도 만만치 않다. 그럼 국내 등록된 목련과 수종들을 중심으로 분류방법에 따른 분류 내용을 표로 그리면 아래와 같은데 우리나라의 경우 백합나무속과 목련속 초령목속 그리고 망글리에티아속 등 4개 속으로 분류하고 있어 중통합론을 따른다고 볼 수 있다. 참고로 일본의 경우는 대통합론을 따라서 목련과에는 두 개의 속만 존재하며 중국의 경우는 중통합론을 따라서 11개 속으로 분류하다가 최근에는 완전 분리론을 따라서 22개 속으로 확대 세분류하고 있다.
학자에 따른 목련과 속 분류 내용
대통합론 |
중통합론 |
완전 분리론 |
국내 등록 수종 |
백합나무속 |
백합나무속 |
백합나무속(Liriodendron) |
백합나무, 중국백합나무 |
목련속 Magnolia |
목련속 Magnolia |
(북미)목련속(Magnolia) |
버지니아목련, 태산목, 타마울리파나초령목 |
옥란속(Yulania) |
목련, 백목련, 자목련, 별목련, 버들목련 등 |
||
후박속(Houpoea) |
중국목련, 일본목련, 트로페탈라우산목련 |
||
함박꽃나무속(Oyama) |
함박꽃나무, 화서함박꽃나무, 윌슨함박꽃나무 |
||
장훼목련속(Lirianthe) |
코코목련, 드라베목련 |
||
이엽목련속(Paramagnolia) |
프레이저우산목련, 피라미드목련 |
||
거엽목련속(Metamagnolia) |
넓은잎목련 |
||
황과옥란속(Tulipastrum) |
황목련 |
||
망글리에티아속 |
망글리에티아속 |
망글리에티아 포르디아나 |
|
초령목속 |
초령목속 |
초령목, 촛대초령목, 단초령목 등 |
|
의단성목련속 |
의단성목련속 |
운남초령목 |
이번 탐구 대상인 Manglietia속은 망글리에티아속이라고 하니까 매우 생소해 보이지만 알고 보면 놀라지 않을 수가 없다. 혁질 상록 교목으로 구성된 망글리에티아속 수종들을 중국 남방을 비롯한 주로 아시아 아열대지역에 분포하며 전세계 약 30여 종 중에서 22종이 중국에서 자생한다. 그 중에서 우리나라에는 학명 Manglietia fordiana인 단 한 종이 망글리에티아 포르디아나라는 국명으로 등록되어 있는데 놀라운 것은 이 수종의 원산지 중국 이름이 바로 목련(木莲)이라는 것이다. 으잉? 키가 20m나 되는 상록 교목의 중국 이름이 목련이라는 말인가? 그럼 우리가 목련이라고 부르는 것들은 중국에서는 뭐라고 한다는 말인가? 우리가 목련이라는 부르는 중국 원산 백목련이나 자목련 그리고 우리 토종 목련 등은 중국에서는 목련(木蓮)이라고 하지 않고 목란(木蘭) 또는 옥란(玉蘭)이라고 부른다. 목련(木蓮)이라는 우리 이름이 중국에서 유래된 것인데 정작 중국에서는 엉뚱한 수종들을 목련이라고 한다니 쉽게 수긍하기 어렵다. 그래서 혹시나 해서 알아 봤으나 근래에 중국에 식물분류학이 도입되면서 이렇게 변경한 것도 결코 아니다. 이들 상록 수종들을 목련이라고 부른 것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고 이미 당나라 때 단성식(段成式, 803-863)이 저술한 유양잡조(酉阳杂俎)에 목련이라는 기록이 나온다. 그리고 그 이후에 목련이라는 이름은 변함없이 남방 상록 교목에만 붙여져 왔다. 즉 우리가 알고 있는 낙엽성 목련들을 중국에서는 목련이라고 부른 적이 없다는 말이다.
그리고 우리가 목련이라고 부르는 이른 봄에 잎이 나기도 전에 꽃이 피는 백목련 자목련 별목련 그리고 우리 토종 목련 등은 중국에서는 목련이라고는 하지 않고 목란이나 옥란이라고 부른다. 목란과 옥란은 둘을 혼용하여 쓰기도 하지만 나름대로 차이점이 있다. 우선 목란(木兰)은 남조(南朝, 420~589)시대 조충지(祖冲之)가 저술한 술이기(述异记)에 근거하는데 현재는 특정 수종을 지칭하지는 않고 목란과(木兰科)와 목련속(木兰属) 등 과와 속의 이름에 쓰인다. 따라서 백합나무속을 제외한 목련과 수종들 거의 대부분을 통칭하는 용어로 쓰이는 것이다. 하지만 명대 왕상진(王象晋, 1561~1653)이 저술한 식물지 군방보(群芳谱)에 근거하는 옥란(玉兰)은 우리가 백목련이라고 하는 특정 수종 Magnolia denudata를 지칭하면서 최근에는 신설된 옥란속(玉兰属)의 속명으로 쓰인다. 그러니까 목란은 우리말 광의의 목련과 거의 흡사하게 목련들을 두루 통칭하는 용어로 생각하면 되겠고 옥란은 우리말 협의의 목련과 비슷하게 백목련을 지칭하면서 그와 근연관계에 있는 자목련 별목련 목련 등을 통칭하는 것으로 보면 된다. 원래 목련은 거의 모두 그 꽃모습은 연꽃을 닮고 꽃향기는 난초와 같지만 다양한 목련이 자생하는 중국에서는 이렇듯 오래 전부터 목련과 목란을 뚜렷하게 구분하여 불러 왔던 것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상록성 목련은 없고 중국에서 목란이라고 부르는 낙엽성 목련만 존재하였기에 굳이 구분하여 부를 필요는 없었을 것이다. 그래서 초창기 삼국유사에는 목란(木蘭)이라고 등장하지만 점차 목련(木蓮)과 혼용하게 되었고 나중에는 아예 목련으로 굳어져 목란이라는 용어는 생소하게 되어 사라져 버린 용어가 된 것이다. 물론 그 사이에 목필화와 신이화, 북향화 등 목련을 지칭하는 다양한 용어들이 매우 빈번하게 함께 사용되어 왔었다.
그럼 결국 중국을 따라서 연꽃과 비슷한 꽃이 피는 나무를 우리도 목련(木蓮)이라고 불렀는데 국내 우리 주변에 심어져 있는 우리가 잘 아는 목련들은 죄다 중국에서는 목련이라고 하지 않고 목란이나 옥란이라고 한다는 것이다. 어차피 중국에서 목련이라고 부르는 상록수들은 기후조건상 국내서는 일부 남부지역을 제외하면 식재가 불가능하여 크게 문제될 이유가 없었다. 하지만 최근에 바로 그 중국의 진짜 목련이 도입된 것이다. 2011년에 국표식에 망글리에티아속으로 등록된 단 한 종인 학명 Manglietia fordiana 국명 망글리에티아 포르디아나가 바로 중국에서 목련속 즉 Manglietia속 중에서도 그냥 목련(木莲)이라고 부르는 진짜 중국 목련인 것이다. 그동안 우리 선조들은 중국의 목란과 목련이라는 이름 중에서 향기보다는 모양에 따른 이름 목련에 더 끌린 것은 어떻게 보면 전혀 문제가 없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에 와서 중국 후박(厚朴)에다가 엉뚱하게 중국목련이라는 이름을 생각 없이 붙이는 바람에 정작 중국에서 진짜 목련이 도입되었어도 목련은커녕 중국목련이라고도 부를 수가 없었을 것이다. 그래서 중국에서 당나라 이전부터 목련이라고 쭉 불리고 있는 이 수종을 우리는 망측하게도 엉뚱하게 망글리에티아 포르디아나라고 부르고 있는 것이다. 그러니까 중국에서 유래된 목련이라는 이름을 여기저기 마구잡이 식으로 아무데나 붙이다 보니 정작 중국에서 진짜 목련이 도입되자 붙일 만한 마땅한 이름을 쉽게 찾을 수가 없었는가 보다. 아무리 그렇다고 하더라도 망글리에티아 포르디아나라는 아무런 뜻도 없는 라틴어 이름은 정말 아닌 것 같다. 예를 들면 중국상록목련 등 보다 친숙한 이름으로 찾아서 붙이면 안되나?
학명 Manglietia fordiana는 1891년 영국 식물학자 Daniel Oliver(1830~1916)가 홍콩에서 채집한 표본을 대상으로 명명한 것인데 속명 Manglietia은 아마 인도네시아에서 이 수종들을 부르는 이름으로 보이며 종소명 fordiana는 그 당시 홍콩에서 활동한 채집가 이름 Ford에서 온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결국 복건 광동 등 중국 남방이 원산지인 이 목련은 백거이 등 중국 유명 문인들의 시에도 등장하는 등 중국인들에게는 매우 친숙한 수종이지만 Manglietia fordiana라는 중국과는 전혀 무관한 학명이 붙어 버린 것을 우리는 망글리에티아 포르디아나라고 하면서 부르고 있는 셈이다. 도중에 통합 바람이 불어 Hu Hsen Hsu 즉 중국 식물분류학의 창시자로 불리는 호선숙(胡先骕, 1894~1968)박사가 1924년 하버드대한 유학시절 목련속으로 통합하여 Magnolia fordiana (Oliv.) H.H. Hu라고 재명명한다. 따라서 현재 통합론자들은 Magnolia속으로 재명명된 후자의 학명을 사용하지만 분리론자들은 여전히 전자의 학명을 사용하고 있다.
아마 우리 선조들은 중국 남방의 상록 목련의 존재를 몰랐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중국의 유명 시인들이 노래한 목련을 모두 우리와 같은 목련으로 생각하였을 것이다. 하지만 중국에서 나무에 피는 연꽃이라는 뜻인 목련(木莲)이라는 이름은 부용(芙蓉)의 별명으로도 쓰인다. 알고 보면 원래 중국에서 부용은 연꽃을 이르는 말이었으며 현재의 부용은 연꽃을 닮았다고 목부용(木芙蓉)이나 지부용(地芙蓉)이라고 불렸으며 이에 대응하여 연꽃을 수부용(水芙蓉)이라고도 하였다. 그러다가 부용 즉 수부용이 하화(荷花) 연화(莲花)등으로 불리다가 나중에는 연(莲)이 중국 정명이 된 것이다. 반면에 목부용, 지부용으로 불리던 부용은 연(莲)에 상응하는 이름 목련(木莲)이라고도 불리게 되었지만 나중에 부용화(芙蓉花)로 널리 불리게 된다. 하지만 지금 현재도 중국 정명이 목부용(木芙蓉)이라는 것이 흥미롭다. 이는 결국 부용이 원래 연꽃을 지칭하는 이름이라는 것을 분명하게 시사하고 있는 것이다. 여하튼 중국에서 목련(木莲)이라고 하면 부용을 말하는 경우도 있어 무조건 목련과 상록 교목들을 지칭하는 것이 아닐 수도 있으므로 신중을 요하게 된다. 목련이라는 이름의 유래를 중국에서는 목련이기본위목(木莲以其本为木) 화형약연이득명(花形若莲而得名) 즉 “목련은 근본적으로 목본이지만 꽃은 연꽃을 닮아서 목련이라고 한다.”라고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이걸로는 부용인지 아니면 목련인지 혹은 목란인지 구분하기 어렵다. 중국에서 목련이라는 이름의 근거로 들고 있는 단성식의 유양잡조에서는 목련화엽사이신이(木莲花叶似辛夷) 화류련(花类莲) 화색상방(花色相仿) 즉 “목련은 꽃과 잎이 신이와 비슷하고 꽃은 연꽃과도 유사하며 꽃 색상 또한 비슷하다.”라고 설명하고 있어 부용이 아님은 분명하다. 여기서 단성식은 그 당시에 중국의 목련과 목란 즉 신이화의 꽃과 잎이 매우 비슷하다고 설명하고 있어 둘이 비슷하기는 하지만 다르다는 것을 이미 파악하고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유양잡조 이전에 쓰여진 목련에 관한 중국 최초의 기록은 따로 있다. 서기 819년에 당나라 유명 시인 백낙천(772~846)이 중국 목련의 자생지로 유명한 파촉 중경의 충주자사로 부임하면서 노래한 목련시병서(木莲诗并序)라는 시가 바로 그 것인데 여기에 덧붙여서 언급한 다음과 같은 내용을 보면 이건 분명하게 부용화나 백목련 등이 아닌 상록 교목을 지칭한다는 것임을 알 수가 있다. 《白乐天集》云 ∶ 木莲生巴峡山谷间,民呼为黄心树。大者高五、六丈,涉冬不凋。身如青杨,有白纹。叶如桂而浓大,无脊。花如莲花,香色艳腻皆同,独房蕊有异。四月初始开,二十日即谢,不结实。此说乃真木兰也。其花有红、黄、白数色。其木肌细而心黄,梓人所重。대충 번역하자면 이렇다. “목련은 중경협 산골짜기에서 자라며 민간에서 황심수라고 한다. 큰 것은 키가 5~6장이고 겨울에도 잎이 지지 않는다. 수피는 청양과 같이 흰 무늬가 있고 잎은 목서와 같이 색이 짙고 크며 꽃은 연꽃과 같고 향기와 색상이 아름답고 매끈하다. 다만 꽃술 구조가 다르다. 4월 초에 개화를 시작하여 20일 후에 지며 결실을 하지 않는다. 이야말로 진짜 목란이다. 꽃 색상은 홍황백 등 다양하며 목재는 결이 세밀하고 황색인데 목공들이 소중하게 여긴다.” 역시 당나라 대시인 백거이는 확실히 식물에 대한 깊은 지식을 가지고 있어 식물학자라고 해도 전혀 손색이 없다. 그가 식물을 노래한 유명한 시를 이 낙은재에서 소개한 것만도 자미화(紫微花)와 모란방(牡丹芳) 억강류(憶江柳) 등 한둘이 아니다. 도리(桃李)와 오동(梧桐)이 등장하는 장한가(长恨歌) 대목도 있었다. 또 그의 자양화(紫阳花)라는 시 때문에 일본에서는 중국에서 수구(绣球) 또는 팔선화(八仙花)라고 부르는 수국을 여태 자양화(紫陽花)로 부른다는 이야기는 매우 유명한 일화이다. 여하튼 백거이는 목련을 819년 노래한 다음 4년 후인 823년에는 남북조시대 전설같은 여전사 화목란(花木兰)을 비유한 희제목란화(戏题木兰花)라는 칠언절구(七言绝句) 시를 발표한다. 그 내용을 보면 그가 목련과 목란을 분명하게 구분하여 인식하고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 여전사 전설은 최근에 유역비 주연의 헐리우드 영화 뮬란(Mulan)으로 탄생하게 되었는데 뮬란이 바로 목란(木蘭)이다. 이에 대하여는 앞 1002번 게시글에서 언급한 바 있다.
등록명 : 망글리에티아 포르디아나
학 명 : Manglietia fordiana Oliv.
이 명 : Magnolia fordiana (Oliv.) H.H. Hu
분 류 : 목련과 망글리에티아속 상록 교목
원산지 : 중국 복건 광동 광서 귀주 운남 등
중국명 : 목련(木莲)
수 고 : 20m
특 징 : 눈지 맹아 홍갈색 단모, 후 탈락 무모
잎특징 : 혁질, 협도란형, 8~17 x 2.5~5.5cm, 선단단급첨, 기부설형, 연엽병초하연, 변연초내권, 하면 홍갈색단모 소생, 측맥 8~12조
잎자루 : 1~3cm, 기부 초팽대
탁엽흔 : 반타원형, 3~4mm
총화경 : 6~11mm, 지름 6~10mm, 1배상 포편 탈락흔, 홍갈색 단유모
꽃특징 : 화피편 순백색, 매률3편, 외륜3편 질교박, 근혁질, 오목, 장원상타원형, 6~7 x 3~4cm, 내2륜 초소, 육질, 도란형, 5~6 x 2~3cm
수 술 : 1cm, 화약 8mm, 약격 둔
암 술 : 암술군 1.5cm, 23~30매 심피, 평활, 기부심피 5~6 x 3~4mm, 중부심피 노출면 너비 5mm, 화주 1mm, 배주 8~10과, 2열
열 매 : 취합과 갈색, 난구형, 2~5cm, 골돌노출면 점상 볼록, 선단 1mm 단훼
종 자 : 홍색
개화기 : 5월
결실기 : 10월
용 도 : 판재용 목재, 열매와 수피 약용
내한성 : 영하 6도
'목련과 > 기타목련속'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89 목련 '브렌다' = 심장황목련 '브렌다' (0) | 2020.11.26 |
---|---|
1073 멕시코우산목련 – 넓은잎목련의 변종 또는 근연종 (0) | 2020.09.25 |
1055 운남초령목 - 초령목과는 거리가 먼 키가 큰 상록 잡성 목련 (0) | 2020.09.15 |
1054 드라베목련 - 중국 운남 원산의 상록 목련 (0) | 2020.09.14 |
1053 코코목련 – 꽃망울이 코코넛을 닮은 화분재배에 적합한 상록 왜성 품종 (0) | 2020.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