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국표식에 목련 'xxx'라는 형식으로 등록된 원예품종들이 무려 123종이나 된다. 여기서 Magnolia kobus 'Norman Gould'와 같이 국명이 목련인 자생종 Magnolia kobus의 원예품종도 3종이 포함되어 있지만 나머지는 우리 토종 목련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고 넓은 의미의 목련 즉 목련속의 종간 교잡종들인 원예품종을 말한다. 목련과 수종들 중에서 같은 종이 아닌 다른 종간의 교잡에 의하여 탄생한 교잡종들은 일부는 Magnolia x soulangeana나 Magnolia x veitchii와 같이 별도 교잡종 학명을 부여하여 표기하는 경우도 있지만 수많은 종들과 종들 사이에서 그리고 2교잡도 아니고 3교잡 4교잡 등 다수의 종간 중복교잡에 의하여 개발되는 경우도 많으므로 이들 모두에게 일일이 학명을 부여할 수가 없기에 이럴 경우 모두 목련속의 원예품종이라는 뜻으로 Magnolia 'xxx' 라고 표기하는 것이다. 이런 품종이 무수히 많겠지만 우리나라에 등록된 것만도 120종이 된다는 뜻이다. 그러니까 우리나라의 경우 앞에서 이미 탐구한 별도 10개의 교잡종 학명으로 표기된 교잡 원예품종 64종을 제외하고도 목련 'xxx'라고 표기되어 등록된 교잡 원예품종이 120종이 더 등록되어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지금부터는 이런 교잡종들 말하자면 이름없는 잡종들에 대하여 하나하나 간단하게 파악하려고 한다. 예상외로 이런 잡종들 중에는 우리나라에 널리 보급되어 이름들이 더러 알려진 품종들이 포함되어 있다.
그런데 이렇게 교잡종 형식으로 등록된 품종들 중에서 교잡종이 아닌 것으로 의심되는 품종들이 더러 있는데 이들부터 먼저 탐구한다. 목련 '브렌다'라고 Magnolia 'Brenda'라는 학명으로 등록된 품종이 있는데 이는 서양에서도 제대로 널리 보급되지도 않았고 알려지지도 않은 품종인데 어떻게 우리나라는 2011년에 이미 등록되어 있다. 그만큼 목련에 관하여는 우리나라에는 세계 최고 수준의 컬렉션을 자랑하는 천리포수목원 덕분에 서양 사람들도 잘 알지도 못하는 품종들을 가까이서 볼 수 있다는 말이 된다. 여하튼 이 품종은 미국 테네시주 Mike Stansberry라는 사람이 선종한 품종으로서 교잡종이 아닌 미국 원산 황목련의 변종인 Magnolia acuminata var. subcordata 즉 심장황목련의 원예품종이라고 대부분 판단하고 있다. 심장황목련은 잎이 심장형이고 키가 상대적으로 작은 특성을 지닌 노란 꽃이 피는 황목련의 변종이다. 그래서 길게 표기하면 하자면 Magnolia acuminata var. Subcordata 'Brenda'라야 하고 줄여서 Magnolia acuminata 'Brenda'라고도 한다. 하지만 육종에 관한 정확한 정보가 없어서 그런지 이를 그냥 Magnolia 'Brenda'이라고 일부에서 표기하기도 한다. 그렇지만 부모종등에 대한 정보가 없어서 교잡종이라는 근거가 없는데 교잡종으로 표기하는 것은 옳은 것 같지는 않다. 따라서 심장황목련의 원예품종으로 수정해야 마땅해 보인다.
등록명 : 목련 '브렌다'
수정명 : 심장황목련 '브렌다'
학 명 : Magnolia 'Brenda'
수정명 : Magnolia acuminata var. subcordata 'Brenda'
분 류 : 목련과 목련속 낙엽 소교목
원산지 : 미국 원산 심장황목련의 원예품종
육종가 : 미국 테네시 Mike Stansberry
수 고 : 5~8m
특 징 : 어린 나이부터 피는 작은 꽃의 노란색상이 매우 짙음
내한성 : 영하 34도
'목련과 > 기타목련속' 카테고리의 다른 글
1315 청색 꽃 목련 - 황목련 '블루 오팔'과 황목련 '블루 베이비' (0) | 2021.01.22 |
---|---|
1073 멕시코우산목련 – 넓은잎목련의 변종 또는 근연종 (0) | 2020.09.25 |
1056 망글리에티아 포르디아나 - 진짜 중국의 목련(木莲)인 상록 교목 (0) | 2020.09.17 |
1055 운남초령목 - 초령목과는 거리가 먼 키가 큰 상록 잡성 목련 (0) | 2020.09.15 |
1054 드라베목련 - 중국 운남 원산의 상록 목련 (0) | 2020.09.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