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 국표식에 국명을 운남초령목이라고 하고 학명을 Magnolia yunnanensis (Hu) Noot.라고 하여 등록된 목련속 아열대성 상록 교목이 있는데 이름 그대로 중국 운남성과 광서성에서 자생하는 수종이다. 키가 30~40m까지도 자라는 매우 큰 나무인 이 수종을 원산지인 중국에서는 운남의단성목련(云南拟单性木兰)이라고 한다. 여기서 단성목련이란 대부분의 목련이 양성화임에도 불구하고 극히 일부인 단성(单性)으로 자웅이주인 수종들을 말한다. 그래서 목련과 분리론자들은 이들을 묶어서 별도의 Kmeria속 즉 단성목련속(单性木兰属)으로 분리하여 분류한다. 그런데 완전하게 자웅이주가 아니고 웅화와 양성화가 각각 다른 나무에서 피는 잡성의 특성을 보이는 수종들이 중국에는 5종이 있는데 이들을 중국에서는 의단성목련(拟单性木兰)이라고 부른다. 그래서 목련과 분리론자들은 이들 5종을 묶어서 의단성목련속(拟单性木兰属) 즉 Parakmeria속으로 별도 분류한다. 여기서 라틴어 para는 영어로 near 또는 beside에 해당되며 가깝다 또는 근사하다라는 뜻이다. 중국명 의단성목련(拟单性木兰)의 의(拟)는 의(擬)의 간자체로서 모방하다 흉내내다 등의 뜻으로 para와 같은 맥락이다. 그리고 중국에서 목란(木兰)의 개념은 우리말 목련과 거의 일치하므로 여기서는 목련이라고 쓴다. 그리고 참고로 의(擬)를 간자체로 쓰면 의(拟)가 되어 닮다 또는 흉내내다의 뜻을 가진 한자 사(似)와 매우 비슷해 졌다. 그러니까 의(拟)와 사(似)는 요즘에 와서는 글자 모양도 비슷하고 뜻도 비슷하다는 말이다. 본론으로 돌아가서 우리가 운남초령목이라고 부르는 중국 이름 운남의단성목련(云南拟单性木兰)인 상록 교목을 통합론자들은 목련속으로 분류하여 Magnolia yunnanensis라고 하지만 분리론자들은 의단성목련속(拟单性木兰属)으로 분류하여 Parakmeria yunnanensis라고 한다는 것이다.


학명 Magnolia yunnanensis (H.H. Hu) Noot.는 1985년 목련과 속들의 통합론에 따라서 네덜란드 식물학자 Hans P. Nooteboom(1934~ )이 재명명한 것이다. 이는 원래 중국 식물분류학의 창시자로 불리는 호선숙(胡先骕, 1894~1968)박사가 운남성 마율파(麻栗坡)현 해발 1,200m 지역에서 또 다른 중국이 낳은 겉씨식물의 세계적인 권위자이자 임학가인 정만균(郑万钧, 1908~1987)원사가 1940년 발견한 표본을 대상으로 Parakmeria yunnanensis H.H. Hu라고 1951년 명명한 것이 시초이다. 그 당시 없던 새로운 Parakmeria속을 호선숙과 정만균이 공동으로 신설하였기에 중국 속명 의단성목련속(拟单性木兰属)과 의미가 일맥상통하는 것이다. 역시 중국은 식물분류학에 관하여는 과거에도 그랬고 지금 현재도 우리보다는 확실하게 앞선 것 같다. 국내서 신종이 발견되어도 제대로 발표를 못하여 인정받지도 못하는 우리의 안타까운 현실과 비교하면 1951년에 이미 새로운 속(Genus)도 창설하였다는 것이 부럽기만 하다. 이들 둘이 공동으로 작업하여 발표한 신종 중에서 중국명 수삼(水杉)을 1948년에 새로운 속을 신설하면서 명명한 Metasequoia glyptostroboides는 세계적으로 유명하다. 이를 우리는 메타세쿼이아라고 한다.


이렇게 원래 중국 원산의 수종을 중국 학자가 별도의 속을 만들어 명명한 학명이 한동안 유지되어 왔는데 나중에 유전자 감식으로 목련과 수종들은 백합나무속을 제외하면 거의 모두 한 핏줄임이 밝혀져 통합바람이 불자 이 수종도 목련속 즉 Magnolia속으로 편입되기는 하였지만 분리론자들은 통합론을 따르지 않고 그대로 Parakmeria속에 그대로 유지시켜 오다가 2008년 중국 학자들에 의하여 목련과를 기존의 속보다 더 많은 20여 속으로 크게 확대 세분하면서 분리론자들이 힘을 얻게 되었다. 그런데 그 사이 다른 종의 변종이나 아니면 다른 종이나 속으로 명명을 시도한 학자들은 일부 있었지만 한번도 초령목속 즉 Michelia속으로 분류한 학자들은 없었는데 우리나라서 엉뚱하게 이를 운남초령목이라고 이름을 붙이고 있어 또 하나의 엉터리 이름을 만들고 말았다. 이 수종은 절대로 운남초령목이라고 해서는 안된다. 그 이유는 이 수종은 꽃이 가지 끝에 하나씩 피므로 초령목의 가장 큰 특징인 줄기 가운데 액생하는 것과 다르기도 하지만 무엇보다도 중국에는 국내 미등록종이지만 진짜 운남초령목 즉 운남함소(云南含笑)라고 불리는 학명 Michelia yunnanensis인 관목이 따로 있기 때문이다.
등록명 : 운남초령목 (잘못된 이름)
학 명 : Magnolia yunnanensis (H.H. Hu) Noot.
신학명 : Parakmeria yunnanensis H.H. Hu
분 류 : 목련과 목련속 상록 교목
신분류 : 목련과 의단성목련속 상록 교목
원산지 : 중국 운남성
중국명 : 운남의단성목련(云南拟单性木兰)
수 고 : 30~40m
수 피 : 회백색, 광활 불렬
잎특징 : 박혁질, 난상 장원형 난상 타원형, 6.5~20 x 2~5cm, 선단 단첨 혹 점첨, 기부 활설형 근원형, 상면 녹색, 하면 담록색, 눈엽 자홍색, 측맥 7~15조, 양면 망맥
잎자루 : 1~2.5cm
꽃특징 : 웅화와 양성화 이주, 방향
웅 화 : 화피편 12매 4륜, 외륜 홍색, 도란형, 4 x 2cm, 내 3륜 백색, 육질, 협도란상 숟갈형, 3~3.5cm, 기부 점협 손톱모양, 웅예 30매, 2.5cm 길이 화약 1.5cm, 화사 10mm, 홍색, 화탁 정단원
양성화 : 화피편 12, 웅예 극소, 암술군난원형, 녹색
취합과 : 장원상 난원형, 6cm, 골돌릉형, 성숙시 배봉선 개열
종 자 : 편평, 6~7mm 길이, 10mm 너비, 외종피 홍색
개화기 : 5월, 과기 9~10월
내한성 : 영하 6도























'목련과 > 기타목련속'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73 멕시코우산목련 – 넓은잎목련의 변종 또는 근연종 (0) | 2020.09.25 |
---|---|
1056 망글리에티아 포르디아나 - 진짜 중국의 목련(木莲)인 상록 교목 (0) | 2020.09.17 |
1054 드라베목련 - 중국 운남 원산의 상록 목련 (0) | 2020.09.14 |
1053 코코목련 – 꽃망울이 코코넛을 닮은 화분재배에 적합한 상록 왜성 품종 (0) | 2020.09.13 |
1052 피라미드목련 - 미국 원산 프레이저목련의 변종이거나 근연종 (0) | 2020.09.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