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명 Michelia skinneriana Dunn로 등록된 스키너초령목은 중국 절강성에서 그 이남인 복건성 호남성 광동성 광서성까지가 원산지인 상록수로서 촛대초령목 즉 함소화를 매우 닮은 교목 또는 소교목으로서 중국 이름은 야함소(野含笑)이다. 우리나라 국명을 스키네리아나초령목이라고 하다가 최근에 스키너초령목이라고 한 것은 종소명 skinneriana가 영국 출신으로 남미 과테말라에서 사업을 하면서 식물 채집가 및 식물학자로 활동한 George Ure Skinner(1804~1867)라는 사람의 이름에서 온 것이다. 스키너 본인이 이 중국 원산의 야함소와는 직접적인 관련은 없지만 아마 명명자인 영국 식물학자 Stephen Troyte Dunn (1868~1938)과 어떤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던(Dunn)은 홍콩 국기 역할을 하는 홍화양제갑(红花羊蹄甲)으로 불리는 Bauhinia blakeana를 발견 명명한 것으로 유명하며 앞에서 본 모드초령목을 그의 아내 Maud의 이름으로 명명한 사람이기도 하다.
학명 Michelia skinneriana Dunn는 복건성 남평시 연평(延平)구에서 발견한 표본을 대상으로 1908년 미켈리아속으로 명명한 것인데 이 또한 목련속으로 통합 바람이 불자 2008년 네덜란드 식물학자 Hans Peter Nooteboom에 의하여 목련속으로 변경되어 Magnolia figo var. skinneriana (Dunn) Noot.라고 재명명된다. 그래서 현재 통합론자들은 모두 후자의 학명을 사용하고 있지만 중국과 우리나라 등 일부에서는 독립된 미켈리아속으로 명명된 학명 Michelia skinneriana Dunn로 표기하고 있다. 미켈리아속으로 분리할 때는 독립된 종으로 분류하다가 목련속에 통합하면서는 함소화의 변종으로 분류되는 다소 어정쩡한 상태에 있는 것이다. 이 종이 함소화 즉 촛대초령목과 다른 점은 우선 원산지에서는 최대 15m까지 자라는 교목이라는 점이다. 물론 외국에서는 그만큼 자라지는 않지만 그래도 6~9m 정도는 자라므로 기본적으로 왜성인 함소화와는 다른 것이다. 그리고 꽃 색상도 담황색으로 붉거나 자주색이 없어 홍색 또는 자색 테두리를 띠고 있는 함소화와 구분이 된다. 그리고 함소화에 비하여 잎도 더 크고 끝이 보다 더 뾰족한 편이고 화피편이 상대적으로 얇다. 그리고 암술군에 털이 없는 함소화와는 달리 갈색모가 있다는 점이 다르다. 그리고 내한성은 함소화에 비하여 좀 더 강한 편이다. 그렇다고 우리나라 중부지방에까지 식재할 정도는 아니다.
등록명 : 스키너초령목
학 명 : Michelia skinneriana Dunn
이 명 : Magnolia figo var. skinneriana (Dunn) Noot.
분 류 : 목련과 미켈리아속 상록 소교목 교목
원산지 : 중국 중남부
중국명 : 야함소(野含笑), 연평함소(延平含笑)
수 고 : 4.5 ~9m 원산지 15m
특 징 : 함소화와 매우 비슷하지만 더 크고 꽃은 담황색이며 잎이 뾰족하고 암술군에 갈색모가 있고 내한성이 강하다.
개화기 : 5~6월
결실기 : 8~9월
내한성 : 영하 15도
주로 해발 1,500m 이하 산이나 들 물가 등에서 자라므로 야함소(野含笑)라고 하며 발견지가 복건성 연평이라서 중국에서 연평함소(延平含笑)라고도 부른다.
'목련과 > Michelia(함소)속'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67 교잡 원예종 포그초령목과 초령목 '올스파이스' (0) | 2020.09.23 |
---|---|
1066 마틴초령목 = 황심야합(黄心夜合) (0) | 2020.09.22 |
1064 자주촛대초령목 = 자화함소(紫花含笑) (1) | 2020.09.22 |
1063 촛대초령목 = 함소화(含笑花) (0) | 2020.09.21 |
1062 단초령목 '실버 클라우드' - 왜성 조기 개화 품종 (0) | 2020.09.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