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시만병초는 인도북부와 네팔 부탄 그리고 중국 티벳 등 히말라야를 둘러싼 지역에서 자생하는 심홍색 또는 주홍색 꽃이 피는 키가 6~8m까지 자라는 큰 관목 또는 소교목인데 특이하게 어린 가지와 잎자루 및 잎 뒷면 그리고 자방과 열매 등에 뻣뻣한 수염과 같이 생긴 털이나 자루가 있는 선모(腺毛)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그래서 이를 처음 발견한 네덜란드 동인도회사에 근무하던 외과의사 겸 식물학자인 Nathaniel Wolff Wallich (1786~1854)가 1821년 이전에 네팔 Gosain Than에서 표본을 채집하고 1824년에 Rhododendron barbatum Wall.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그 당시 그는 인도의 캘커타 왕립식물원 책임자로 근무하고 있었는데 본인이 직접 채집하거나 다른 채집가들이 수집한 표본 20,000점을 모아서 이른바 ‘Wallich Catalogue’라는 목록을 만들어 동양 식물을 서양에 소개하는 데 큰 업적을 남긴 사람이다. 우리 국표식에도 그의 이름으로 명명되거나 그가 명명한 학명이 현재 121건이나 등록되어 있다. 개인적으로는 천리포수목원에 있는 너무나 매력적인 차나무과 상록 교목인 스키마 스페르바가 한때 왈리치스키마라는 명패를 달고 있었기에 왈리치라는 이름이 새삼스럽다.
여하튼 여기서 종소명 barbatum은 영어로 Bearded 또는 barbed라는 뜻으로 수염과 같은 뻣뻣한 털이 있다는 뜻이다. 여기서 이발사나 이발소를 뜻하는 영어 barber나 barbershop이라는 말이 생겼는데 흥미로운 것은 이발사는 원래 머리털이 아닌 수염을 깎고 다듬는 사람을 말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그런지 서부영화에서 총잡이들이 이발소에 있는 장면은 영락없이 모두 면도하는 장면이고 실제로 머리털을 자르는 장면을 본 기억이 없는 것 같다. 그리고 요즘 같은 편리한 면도기가 없던 시절 면도가 이발보다는 훨씬 기술을 요하는 작업 같기는 하다. 여하튼 이 종소명을 따라서 중국에서도 이 수종의 이름을 경자두견(硬刺杜鹃)이라고 즉 단단한 가시가 있는 만병초라는 이름으로 부르기에 우리도 당초에는 바르바툼만병초라고 하다가 현재는 가시만병초라고 수정한 것 같다. 실제로 이 수종에는 가시는 아니지만 뻣뻣한 가시와 같은 털이 있기 때문이다. 중국에서는 이 수종을 묘사할 때 가시를 뜻하는 자(刺)라는 단어는 없고 다만 가시와 다를 바 없는 강모(刚毛)가 잎 뒷면 중륵 부근에 조금 있고 그 외에 어린 가지나 잎자루에는 모두 뻣뻣한 수상모(硬的须状毛)가 있다고만 언급하고 있으면서도 이를 경자두견(硬刺杜鹃)이라고 부르는 것은 조금 과장되 보이기는 한다.
왈리치가 표본을 채집하여 이름을 붙이고 식물 자체도 1829년경에 영국 왕실정원인 큐 등으로 보내 유럽 최초의 가시만병초 도입이 되었지만 학명이 제대로 인쇄되어 발표된 것은 1834년 스코틀랜드 식물학자 겸 식물채집가인 George Don (1798~1856)에 의해서 이다. 그래서 이 학명은 Rhododendron barbatum Wall. ex G. Don이라고 대부분 표기하지만 우리나라는 원 명명자를 뺀 Rhododendron barbatum G. Don이라고 등록하고 있다. 조지 돈은 우리 자생종 만병초도 그의 동생이자 식물학자인 David Don(1799~1841)이 명명한 Rhododendron brachycarpum을 출판한 사람이기도 하다. 이 수종은 꽃과 수피가 아름답기는 하지만 내한성이 약하여 우리나라 중부지방에서는 그림의 떡이다.
등록명 : 가시만병초
학 명 : Rhododendron barbatum Wall. ex G. Don
이 명 : Rhododendron barbatum G. Don
분 류 : 진달래과 진달래속 상록 관목 소교목
그 룹 : 로도덴드론, 만병초아속
원산지 : 히말라야 인근 인도 네팔 부탄 중국
중국명 : 경자두견(硬刺杜鹃)
수 고 : 1.5~8m
줄 기 : 유지 수상모, 노지 회갈색, 무모, 박피 탈락
잎특징 : 혁질 9.8~18 x 3.5~5.8cm, 상 녹색 하 백록색, 중맥 기부 강모,
잎자루 : 1.2~2.2cm, 흑갈색 수상선모
꽃차례 : 10~20송이 밀집, 총화축 5mm, 무모
꽃받침 : 대, 7~15mm, 배상, 홍색을 띤 녹새, 5렬
꽃부리 : 육질, 관상종형, 지름 3~3.6cm, 심홍색 혈홍색, 5렬, 정단 심결각
수 술 : 10개, 부등장, 1.3cm, 화사 백색, 화약 자흑색
자 방 : 원추형, 유병선체 밀생
열 매 : 삭과, 원주형, 2~2.4cm, 선모, 기부 화악 숙존
개화기 : 5~6월, 5주간 개화 지속
내한성 : 영하 15도
'진달래과 진달래속 > 만병초아속' 카테고리의 다른 글
1387 대왕만병초 - 잎이 엄청나게 큰 중국 고유종 (0) | 2021.04.02 |
---|---|
1386 종화만병초 - 히말라야 원산 중국명 종화두견(钟花杜鹃) (0) | 2021.03.31 |
1384 불범만병초 - 부범만병초(x) 중국 원산 불범두견(不凡杜鹃) (0) | 2021.03.29 |
1383 은엽만병초 - 은협만병초(x) 중국 은엽두견(银叶杜鹃) (0) | 2021.03.28 |
1382 미국만병초 - 시중의 미국만병초와는 전혀 다른 소교목 (0) | 2021.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