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진달래과/진달래과 기타아과

1680 카시오페 테트라고나 – 북반구 한대 고산식물

낙은재 2022. 1. 7. 18:36

카시오페 테트라고나
카시오페 테트라고나

 

카시오페 테트라고나라는 국명에 학명 Cassiope tetragona (L.) D.Don으로 등록된 왜성 관목이 있는데 핀란드와 노르웨이 등 북유럽과 러시아 시베리아 알래스카 캐나다 그린란드 등의 고산지대에서 자생하는 한대식물이다. 카시오페속 즉 Cassiope는 진달래과 카시오페아과 즉 Cassiopeoideae의 유일한 속으로서 전세계 모두 17종으로 구성되어 있다. 줄기가 주로 옆으로 퍼지거나 살짝 올라가면서 자라는 왜성 관목 또는 초본 같이 생긴 반관목으로서 십자모양으로 교차 대생하는 인편으로 덮인 잎이 줄기에 밀착하여 마치 녹색 끈 같은 특이한 모습을 하고 있는 이 수종들은 우리나라에서는 자생하지 않지만 일본에는 한 종이 자생하고 중국에는 무려 11종이나 자생하고 있어 역시 중국에는 정말 다양한 식물들이 분포한다는 것을 다시 한번 일깨워 주고 있다. 중국과 일본에서 자생하는 식물인데다가 양국 모두 같은 취지인 바위수염이라는 뜻의 이름으로 부르므로 웬만하면 우리도 따라가면 되련만 무슨 고집인지 아니면 성의가 없는지 그냥 라틴어 학명의 발음 그대로 등록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카시오페속이 자생하지 않지만 4개의 원종과 하나의 원예품종이 등록되어 있는데 우선 카시오페속의 모식종인 카시오페 테트라고나부터 탐구한다.

 

중국과 일본에서는 이 카시오페속 수종들이 주로 암석지대 바위에 붙어서 가는 줄기가 나오면서 자라므로 바위수염이라는 뜻으로 쓰지만 한자표기는 약간 다르다. 먼저 중국에서는 암수(岩须) 즉 번자체로 암수(巖鬚)로 표기한다. 그런데 일본에서는 바위수염을 암수(岩须)가 아닌 암자(岩髭)로 쓰고 이와히게라고 발음한다. 수와 자 모두 얼굴에 나는 수염을 뜻하지만 굳이 구분하자면 수(鬚, 须)는 입술 아래 턱수염을 뜻하고 자(髭)는 입술 위 콧수염을 뜻한다. 참고로 귀밑에서 턱까지 잇따라 나는 구레나룻은 또 다른 한자인 염(髯)이나 호(鬍, 胡)로 표기하여 중국에서는 수염을 매우 중시하였던지 매우 세분된 글자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암석지대에서 주로 자란다.

 

카시오페(Cassiope)라는 속명은 우리가 익히 들어 온 카시오페이아(Cassiopeia)에서 온 것이다. 카시오페이아는 그리스 신화속의 왕국인 아에티오피아(Aethiopia)의 케페우스왕의 왕비였는데 자기 미모를 믿고 오만하기로 유명한 인물이다. 바다의 신 포세이돈의 딸들보다 자기와 자기의 딸인 안드로메다(Andromeda)가 더 아름답다고 떠들다가 포세이돈의 노여움을 사 물난리로 나라가 멸망하게 되자 신탁의 조언대로 자기 딸인 안드로메다를 포세이돈이 보낸 바다의 괴물이자 여신인 케투스(케토)에게 제물로 바치게 된다. 마침 메두사를 처치하고 오던 그리스 신화의 영웅이자 나중에 미케네의 왕이 되는 페르세우스가 이 장면을 보고 케투스를 처지하고 안드로메다공주를 구하여 둘이 결혼하게 된다. 그런데 그 결혼을 반대하던 안드로메다의 약혼자가 난입하여 전투 중에 카시오페이아는 케페우스와 함께 돌이 되어 버렸다고 한다. 그래서 제우스가 애석하다고 하늘에 별자리를 만들어 주었고 나중에 딸인 안드로메다와 사위 페르세우스가 죽자 이들도 카시오페이아 자리 근처에 별자리를 만들어 주었다고 한다.

카시오페이아 별자리와 제물로 바쳐진 안드로메다를 구하는 페르세우스와 감사 인사를 하는 카시오페이아와 케페우스

 

이렇게 다소 장황하게 이야기하는 이유는 이 카시오페 테트라고나 수종이 원래는 식물분류학을 창설하면서 린네가 1753년 바로 진달래과 안드로메다(장지석남)속으로 분류하여 Andromeda tetragona L.이라는 학명을 부여하였던 것을 스코틀랜드 식물학자인 David Don (1799~1841)이 1834년에 카시오페(Cassiope)라는 속을 신설하여 분리하여 현재의 학명인 Cassiope tetragona (L.) D.Don로 재명명한 것이기 때문이다. 즉 처음 딸 이름의 속으로 분류되었던 수종들을 나중에 어머니 이름의 속을 신설하여 분리하였다는 이야기가 되는 것이다. 여기서 종소명 tetragona는 4각이라는 뜻으로 줄기에 4개의 모서리가 있기 때문인데 그래서 중국에서는 이 수종을 사릉암수(四棱岩须)라고 부른다.

 

등록명 : 카시오페 테트라고나

학   명 : Cassiope tetragona (L.) D.Don

분   류 : 진달래과 카시오페속 상록 왜성 관목

원산지 : 북반구 북부 고산지대. 중국, 일본

영어명 : Arctic bell-heather, white Arctic mountain heather, Arctic white heather

중국명 : 사릉암수(四棱岩须)

수   고 : 10~20cm

잎특징 : 4mm 길이, 4렬 교호대생

꽃특징 : 1송이, 백색 종형, 4~6mm 길이, 수술 10개

꽃자루 : 1.6~2.0cm, 적색

꽃받침 : 5렬 녹적색

개화기 : 4~5월

용   도 : 식용, 향료

내한성 : 영하 48도

 

카시오페 테트라고나
카시오페 테트라고나
카시오페 테트라고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