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늬꽃치자
치자나무 '라디칸스 바리에가타'
이번에는 용담목 꼭두서니과 치자나무속 상록관목에 대하여 알아본다. 천년 이상의 재배 기록이 있는 중국이 모두 원산으로 중국에서는 보다 더 다양한 품종들이 있지만 우리나라에는 기본종과 왜성종 그리고 무늬종 등 4개 수종이 등록되어 있다. 자기들도 원산지라고 하는 일본과는 달리 우리나라는 남부지방에서 천년 이상 길러왔다고 하면서도 중국에서 건너온 것으로 인정하고 있다. 이 땅에 터 잡고 1,500년 이상 살았으면 그 옛날 중국에서 건너 온 근거가 확실하더라도 우리 자생종이라고 주장해도 되는 것 아닌가?
기본종은 치자나무이다. Gardenia jasminoides Ellis라는 학명을 쓰는데 중국에서 자생하던 식물을 영국의 식물학자 존 엘리스가 1750년에 영국으로 가져갔으며 그 당시 유명한 식물 세밀화가 Georg Ehret가 자스민 같다고 하자 이런 이름을 지었다고 한다. 영어명 Cape jasmine은 초창기 유럽에서 향기가 좋은 이 나무를 꽃이 비슷하여 남아공 케이프타운에서 온 자스민으로 잘못 알고서 부른 이름이라고 한다.
등록명 : 치자나무
학 명 : Gardenia jasminoides Ellis
분 류 : 꼭두서니과 치자나무속 상록관목
원산지 : 중국
중국명 : 치자화 (梔子花)
일본명 : クチナシ(梔子)
영어명 : Cape Jasmine
잎차례 : 대생, 간혹 3엽 윤생
개화기 : 6~7월
꽃모양 : 향이 있는 홑겹꽃과 겹꽃
결실기 : 9월
수 고 : 3m
생약명 : 치자(과일), 치자화, 치자화근, 치자엽 전체를 약으로 쓴다.
추위에 약하여 우리나라 남부지방에서만 노지재배가 가능한 치자나무는 건조를 싫어하므로 물주기를 게울리하지 말아야 하며 뿌리를 깊게 많이 내리므로 화분의 크기는 좀 넉넉한 것이 좋다. 꽃이 진 다음부터 봄까지 계속 꽃망울을 맺히므로 전정을 하려면 꽃이 진 직후인 7~8월 밖에는 없다.
치자나무
치자나무
치자나무
치자나무 겹꽃
치자나무 겹꽃
씨앗이 성숙하여도 열린 틈이 없다고 일본에서는 구치나시 (口無, クチナシ)로 부름
겹꽃이 피는 변종 중에서는 열매를 맺지 못하는 것들도 있음
================================
등록명 : 꽃치자 (좀치자나무)
학 명 : Gardenia jasminoides var. radicans (Thunb.) Makino
원산지 : 중국
중국명 : 수치자 (水梔子) 또는 작설치자화 (雀舌栀子花)
일본명 : 히메구치나시 (ヒメクチナシ, 姫梔子, 小梔子)
영어명 : Dwarf Cape Jasmine
잎차례 : 대생, 간혹 3엽 윤생
개화기 : 6~7월
꽃모양 : 방향 겹꽃이 기본이지만 홑겹꽃도 있음
결실기 : 9월
수 고 : 60cm
꽃치자는 겹꽃만 피고 홑겹꽃은 없는 것으로 알고 있으나 반드시 그렇지는 않고 열매가 없다는 말들도 있는데 틀린 말이다.
꽃치자
꽃치자
꽃치자
꽃치자
꽃치자 열매
꽃치자도 이런 열매가 있다
=====================================
등록명 : 치자나무 '라디칸스 바리에가타'
학 명 : Gardenia jasminoides 'Radicans Variegata'
일본명 : 후이리히메구치나시 (斑入リ姫梔子)
꽃치자 무늬종이므로 여타 특성은 꽃치자와 동일할 것으로 보인다.
치자나무 '라디칸스 바리에가타'
치자나무 '라디칸스 바리에가타'
치자나무 '라디칸스 바리에가타'
등록명 : 치자나무 '라디칸스 바리에가타'
학 명 : Gardenia jasminoides 'Radicans Variegata'
우리집 화분인데 특이하게 한쪽 가지는 꽃치자 형상이 남아 있다.
중부에서 노지월동은 불가능하다.
===========================
미등록종이지만 무늬치자나무도 있다. 즉 왜성종이 아닌 치자나무의 무늬종을 말한다.
무늬치자나무와 치자나무 비교
무늬치자나무
무늬치자나무
무늬치자나무
그 외 등록종으로 치자나무'마루바' Gardenia jasminoides 'Maruba'가 있는데 실제로 그 어떤 자료도 안보이고 대부분의 나라에서 기본종의 이명처리하는 학명인 것 같다. 사실 치자나무나 꽃치자나 잎과 꽃의 크기 그리고 나무의 높이 정도만 차이가 나는데 원산지 중국에 가면 꽃치자(수치자)가 2m까지 자란다고 하니 그 또한 뚜렷한 변별점이 되지 못한다. 우리나라 국생정 정보에 의하며 치자나무는 호생엽, 꽃치자는 대생엽이라고 잘못 기재되어 있는데 모두 대생이며 간혹 3엽 윤생이 있다. 따라서 이들 간에 서로 큰 차이점이 없어서 기본종과 변종 모두를 하나로 통합하여 Gardenia jasminoides Ellis로 취급하는 나라들이 대부분이다. 그러므로 결국 린네의 이명법에 따라 속명과 종명이 같은 식물은 더 이상 분류하려고 애쓸 필요는 없어 보인다. 따라서 치자나무니 꽃치자니 하면서 너무 정확하게 세분하려는 것은 무의미하며 그저 작은 녀석은 좀치자나무(꽃치자), 무늬가 있으면 무늬치자나무 하면 될 것 같다.
'기타 과 식물 > 꼭두서니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5 수정목(壽庭木) - 크고 넓은 잎을 가진 호자나무 (0) | 2016.12.28 |
---|---|
234 호자나무와 파극천, 노니 그리고 수정목, 무주나무 (0) | 2016.12.27 |
233 구슬꽃나무 - 중대가리나무, 필룰리페라구슬꽃나무, 라케모사구슬꽃나무 (0) | 2016.12.27 |
57 백정화(Serissa japonica, 白丁花) (0) | 2016.02.27 |
52 익소라(Ixora, 龙船花) (0) | 2016.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