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장미과 아몬드아과/사과나무속

87 메이폴 애플과 퍼플 웨이브 그리고 레드 제이드(처진꽃사과)

낙은재 2016. 4. 3. 01:05

이제 우리나라에 등록된 사과나무속 나무들 중 나머지들을 알아본다. 이로써 우리나라에 등록된 사과나무속 20개 수종을 모두 훑어본 셈이된다. 우리 자생종 중 정체가 불분명하고 정보가 부족한 민야광나무와 좀야광나무를 제외한 것이 아쉽다. 


등록명 : 개량사과나무 '메이폴'

과거명 : 도메스티카꽃사과 '메이폴' 

학명 : Malus domestica 'Maypole


등록명 : 개량사과나무 '메이폴'

과거명 : 도메스티카꽃사과 '메이폴' (이 포스팅 이후 우리나라 등록명이 변경됨)

학  명 : Malus domestica 'Maypole

분  류 : 장미과 사과나무속 재배종

원산지 : 미국 

영어명 : columnar apple, Apple 'maypole' 등 

사이즈 : 높이 3m 너비 60cm

내한성 : 전국 노지월동 가능

개화기 : 4월

꽃색상 : 짙은 분홍색, 향기 있다.

과일색 : 진홍색 지름 5~6cm에 단맛이 난다.

결실기 : 9월

채  광 : 직사광선을 좋아함 

잎색상 : 연한 자홍색에서 황녹색으로 변하였다가 가을에 진홍색으로 단풍이 든다.

용  도 : 젤리 등 가공식용


미국 미조리주 루지에나에 있는 Stark Brothers Nurseries and Orchards사에서 개량하여 독점 공급하는 원예종 발레리나 시리즈 중 하나로서 원통형으로 높게만 자라는 형이므로 좁은 공간을 활용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비록 지름 8cm에 미달하여 사과로 분류하기에는 조금 미흡하지만 무려 지름이 6cm나 되어 2cm 안팎인 일반 꽃사과 열매들과는 차원이 다른 약간 작은 사이즈의 사과라 할 수 있다. 학명 또한 사과의 종명 domestica를 쓰므로 영어명도 crabapple보다도 그냥 apple을 주로 쓴다.


등록명 : 도메스티카꽃사과 '메이폴' 

학명 : Malus domestica 'Maypole


등록명 : 도메스티카꽃사과 '메이폴' 

학명 : Malus domestica 'Maypole


등록명 : 도메스티카꽃사과 '메이폴' 

학명 : Malus domestica 'Maypole


등록명 : 도메스티카꽃사과 '메이폴' 

학명 : Malus domestica 'Maypole

이렇게 좁게 위로만 자라는 것이 이 수종의 특징이다.


등록명 : 도메스티카꽃사과 '메이폴' 

학명 : Malus domestica 'Maypole


등록명 : 도메스티카꽃사과 '메이폴' 

학명 : Malus domestica 'Maypole

개화기와 결실기 잎의 색상이 다르다.


등록명 : 도메스티카꽃사과 '메이폴' 

학명 : Malus domestica 'Maypole

가을 단품의 모습이다.


등록명 : 도메스티카꽃사과 '메이폴' 

학명 : Malus domestica 'Maypole

속도 붉은 색이다.

=====================



등록명 : 꽃사과 '퍼플 웨이브'

학  명 : Malus 'Purple Wave

분  류 : 장미과 사과나무속 원예종

원산지 : 미국

사이즈 : 높이 6m 너비 6m

개화기 : 5월

꽃색상 : 분홍색, 자적색

잎색상 : 암자녹색, 암황녹색

결실기 : 10월

과색상 : 자적색 체리 사이즈 열매

내한성 : 전국 노지월동 가능



등록명 : 꽃사과 '퍼플 웨이브'

학  명 : Malus 'Purple Wave


등록명 : 꽃사과 '퍼플 웨이브'

학  명 : Malus 'Purple Wave


등록명 : 꽃사과 '퍼플 웨이브'

학  명 : Malus 'Purple Wave


등록명 : 꽃사과 '퍼플 웨이브'

학  명 : Malus 'Purple Wave

열매가 5~6cm의 메이폴에 비하여는 2cm 정도에 불과하여 매우 작다.



애기사과라고 구입한 우리집 나무인데 개화기에는 잎이 자주색이다가 결실기에 이렇게 녹변하여 그동안 막연하게 메이폴이겠거니 했더니 

수형이 수직기둥형이 아니며 열매가 작고 꽃받침조각이 남는 모양 등으로 봐서 메이폴은 절대 아닌 것 같다. 열매 사이즈나 가지가 옆으로 퍼지는 특성 그리고 개화기 꽃과 잎모습이 퍼플 웨이브를 꼭 닮았으나 결실기에 잎의 색상이 녹색으로 변하는 것이 확연하여 좀 달라 보이다. 올해 유심히 관찰해야겠다. 세상에는 워낙 원예종들이 많으니까.. 어디서 흘러들어 온 녀석인지 궁금하다.


========================



등록명 : 스케이데커리꽃사과 '레드 제이드'

학명 : Malus x scheideckeri 'Red Jade' 

교잡원예종으로서 줄기가 처지는 특성을 가진 처진꽃사과나무이다.


등록명 : 스케이데커리꽃사과 '레드 제이드'

학명 : Malus scheideckeri 'Red Jade' 

교잡원예종으로서 줄기가 처지는 특성을 가진 처진꽃사과나무이다.


등록명 : 스케이데커리꽃사과 '레드 제이드'

학명 : Malus scheideckeri 'Red Jade' 

교잡원예종으로서 줄기가 처지는 특성을 가진 처진꽃사과나무이다.

=========================


마지막으로 푸밀라꽃사과 '둘키심'이란 것이 있는데 학명은 Malus pumila 'Dulcissim'로 등록 되어 있다. 아무래도 실수이거나 오타가 아닌가 한다. 즉 이런 학명은 세상 어느 족보에도 없다는 뜻이다. 학명이 Malus asiatica Nakai인 능금나무의 이명에 Malus dulcissima Koidz. 및 Malus pumila var. dulcissima Koidz. 등 dulcissima가 들어간 학명이 이명으로 무려 5개나 나오는데 이 것을 착각하여 어느 수목원에서 등록한 것이 아닐까 추측해 본다. 과거에는 국생정이나 국표식 자료는 무조건 옳다고 생각하고 거기서부터 시작하여 상호 모순되거나 상충되는 정보를 가지고 씨름을 하곤 했는데 요즘 보니 곳곳에 오류투성이라서 무조건 신뢰할 수도 없고 하지도 않는다. 참고로 둘키시마(dulcissima)는 단맛이 난다는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