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주나무
이번에는 조구나무와 같이 Sapium속에 있다가 아주 여러번 속명을 변경한 끝에 1954년 일본학자에 의하여 시라키아(Shirakia)속으로 분리되었으나 완전하게는 인정받지는 못하고 있다가 1998년 중국학자에 의하여 네오시라키아(Neoshirakia)로 최종 분리된 사람주나무에 대하여 알아본다. 따라서 기존 학명은 Sapium japonica 이지만 신학명은 Neoshirakia japonica이다. 그러나 아직 우리나라와 중국에서는 구학명으로 분류하고 있어 신학명을 사용하는 일본과는 대비된다.
중국에서 이 나무를 흰 오구나무라고 백목오구로 부른다. 목재가 흰색이라서 백목이라고 한다는데 수피가 하얗기 때문에 그런 줄로 아는 사람들도 많다. 일본도 중국을 따라서 오구를 뺀 그냥 백목으로 부르고 있다. 일본에서는 오구나무를 중국 남경에서 온 밀랍이 나오는 나무라고 남경황로로 부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본의 황로는 산검양옻나무이므로 옻나무과라서 분류체계상 오구나무와는 거리가 멀다. 우리나라에서는 이 나무를 줄기가 사람 피부와 같이 하얗고 잎이 불그스름하다고 사람주나무라고 부른다고 한다. 백목이라고 하는 중국이나 일본의 이름과 전혀 무관하지만은 않은 일맥상통하는 이름이다.
등록명 : 사람주나무
학 명 : Sapium japonicum (Siebold & Zucc.) Pax & Hoffm.
신학명 : Neoshirakia japonica (Siebold & Zucc.) Esser
분 류 : 대극과 사람주나무속 관목 또는 소교목
신분류 : 대극과 네오시라키아속
원산지 : 우리 자생식물, 중국 , 일본
중국명 : 백목오구(白木乌桕)
일본명 : 시라키(シラキ : 白木)
수 고 : 1~8m
전 체 : 무모
가 지 : 섬세, 평활, 회갈색
잎특징 : 호생, 지질, 난형, 난상장방형, 타원형
잎크기 : 7~16 x 4~8cm
잎모양 : 정단첨, 기부둔, 재평혹미심형, 양측부등, 전연, 배면과 기부에 선체
잎 맥 : 8~10조
잎자루 : 1.5~3cm
꽃특징 : 단생, 자웅동주동서, 4.5~11cm 총상화서, 숫꽃은 상부에 암꽃은 기부에, 가끔 전체 수꽃
수 꽃 : 화경선상, 1~2mm
수포편 : 하부의 포편이 상부에 비해 길다. 난형, 난상피침형, 2~2.5 x 1~1.2mm, 기부양측선체, 매포편 3~4꽃
꽃받침 : 컵모양, 3렬, 렬편 소거치
꽃수술 : 3매, 가끔2매, 꽃받침밖으로 나옴, 꽃밥 구형으로 수술대보다 짧음
암 꽃 : 화경 굵고 튼튼함, 6~10mm
암포편 : 3심렬, 열편피침형, 2~3mm, 중간렬편이 큼, 양측렬편 선체
꽃받침 : 3, 삼각형, 길이와 지름 비슷
자 방 : 날구형, 평활, 3실, 화주기부 합생, 주두3, 외권
열 매 : 삭과 3능상 구형, 지름10~15mm, 분과편 탈락후 중축 무숙존
종 자 : 편구형, 6~9mm, 납질아닌 가종피, 아치의 종갈색 반문
개화기 : 5~6월
이 나무 남부지방에서만 노지 월동 가능한 수종으로 아는 분들이 더러 있는데 그렇지 않다. 경기도 강원도에서도 거뜬히 추운 겨울을 난다.
사람주나무
새순이 나오는 모습
사람주나무
사람주나무
사람주나무
사람주나무
사람주나무
사람주나무
아래 길게 나온 것이 암꽃이고 위가 수꽃이다.
사람주나무
사람주나무
사람주나무 수꽃
사람주나무 암꽃
사람주나무
사람주나무
사람주나무
사람주나무
사람주나무
사람주나무
사람주나무 수피
사람주나무 수피
아랫부분이 울퉁불퉁한 것이 특징이다.
사진출처 : 약초도감
사람주나무
사람주나무
사람주나무
사람주나무
사람주나무
사람주나무
사람주나무
사람주나무
'기타 과 식물 > 대극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387 유동(油桐) - 열매에서 공업용 기름을 얻는 나무 (0) | 2017.10.03 |
---|---|
199 조도만두나무 - 우리나라 고유의 세계적인 희귀보호종 (0) | 2016.11.21 |
136 오구나무, 조구나무 (0) | 2016.07.19 |
63 포인세티아(Euphorbia pulcherrima) 관리방법 (0) | 2016.03.05 |
25 자트로파 인테게리마 (마타피아) (0) | 2016.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