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기타 과 식물/대극과

63 포인세티아(Euphorbia pulcherrima) 관리방법

낙은재 2016. 3. 5. 13:49

포인세티아(Euphorbia pulcherrima)


대부분의 사람들이 크리스마스 시즌에 매우 선명한 붉은 색을 뽐내는 이 나무에 반하여 관심을 갖지만 자세히 보면 그 건 꽃이 아니라 잎,  더 정확하게 말하면 포엽이라는 데서 놀란다. 크리스마스 장식으로 너무나도 널리 사용되는 이 나무 알고보면 흥미로운 구석이 더러 있다. 우선 이름이다. 포인세티아라고 널리 알려졌으나 학명은 다소 생뚱맞은 대극속(Euphorbia)으로 되어있다. 이 말은 대극의 일종이란 뜻이다. 아니 세상에 이게 어디 아래 우리 자생식물 대극과 닮은 데가 많다는 말인가? 


대극 (Euphorbia pekinensis)


또 하나 흥미로운 것은 이 나무의 학명은 Euphorbia pulcherrima이고 영어명이 포인세티아(Poinsettia)인데 우리나라에서는 포인세티아로 등록되어 있다. 대개 일반 영어명으로 우리나라 국가표준식물목록에 등록하는 경우가 거의 없는데 이렇게 한 것은 현재 대극속(Euphorbia)이 너무 다양하게 광범위하여 몇 가닥으로 세분하여야 한다는 주장이 학계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기 때문일 것이라 본다. 그렇게 되면 포인세티아가 하나의 독립된 속명이 될지도 모른다. 실제로 우리가 아는 것만 해도 포인세티아와 대극 외에도 꽃기린, 오체각, 설악초, 땅빈대, 개감수 등이 대극속에 포함되어 있어 이질감을 느낀다. 대극속의 기본종이 아래 사진의 antiquorum이라는데 포인세티아와는 많이 멀어 보인다. 이렇게 되면 식물 분류라는 것이 학자들끼리는 통할지 몰라도 일반인들에는 전혀 와닿지 않게 된다.


Euphorbia antiquorum


포인세티아는 멕시코 원산으로서 초대 주멕시코 미국대사인 Joel Roberts Poinsett의 이름에서 포인세티아라는 영어명을 따왔으며 겨울에 피는 작은 꽃은 별 주목을 끌지 못하지만 낮의 길이가 짧아지는 겨울철 특히 연말연시에 잎이 정확하게 말하면 포엽이 다양한 색상으로 변하기 때문에 서양에서는 매우 사랑을 받고 있으며 미국에서는 매년 12월 12일을 국가에서 포인세티아날로 지정하고 있다. 잎이나 포엽의 색상이나 모양에 따라서 100여 종 이상의 원예종이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 포인세티아는 원종과 원예종 합하여 모두 6종이 등록되어 있다. 


등록명 : 포인세티아

학   명 : Euphorbia pulcherrima Willd.

분   류 : 대극과 대극속 관목

원산지 : 멕시코

영어명 : Poinsettia, Christmas star 등

중국명 : 일품홍 (一品红)

일본명 : ポインセチア (猩々木)

높   이 : 4m

내한성 : 영상 13도

포엽색 : 적, 황, 등황, 백, 연녹, 분홍, 마블, 백색무늬 등 다양

개화기 : 6 ~ 8 주

물주기 : 잦은 물주기는 금지

유독성 : 독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실제로는 없거나 매우 미약함

용   도 : 아즈텍 원주민들은 염료 또는 해열제로 이용


까다로운 포인세티아 예쁜 포엽을 오래 보려면 

1. 꽃집에서 사올 때 집까지 이동 중에도 추위나 바람에 노출되면 안된다. 따라서 반드시 비닐로 감싼 것을 사야한다. 

2. 꽃집에서 추운 장소에서 잠시라도 노출된 것은 집에 오면 잎이 다 떨어질 가능성이 높다. 

3. 하루 6시간 이상 빛이 들어오는 장소가 이상적이며 직사광선은 피한다.

4. 추운 창가는 피하고 난로 등 난방기구 가까이 두면 꽃이 빨리 진다.

5. 낮에는 15 ~ 21도가 적정하고 밤에도 13도 이하로 내려가지 않게 한다.

6. 가급적 물은 적게 주되 그렇다고 너무 안 줘서 말라 시들어 지면 꽃이 진다.

7. 습도는 높은 것을 좋아하므로 가끔 스프레이를 해 줘야 개화기가 길어진다.

8. 개화기에는 비료를 주면 안된다. 


포인세티아 다음 해를 위한 관리

1. 봄 즉 4월에 과감하게 가지의 반 또는 그 이상을 잘라 버린다.

2. 분갈이를 한 후 15 ~ 18 도가 유지되는 그늘에 둔다.

3. 물주기는 최소한으로 줄인다.

4. 질소성분 보다는 칼륨 성분이 높은 비료를 매월 주기적으로 준다.

5. 최소한 두 달 이상은 밝은 낮과 완전하게 어두운 밤에 번갈아 노출되어야 한다. 밤에는 TV 빛이나 저멀리 희미한 빛도 안된다. 

6. 자연에서는 낮이 짧아지는 겨울이 오면 색상이 서서히 변하기 시작한다.

7. 실내에 있는 경우 조명도 없는 곳에 12시간 이상씩 최소한 5일 이상 두어야 변색이 된다.






포인세티아 원예종

Euphorbia pulcherrima 'Annette hegg' supreme


포인세티아 원예종

Euphorbia pulcherrima annette hegg white


포인세티아 원예종

Euphorbia pulcherrima ’‘Rosea’


포인세티아 원예종

Euphorbia pulcherrima 'Henrietta Ecke'


포인세티아 원예종

Euphorbia pulcherrima ’’Lutea‘


포인세티아 원예종

Euphorbia pulcherrima’Winter Rose Early Marble‘


포인세티아 원예종 

Euphorbia pulcherrima ‘’Varieg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