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기타 과 식물/대극과

387 유동(油桐) - 열매에서 공업용 기름을 얻는 나무

낙은재 2017. 10. 3. 16:46

유동(油桐)


유동(油桐)


생긴 모양도 그 이름도 오동을 닮은 또 하나의 나무인 유동에 대하여 알아보자. 대극과 일본유동속으로 분류되며 우리나라에는 유동과 일본유동 두 종이 등록되어 있으나 세계적으로는 중국 목유동(木油桐)을 추가하여 3종으로 분류하고 있다. 속명 Vernicia는 이 나무의 열매에서 기름을 짜서 바니시(varnish : 니스)칠용 도료로 사용하기 때문에 얻은 이름이다. 그런데 이를 유동속이 아닌 일본유동속이라고 우리나라에서 부르는 것이 어쩐지 의아하다고 생각되어 알고보니 그 이유는 애초에는 이 유동들을 Vernicia속이 아닌 Aleurites속으로 분류하였는데 그 때 Aleurites를 유동속이라고 명명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그런데 중국 명 석율속(石栗属)인 Aleurites속이 아직 살아있는 속이므로 현재는 국내 미등록종이지만 나중이라도 중국 석율(Aleurites moluccana)이라는 나무가 국내에 도입되면 유동속 석율로 분류가 된다. 그렇게 되면 그 때는 유동속에는 유동은 없고 엉뚱하게 석율이 속하게 되며 정작 유동은 일본유동속으로 분류되어 뒤죽박죽이 된다. 당초 Vernicia속이 신설 될 때 이를 유동속으로 하고 기존의 Aleurites속명을 변경했어야 했는지 그러지 못한 것이 나중에 분명 문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석율(石栗) : Aleurites moluccana

아직 국내 미등록종이지만 분류하면 대극과 유동속 석율이 된다.


유동은 동남아시아와 중국 중남부 지방이 원산지인데 일본에서도 이와 유사한 일본유동과 목유동이 자생한다는 설이 있다. 영상 10도 이하에서는 노지월동이 불가능하므로 우리나라 중부지방은 어렵고 제주도나 남부지방에서는 재배가 충분히 가능하다. 중국에서 언제 우리나라에 도입되었는지에 대하여는 정확한 정보를 알 수가 없지만 일부에서 일본을 통하여 들어왔다는 의견이 있으므로 그렇다면 일제강점기 쯤에 들어온 것으로 판단이 된다. 왜냐하면 일본에서는 일본 자생설 논란이 있는 일본유동도 그리 오래되지 않은 300년 전쯤 에도시대에 중국에서 들어온 것으로 일부에서 추정하며 열매가 큰 유동은 일본유동의 재배 활용이 정착이 된 다음에 나중에 들어왔다고 하기 때문이다.  


유동은 열매로 기름을 짠 것을 동유(油)라고 하며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기 때문에 원산지 중국에서 유동(油桐)이라고 부르고 있으며 이 이름이 그대로 일본과 우리나라에 전해진 것으로 판단이 된다. 다만 일본에서는 먼저 들어왔거나 자생하고 있던 일본유동을 유동이라고 하고 나중에 들어 온 중국 유동을 대유동(大油桐) 또는 중국을 뜻하는 지나유동(支那油桐)이라고 한다는 점이 다르다. 유동 열매에서 얻은 기름으로는 우선 전기가 없던 시절 등유로 사용되었으며 가구의 방부 및 방수용 칠로 또는 종이 우산에 방수목적으로 바르는 기름으로 사용되는 등 매우 다양하고도 유용하게 사용되었으며 지금도 사용되고 있다. 독성을 가지고 있어 식용은 불가능하지만 열매와 뿌리 잎 등 모든 부분을 풍담이나 소종 등의 치료용 약으로 사용한다.


우리 전통 기름 종이 우산

일본에서는 유동기름을 사용한다고 한다. 


등록명 : 유동(油桐)

학  명 : Vernicia fordii (Hemsl.) AiryShaw

구  명 : Aleurites fordii Hemsl.

분  류 : 대극과 일본유동속 낙엽 교목

원산지 : 중국, 동남아시아

중국명 : 유동(油桐)

일본명 : 대유동(大油桐), 지나유동(支那油桐)

영어명 : tung tree

수  고 : 10m

수  피 : 회색, 근광활, 지조조장, 무모, 명현피공

수  지 : 줄기에 상처를 내면 유액 

잎크기 : 난원형, 8~18 x 6~15cm

잎모양 : 정단담첨, 기부절평지천심형, 전연, 희1~3천렬

어린잎 : 상면 조기탈락할 미유모, 하면 점탈락 종갈색 미유모

성장엽 : 상면심녹색, 무모, 하면회녹색, 첩복미유모, 장상맥5~7조

잎자루 : 엽편과 같은 길이, 모두 무모, 정단유2매편평, 무병선체

꽃차례 : 자웅동주, 선엽 혹 잎과 동시개방

꽃받침 : 1cm, 2~3렬, 외면밀피종갈색미유모

꽃부리 : 백색, 담홍색맥문, 도란형, 2~3 x 1~1.5cm, 정단원형, 기부조상(爪状)

웅  화 : 수술 8~12매, 2륜, 외륜이생, 내륜화사중부이하합생

자  화 : 자방밀피유모, 3.5~8실, 매실1과배주, 화주와자방실동수, 2렬

열  매 : 핵과근구형, 직경4~8cm, 과피광활

종  자 : 3~8과, 종피목질

개화기 : 3~4월

과  기 : 8~9월

생장지 : 해발 1,000m이하 구릉산지

포  본 : 중국 호북 의창

용  도 : 약용, 공업용 기름, 등유, 페인트, 바니스, 코크의 재료, 종이 우산용 기름, 과피 활성탄


종소명 fordii는 이를 처음 소개한 홍콩 식물원 책임자 영국인 Charles Ford (1844-1927)의 이름에서 왔으며 당초에는 1906년 영국 식물학자William Botting Hemsley (1843-1924)에 의하여 Aleurites fordii Hemsl.로 발표되었으나 나중에 1966년 또 다른 영국 식물학자 Herbert Kenneth Airy Shaw (1902 – 1985)에 의하여 현재의 속으로 분리독립되어 학명이 Vernicia fordii (Hemsl.) AiryShaw가 된 것이다.


유동(油桐)


유동(油桐)


유동(油桐)


유동(油桐)

한 꽃차례에 위(우) 암꽃과 아래(좌) 수꽃이 함께 보인다.


유동(油桐)

수꽃 수술이 두 층으로 되어 있다.


유동(油桐) 암꽃


유동(油桐) 암꽃


유동(油桐)


유동(油桐)


유동(油桐)


유동(油桐)

잎에 결각이 전혀 없는 것도 있다.


유동(油桐)

잎에 결각이 없거나 1~3개의 결각이 있다.


유동(油桐)


유동(油桐)

기부에 선체가 보인다.


유동(油桐)

두 개의 선체


유동(油桐) 동아


유동(油桐)


유동(油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