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기타 과 식물/대극과

199 조도만두나무 - 우리나라 고유의 세계적인 희귀보호종

낙은재 2016. 11. 21. 15:09

조도만두나무(鳥島饅頭-)


우리나라 진도군 조도면에서만 발견된 우리나라 고유종으로서 조도에서 발견된 만두같은 열매가 달리는 나무라고 조도만두나무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우리는 조도만두나무속을 대극과로 분류하지만 APG체계를 따르는 서양에서는 여우주머니과로 분류한다. 우리나라는 이 조도만두나무가 이 속의 유일한 식물이지만 세계적으로 조도만두속(Glochidion)에는 약 300여 종의 식물이 아프리카 마다카스카르에서부터 태평양 섬에 이르기 까지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인근 중국에는 28종이, 일본에도 몇 종이 분포하고 있다. 


속명 Glochidion는 그리스어에서 왔으나 갈고리모양 털 또는 수꽃의 원통형 수술대를 뜻한다고 하는데 명확하지는 않다. 중국에서는 이 나무의 열매가 주판알을 닮았다고 산반자(算盘子)속이라고 하며 일본에서는 열매가 중국에서 건너온 과일의 일종이나 옛날 시코쿠의 선박 모양을 닮은데서 온 말인 캉코노키(カンコノキ)속으로 부른다.


그동안 우리나라에서는 조도만두나무속 식물은 자생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비교적 최근인 1983년 8월 전남대학교 이정석(李偵錫)·임형탁 교수 등이 자연보호중앙협의회의 의뢰를 받아 다도해 해상국립공원 중 조도지구 자연실태 종합조사를 실시하다가 상조도에서 이 나무를 발견하여 그 지역명과 열매 형태를 따서 종소명을 chodoense로 지었으며 당연히 두 교수의 이름인 J.S.Lee & H.T.Im가 최초 명명자로 학명에 기록된 것이다. 반가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과거 일본학자들이 조사한 이후 별다른 진전이 없어서 항간에서는 아직도 우리나라 산야에 이런 미기록종 또는 미등록종이 많을 것이라고들 하는데 이렇게 우리 스스로 발견하여 학계 보고하여 우리 고유종으로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흔하지 않은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이 조도만두나무는 국내학자들의 노력으로 2016년 세계자연보존연맹의 적색 리스트에 멸종가능성이 가장 높은 멸종위기종 위급(CR : Critically endangered) 등급으로 등재되어 세계적으로 보호를 받고 있다. 


등록명 : 조도만두나무(鳥島饅頭-)

학  명 : Glochidion chodoense J.S.Lee & H.T.Im(합법명)

분  류 : 대극과 조도만두나무속 관목

원산지 : 우리나라 고유종 (전남 진도군 조도면)

중국어 : 鸟岛馒头树 (단순 의역 표기한 것임)

일본어 : 鳥島餃子の木 (단순 의역 표기한 것임)

성정체 : 자웅동주 단성화, 가끔 자웅이주

잎모양 : 긴 타원형, 끝이 둔하거나 뾰족, 무모

잎크기 : 5~8 x 2.5~3.5cm

잎색상 : 표면 녹색, 뒷면 연녹색, 맥 주위 백모

잎자루 : 1~2mm, 연모

수  꽃 : 엽액생 여러송이, 꽃대 7~9mm, 꽃받침 6장, 2mm, 착설상 도란형, 원형

암  꽃 : 여러송이 속생, 꽃대 1mm 미만, 꽃받침 6장, 1mm, 타원상 도란형, 원형, 백모밀피

암술대 : 6개 이상, 동합

씨  방 : 백색 연모 밀피

열  매 : 삭과 , 움푹 들어간 구형, 6실 이상

줄  기 : 빽빽하게 가지를 친다. 회백색털

개화기 : 5~8월

결실기 : 9~10월



조도만두나무


조도만두나무


조도만두나무


조도만두나무


조도만두나무


조도만두나무


조도만두나무

꽃대가 긴 것은 수꽃이고 짧은 것이 암꽃이다.


조도만두나무


조도만두나무


조도만두나무

    

참고로 이게 중국의 산반자(算盘子)이다.

 학 명 : Glochidion puberum

이 수종의 별명 중 하나가 홍모만두과(红毛馒头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