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거리나무
이왕 남부수종을 시작하였으니 이름난 남부수종 몇 개를 더 탐구하고 가자. 이번에도 제주도와 전남 등 일부 남부지방에 자생하는 굴거리나무이다. 과거에는 대극과에 속했으나 지금은 굴거리나무과로 분리 독립하였다. 그래서 일부 백과사전에는 아직도 대극과로 나온다. 굴거리나무속은 굴거리나무과의 유일한 속으로서 약 30종이 분포하고 있지만 우리나라에는 자생종 2 종과 외래종 3 종이 등록되어 있다.
굴거리나무의 학명은 Daphniphyllum macropodum인데 속명 Daphniphyllum는 월계수 잎을 닮았다는 뜻이다. 우리나라와 일본 중국이 원산지인데 우리나라 이름 굴거리나무는 그 유래가 확실하지 않는데 일부에서 굿거리를 할 때 많이 쓰던 나무이기 때문이 얻은 이름이라고 한다. 중국에서는 새 잎이 나오면 기존 잎이 자리를 양보한다고 교양목(交让木)이라고 한다. 일본에서도 중국과 비슷한 의미의 양엽(譲葉)으로 쓰고 유즈리하(ゆずりは)로 발음한다.
새 잎이 나오자 기존 잎이 아래로 처지면서 떨어지는 바로 이런 모습 때문에
중국에서는 교양목(交让木) 일본에서는 양엽(譲葉)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음수라서 응달에서도 잘 자라며 나무 전체에 독성이 있어 구충제나 청혈해독제 등으로 사용되지만 사람이나 동물이 잎이나 열매를 먹으면 안되므로 주의를 요하는 이 나무 중국에서는 수관과 붉은 잎자루가 매우 아름답다고 정원수로 인기가 높다고 한다. 일본에서는 자식이 크면 부모가 양보하는 것 같은 미덕이 있어 자손번영을 상징하는 길한 나무라고 신년축하회 장식이나 명절떡을 만들었다고 한다. 그리고 가뭄 등 배고픈 시절에는 새싹 등을 구황식물로 적절하게 독을 제거하고 식용했다고 한다. 우리나라서도 만병을 고친다는 만병초의 대용으로 이 굴거리나무의 잎을 사용하였기에 만병초라고 부르기도 했다.
등록명 : 굴거리나무
학 명 : Daphniphyllum macropodum Miq.
분 류 : 굴거리나무과 굴거리나무속 상록 관목, 소교목
원산지 : 우리 자생종, 중국, 일본
중국명 : 교양목(交让木)
일본명 : 유즈리하(ゆずりは : 譲り葉)
성정체 : 자웅이주, 단성화
수 고 : 3 ~ 10m
줄 기 : 소지조장, 암갈색, 원형대엽흔
잎차례 : 호생, 가지 끝에서는 거의 윤생
잎모양 : 혁질, 원형, 도피침형, 선단점첨, 정단세첨두, 기부설형, 활설형, 무거치
잎크기 : 14~25 x 3~6.5cm
잎색상 : 양면 무모, 광택, 녹색, 뒷면 담녹색, 무유돌체, 백분,
잎측맥 : 섬세, 12~18조, 양면 뚜렷
잎자루 : 자홍색, 굵고튼튼, 3~6cm
웅화서 : 총상화서, 5~7cm, 화경장 5mm
꽃받침 : 없음
꽃수술 : 8~10, 꽃밥길이가 지름의 두 배, 2mm, 화사단, 1mm, 배부압편, 단소두
자화서 : 총상화서, 4.5~8cm, 화경장 3~5mm
꽃받침 : 없음
자 방 : 기부 대소부등 불육수술 10, 난형, 2mm, 백분
암술대 : 극히 짧음, 주두 2, 외만, 확전
정 아 : 장란형, 홍색, 엽병이 변한 다수의 인편에 싸임
열 매 : 타원형, 10mm x 5~6mm, 선단주두숙존, 기부원형, 암갈색, 백분, 주름혹
과 경 : 10~15cm, 섬세
유독성 : 잎과 열매에 유독성분이 있어 주의를 요함
개화기 : 3~5월
결실기 : 8~10월
용 도 : 약용 구충제, 성미 - 고, 량, 효능-청혈해독, 주치-창절종독(疮疖肿毒)
종소명 macropodum은 큰자루를 뜻하는데 아마 잎자루를 말하는 것 같다.
굴거리나무
붉고 굵은 잎자루가 특징이다.
굴거리나무
굴거리나무 수꽃
굴거리나무 수꽃
굴거리나무 수꽃
굴거리나무 수꽃
굴거리나무 수꽃
굴거리나무 암꽃
굴거리나무 암꽃
굴거리나무 암꽃
굴거리나무 암꽃
굴거리나무 수피
굴거리나무
굴거리나무
굴거리나무
굴거리나무
잎자루가 항상 붉은 것은 아니다.
굴거리나무
굴거리나무 정아
굴거리나무 정아
엽병이 인편으로 변하여 정아를 감싸고 있다.
굴거리나무 신아 모습
굴거리나무 신아
굴거리나무
어린 열매
굴거리나무 유관속 3개
굴거리나무 암꽃
굴거리나무 암꽃
굴거리나무 암꽃
전년지 잎액생
굴거리나무
암술대가 남아있다.
굴거리나무
열매에는 하나의 종자가 들어 있다. 지름 9mm
굴거리나무
엽흔이 크게 남는다.
굴거리나무
'기타 과 식물 > 기타목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173 굴거리나무속 외래종들, 무늬굴거리나무 외 (0) | 2016.10.06 |
---|---|
172 좀굴거리나무 (0) | 2016.10.06 |
157 계수나무는 달나라에도 계림에도 한시나 불교 경전에도 없다. (1) | 2016.09.17 |
156 달나라 계수나무는? 계수나무, 월계수, 계피나무, 육계나무, 계화, 목서 (1) | 2016.09.16 |
154 멀구슬나무 (0) | 2016.09.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