좀굴거리나무
이번에는 굴거리나무속의 또 다른 우리 자생종 좀굴거리나무에 대하여 알아본다. 이름만 봐서는 굴거리나무의 변종인 것 같지만 전혀 다른 종이다. 우리나라와 일본 그리고 유구열도에만 자생하는 나무이다. 나무는 결코 작은 나무가 아니지만 그 잎이 굴거리나무의 절반 정도이므로 좀이란 이름이 붙은 것 같은데 굴거리나무와는 다른 점이 많다. 일본 이름 히메유즈리하(姬讓葉)도 우리와 같은 의미이다. 아마 우리가 일본 이름은 따라한 것으로 판단된다. 우리나라에는 제주도와 전남 일부 그리고 대둔산에 자생한다.
등록명 : 좀굴거리나무
학 명 : Daphniphyllum teijsmanni
분 류 : 굴거리나무과 굴거리나무속 상록 소교목
성정체 : 자웅이주
원산지 : 우리 자생종, 일본, 유구열도
일본명 : 히메유즈리하(ヒメユズリハ : 姬讓葉)
분포지 : 제주도, 전남, 대둔산
수 고 : 10m
수 피 : 회갈색에서 껍질 눈이 산생. 젊은 가지는 녹색. 낡은 가지는 엽흔이 두드러진다.
잎차례 : 어긋나기. 끝에서 모여남
잎크기 : 길이 4~15cm, 폭 2~6cm
잎모양 : 좁은타원형~도피침형. 가장자리는 밋밋
잎측맥 : 8~10조, 그물맥이 뚜렷
잎색상 : 혁질, 표면 광택, 양면 무모
잎자루 : 1.5~5cm, 보통 녹색 드물게 홍색
꽃차례 : 자웅이주, 전년지 엽액생, 길이 1.5~6cm, 총상 꽃차례 상부에 모여 핌
수 꽃 : 길이 3mm 무늬, 꽃잎은 없고 작은 꽃받침 조각 3~6개, 수술 4~12개
암 꽃 : 길이 약 0.5mm의 작은 꽃받침 조각 3~6개
씨 방 : 좁은 달걀꼴로 길이 1~1.5mm
화 주 : 3~4개, 담황색, 바깥쪽으로 젖혀짐
열 매 : 핵과. 길이 8~9mm의 타원형, 남흑색, 표면 분. 늘어지지 않는다. 핵직경 6~7mm
개화기 : 5~6월
결실기 : 12~1월
정 아 : 좁은 달걀꼴, 잎자루가 변한 다수의 인편에 싸임
측 아 : 엽액에 작은 꽃망울
엽 흔 : 대형
유관속 : 3개
19세기 인도네시아 식물원 책임자의 이름에서 따온 teijsmanni를 종소명으로 한 학명이지만 아직 완전하게 승인받은 합법명은 아니다.
좀굴거리나무
좀굴거리나무 수꽃
좀굴거리나무
좀굴거리나무
좀굴거리나무
좀굴거리나무 암꽃
좀굴거리나무 암꽃
좀굴거리나무 암꽃
좀굴거리나무 열매
좀굴거리나무 열매
좀굴거리나무 열매
좀굴거리나무 열매
끝에 암술대가 남아 있다.
좀굴거리나무
좀굴거리나무
그물맥이다.
좀굴거리나무
좀굴거리나무
좀굴거리나무 동아
좀굴거리나무 동아
좀굴거리나무 동아
좀굴거리나무 신아
여기서부터는 좀굴거리나무와 굴거리나무를 비교한다.
위 좀굴거리나무, 아래 굴거리나무
좀굴거리나무가 측맥수도 적고 그물맥이며 잎의 크기가 작다.
위 좀굴거리나무, 아래 굴거리나무
위(좌) 좀굴거리나무, 아래(우) 굴거리나무
굴거리나무 뒷면은 흰색을 띤다.
위(좌) 좀굴거리나무, 아래(우) 굴거리나무
좀굴거리나무는 잎이 아래로 처지지 않고 옆으로 또는 위로 뻗는다.
위(좌) 좀굴거리나무, 아래(우) 굴거리나무
좀굴거리나무는 열매도 아래로 처지지 않는다.
위(좌) 좀굴거리나무, 아래(우) 굴거리나무
잎자루가 변하여 정아를 감싸는 모습이 사뭇 다르다.
여기에 있는 사진들 뿐만 아니라 제 블로그에 있는 모든 사진들은 직접 촬영한 것도 일부 있지만 대부분 나무공부를 위하여 여기저기서 퍼온 것들이므로 저작권에 저에게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함부로 이용하시면 원저작권자로부터 권리침해에 대한 항의나 배상요구를 받을 수 있다는 점 양지하시기 바랍니다.
'기타 과 식물 > 기타목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174 붓순나무 (0) | 2016.10.09 |
---|---|
173 굴거리나무속 외래종들, 무늬굴거리나무 외 (0) | 2016.10.06 |
171 굴거리나무 (0) | 2016.10.05 |
157 계수나무는 달나라에도 계림에도 한시나 불교 경전에도 없다. (1) | 2016.09.17 |
156 달나라 계수나무는? 계수나무, 월계수, 계피나무, 육계나무, 계화, 목서 (1) | 2016.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