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팔수
학명 Elaeocarpaceae로 표기되는 담팔수과에는 전세계적으로 12속 600여 종의 식물이 존재하지만 우리나라에는 3개 속 5개 수종이 등록되어 있다. 이 중 우리 자생종은 제주도에서만 자생하는 희귀수종 담팔수 하나 뿐이다. 담팔수는 한자로는 膽八樹로 표기되는데 이는 중국에서 온 말이다. 중국에서는 이 나무를 산두영(山杜英)이라고 하지만 별명으로 담팔수(胆八树)라 하기도 한다. 이를 따라 일본에서도 간혹 이렇게 한자 표기를 한다. 한자를 풀이하면 쓸개담 자(膽)에 여덟팔 자(八)이다.
상록인 이 나무 연중내내 나뭇잎 8개 중 하나는 붉게 물든 다음 떨어지면서 잎갈이를 한다고 이런 이름이 붙었을 것이란 설이 일견 그럴듯해 보이지만 확인된 바 없으며 담팥수라는 이명이 있는 것을 보면 팔이 반드시 숫자 8은 아닐 수도 있는 것처럼 보여 한자 표기와 상충이 된다. 게다가 쓸개는 녹색인데 붉은 단풍색과는 어울리지도 않아서 납득하기 어렵다. 여기에 이 나무가 우리보다는 더 많이 자생하는 일본에서는 이 나무의 열매가 올리브 열매를 닮아서 에도시대에 올리브인 줄로만 알고서 포르투칼에서 온 올리브나무를 칭하는 호루토노키로 부르지만 연중 잎의 일부가 낙엽지는 모습을 형상하여 부르는 이명이 따로 있는데 그것은 담팔수가 아닌 모가시(紋ガシ, 模様ガシ)이다. 이는 전체 모습을 봤을 때 중간중간에 (붉은)무늬가 있다는 뜻이다. 이미 한자로 膽八樹(담팔수)라고 표기하던 일본에서 담팔수가 그런 뜻이라면 이런 모가시라는 이명을 별도로 만들어 사용하였을 리가 없다는 생각이 든다.
우리 자생종 담팔수가 속하는 담팔수속(Elaeocarpus)은 350종의 식물이 아프리카 마다가스카르에서부터 아시아 그리고 호주, 뉴질랜드 등 오세아니아와 저 멀리 하와이까지 매우 광범위하게 분포된 열대 또는 아열대 관목 및 소교목으로서 우리나라에는 담팔수와 호주에서 들어 온 레티쿨라투스담팔수 두 종이 등록되어 있다. 담팔수과 나머지 두 개 속은 남미에서 들어 온 온실용 꽃나무들이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담팔수과(Elaeocarpaceae) 모두 5개 수종
담팔수속 : 담팔수, 레티쿨라투스담팔수 등 두 종
크리노덴드론속 : 파라구아크리노덴드론, 후케리아놈크리노덴드론 등 두 종
아리스토텔리아속 : 칠렌시스아리스토텔리아 한 종
그럼 여기서 우리나라 제주도에서만 자생하며 최근에 제주도에서 이를 보급코자 가로수로도 심었다가 일부가 고사하여 문제가 된 담팔수에 대하여 탐구를 시작하자.
등록명 : 담팔수
이 명 : 담팥수
학 명 : Elaeocarpus sylvestris var. ellipticus (Thunb.) H. Hara
분 류 : 담팔수과 담팔수속 상록 교목 양성화
원산지 : 우리나라 자생종, 일본, 중국, 태국, 베트남 등
일본명 : 호루토노키(ホルトノキ), 별명 - 모가시(紋ガシ, 模様ガシ)
중국명 : 산두영(山杜英), 별명 - 양시수(羊屎树)、담팔수(胆八树) 등
수 고 : 10m(최대 20m)
줄 기 : 소지 섬세, 통상 무모, 노지 암녹색
잎특징 : 지질, 도란형, 도피침형
잎크기 : 4~8 x 2~4cm, 최대 15 x 6cm
잎면모 : 상하 양면 무모, 후 흑갈색, 광택 무, 선단둔, 혹약첨, 기부착설형, 하연
잎측맥 : 5~6조, 상면 흐림, 하면 약간 돌기, 망맥 불투명
잎거치 : 둔거치 혹 파상둔치
잎자루 : 1~1.5cm, 무모
꽃차례 : 총상화서, 전년지엽액생, 4~6cm 길이, 화서축 섬세, 무모, 혹 회백색단유모
꽃자루 : 3~4mm, 섬세, 통상매끈
꽃받침 : 5편, 피침형, 장4mm, 무모
꽃 잎 : 도란형, 상반부 시렬, 열편 10~12조, 외측기부모
꽃수술 : 13~15매, 3mm
꽃 밥 : 미모, 정단무모총, 부속물 미미
화 반 : 5렬, 원구형, 완전분개, 백색모
자 방 : 모, 2~3실
화 주 : 2mm
열 매 : 핵과 세소, 타원형, 1~1.2cm, 내과피박골질, 3개의 홈
개화기 : 7월
결실기 : 11월 남흑색으로 성숙
종소명 sylvestris는 야생이라는 뜻이며 속명 Elaeocarpus는 그리스어 올리브를 뜻하는 elaia와 열매를 뜻하는 karpos의 합성어로서 "올리브 열매를 닮은"이라는 뜻이다. 변종명ellipticus는 타원형이라는 뜻이다.
우리와 일본에서는 변종으로 학명을 Elaeocarpus sylvestris var. ellipticus로 표기하지만 국제적으로는 변종으로 인정하지 않고 원종인 Elaeocarpus sylvestris의 이명으로 취급하고 있다. 중국 산두영은 아예 원종인 Elaeocarpus sylvestris로 학명 표기를 하고 있다. 따라서 모두 같은 종이라고 보면 되겠다.
중국 이명 중 하나에 양의 똥이라는 뜻의 양시수(羊屎树)라는 것이 있는데 아마 종자의 모습을 보고 그러는 것 같다. 담팔수도 이와 비슷한 맥락에서 붙여진 이름이 아닐까 추측해 보지만 이를 파악하는 것은 내 능력 밖으로 보인다.
담팔수
연중내내 붉은 낙엽이 섞여 있는 모습이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이런 모습 때문에 담팔수라고 한다는 우리나라 설이 있으나 확실하지 않다. 단 일본에서는 무늬있는 가시나무라고 모가시(紋ガシ)라고 한다. 그리고 이 모습 때문에 비슷한 수종인 소귀나무나 굴거리나무와의 차별 포인트가 된다.
담팔수
담팔수
담팔수
담팔수
담팔수
담팔수
담팔수
5개의 꽃잎은 끝이 여러 갈래로 잘게 갈라지며 암술 하나에 수술이 다수인데 끝이 열려있다.
수분이 끝난 다음에는 수술은 탈락하고 이색적인 오랜지색 화반 모습이 보인다.
담팔수
담팔수
담팔수
열매가 성숙하면 남흑색 또는 자흑색으로 변한다.
담팔수
담팔수
가장자리 물결모양 거치 그리고 불명확한 그물맥
담팔수
우리나라 최고령 천연기념물 제주 강정마을 담팔수
수령 500년 추정 높이 11.5m
담팔수
담팔수
담팔수
담팔수
열매의 끝이 뾰족하다.
담팔수
담팔수
담팔수
일본 시즈오카현 소재 거목 높이 18m
,
담팔수 = 중국 산두영
담팔수 = 중국 산두영
담팔수 = 중국 산두영
담팔수 = 중국 산두영
담팔수 = 중국 산두영
그럼 여기서 이 담팔수와 올리브나무(학명 : Olea europaea)가 진짜 얼마나 닮았기에 일본에서 올리브유를 짜는 나무로 알고서 호루토노키(포르투칼나무)라고 하며 심지어는 학명에서 조차 올리브열매를 닮은 나무라고 속명을 Elaeocarpus로 명명하였는지 알아보자.
담팔수, 올리브나무 순서이다.
우선 꽃모습은 많이 다르다.
담팔수, 올리브나무 순서이다.
열매는 많이 닮았다.
담팔수, 올리브나무 순서이다.
종자도 구분이 쉽지 않을 정도로 닮았다.
'기타 과 식물 > 기타목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2 소귀나무, 양매(楊梅) (0) | 2016.11.09 |
---|---|
191 담팔수과의 아름다운 외래 수종들 : 레티쿨라투스 담팔수, 파라구아 크리노덴드론, 후케리아눔 크리노덴드론, 칠렌시스 아리스토텔리아 (0) | 2016.11.07 |
175 붓순나무 외래종 팔각, 홍회향, 망초 등 붉은 붓순나무들 (0) | 2016.10.10 |
174 붓순나무 (0) | 2016.10.09 |
173 굴거리나무속 외래종들, 무늬굴거리나무 외 (0) | 2016.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