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조록나무과/풍년화속

246 버지니아풍년화 = 가을풍년화, 미국풍년화, 서양풍년화

낙은재 2017. 1. 6. 13:42


버지니아풍년화

일반명 : 가을풍년화, 서양풍년화


버지니아풍년화

가을에 일부 단풍이 섞인 잎과 전년도의 열매가 꽃과 함께 보이는 것이 특징


서양풍년화는 그 이름에서 서양에서 들어온 풍년화임은 누구라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것이 유럽과는 전혀 상관이 없는 미국이 원산지일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하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 사실 서양풍년화는 정식 명칭이 아니다. 미국이 원산지인 풍년화 중 특히 가을에 피는 종인 버지니아풍년화를 그렇게들 많이 부른다. 그 근거는 아무래도 국생정에 풍년화의 유사종으로 서양풍년화가 있으며 가을에 꽃핀다고 설명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그런데 미국이 원산지인데 왜 서양풍년화라고 할까? 좀 궁금하다. 이것부터 짚어보고 넘어가자.


서양이라면 구미(歐美) 즉 유럽과 아메리카대륙을 모두 통틀어 말한다. 남미도 원칙적으로 포함은 되지만 주로 유럽에 북미를 포함하여 지역보다는 주로 기독교를 믿는 백인사회를 통칭한다고 보는 설도 있다. 이 경우는 주로 유럽인들이 이주하여 개척한 북미는 물론 호주나 뉴질랜드도 서양의 범주에 포함이 되나 중남미는 제외된다. 우리가 생각해도 멕시코 사람들을 보고 서양인이라고 하기에는 좀 어색하다. 이런 점에서는 우리나 일본 중국이 모두 비슷한 개념으로 사용하지만 조금씩은 다르기도 한다. 서양이란 말 자체가 중국 5대 10국 시대에 비롯되었다고 하는데 중국도 시대마다 그 의미를 달리해 왔다. 


서양의 반대 개념은 동양인데 재미있는 것은 일본과 우리는 동양을 서양에 대립하는 개념으로 한중일 삼국에다가 동남아시아와 인도까지 아우르는 아시아 동, 남부지역 전체를 이르지만 중국에서의 동양은 놀랍게도 일본을 낮추어 지칭하는 말이므로 개념이 많이 다르다. 자기들이 세상의 중심이라는 중화사상이 있기 때문이다. 또 하나 흥미로운 것은 중동은 아시아에 속하지만 우리나 일본에서 말하는 동양의 범주에는 들어가지 않는다는 것이다. 서양에서 오리엔트(orient)라고 하는 것은 그들 입장에서 중동(Near East, Middle East)과 극동(Far East)을 모두를 포함하고 있어 우리가 쓰는 동양이란 개념과는 차이를 보인다.


어떤 개념이던 미국은 당연히 서양의 범주에 들어가기 때문에 미국 원산의 풍년화를 서양풍년화라고 불러도 어법상으로는 문제가 없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식물에 관한한 좀 달리 써야 한다는 것이 내 생각이다. 백인들이 많이 사는 지역에서 자라는 식물이라고 서양이라는 이름을 막 붙여서는 곤란하다. 식물에 관한한 그 어느 인종이 살던 당연히 지역으로 구분하여야 옳다고 본다. 그런 측면에서는 서양은 그야말로 서쪽인 유럽에 한정되어야 하며 아메리카대륙에서 온 식물은 달리 불러야 한다. 그리고 유럽원산의 식물은 서양이라는 것보다는 유럽이란 이름을 붙이는 것이 더 명확하다. 우리나라에 유럽이란 이름이 붙은 식물은 약 50종이 되며 서양이란 이름은 80여 종이 되고 미국이 붙은 이름은 120여 종이 된다. 산사나무의 경우 서양산사와 미국산사가 각기 등록되어 있는데 미국산사의 원산지는 당연히 미국이고 서양산사의 원산지는 유럽이다.  


따라서 영어명이 American witch-hazel인 이 풍년화도 지역으로 부르려면 당연히 미국풍년화라고 불러야 의미가 명확한데 왜 서양풍년화로 불렀는지 모르겠다. 원래 유럽대륙에는 자생하는 풍년화가 없었는데 콜럼부스의 신대륙 발견 이후 가을에 꽃피는 미국원산 버지니아풍년화가 맨 먼저 도입되어 이 풍년화의 유럽 재배 역사가 오래되었기 때문에 그렇게 불렀을 수는 있다. 정작 유럽에서는 추운 겨울이 다 가기도 전인 이른 봄에 향기 좋은 꽃을 피우는 중국 풍년화(몰리스풍년화)가 도입된 이후 가을에 무성한 푸른 잎 사이에서 존재감 없이 꽃을 피우는 비지니아풍년화의 인기는 많이 떨어졌다고 한다. 


등록명 : 버지니아풍년화

일반명 : 가을풍년화, 서양풍년화

학  명 : Hamamelis virginiana L.

분  류 : 조록나무과 풍년화속 관목, 소교목

원산지 : 미국 동북부

영어명 : American witch-hazel, common witch-hazel

수  고 : 6m(최대 10m)

수  피 : 밝은 갈색, 매끈, 인편, 내피 홍자색

가  지 : 어린 가지 연모, 후 무모, 황갈색, 후 암홍갈색 

잎크기 : 3.7~16.7 x 2.5~13cm

잎모양 : 기부 편사형, 비대칭, 첨 또는 관원형, 파상거치, 신엽 성상황모

탁  엽 : 침형, 개엽후 탈락

잎자루 : 6~15mm

잎면맥 : 중맥 모, 6~7조 측맥, 

꽃  잎 : 10~20mm, 밝은 노랑, 오랜지색 

개화기 : 10~12월

종  자 : 2개, 성숙시 10m까지 날아감

결실기 : 익년 가을

내한성 : 매우 강함, 전국 노지월동 가능

용  도 : 줄기와 수피 수렴제로 약용, 가지 수맥탐사봉으로 이용 


종소명 virginiana는 이 나무의 원산지 중 하나인 미국 동부 버지니아주를 뜻한다. 앞 풍년화 편에서 언급하였지만 속명 Hamamelis는 hama(at the same time)와 melon(apple or fruit)의 합성어로 꽃과 열매가 동시에 달린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전년도 열매가 아직 달려있는 상태에서 당해 연도의 꽃이 핀다는 것인데 이는 가을풍년화라고도 불리는 이 버지니아풍년화에만 국한되는 특징이다. 그리고 서양에서 이 풍년화들을 위치 하젤(witch-hazel)이라고 부르며 특히 이 버지니아풍년화를 common witch-hazel로 불러 그 대표성을 인정하는데 그 것은 이 종이 유럽에 가장 먼저 들어갔기 때문이다. 그런데 가끔 이 위치 하젤(witch-hazel)을 마녀 하젤로 표현하는 경우가 국내외에서 종종 있는데 원래 여기서의 witch는 중세영어 wiche와 고대 영어 wice에서 유래하는 말로서 '구부릴 수 있는'이라는 뜻으로 수맥탐사용 봉으로 사용하였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며 마녀와는 상관이 없다. 


풍년화가 아시아 중국과 일본에 분포하면서 동시에 미국에도 분포하는 몇 가지 식물 중 하나로서 이는 고대 아주대륙과 미주대륙이 연결되어 있었음을 입증하는 하나의 사례라고 한다. 그래서 미국풍년화들이 중국풍년화보다는 일본풍년화와 더 가깝다고 한다. 그럼 여기서 왜 중국과 일본의 가운데 위치하는 우리나라만 빠졌냐 하는 의문이 생긴다. 하기야 아시아와 가까운 미국 서부가 아닌 동부에만 자생한다는 것도 궁금하기는 하다. 일본이나 미국의 야산에 마치 우리나라 생강나무처럼 흔하게 자생하는 나무가 풍년화라는데 우리나라는 어떤 이유에서 멸종되었을까? 아니면 처음부터 없었던 것일까?


그리고 풍년화 중 이 수종만 가을이 꽃이 피는 이유는 이 나무의 꽃이 매개충들에게 별로 인기가 없기 때문에 꽃이 동시에 필 경우 또 다른 미국원산 풍년화인 베르날리스풍년화에게 경쟁력이 밀려 수분률이 낮아 살아남기 위하여 하는 수 없이 가을로 개화기를 앞당기게 진화한 것이라고 한다. 그 대신 수분후 곧바로 겨울을 맞아 봄이 와서 수정하기까지 무려 7개월이란 긴 세월을 동면 상태로 기다려야 하는 댓가를 치루기 때문에 결실율이 매우 낮아 겨우 1%에 불과하다고 하는 보고서도 있다. 알고보면 매우 불쌍한 녀석이다. 동물이던 식물이던 강한 놈들은 항상 약자를 괴롭히나 보다.


버지니아풍년화


버지니아풍년화

우리나라 야산의 생강나무 모습과 너무 비슷하다.


버지니아풍년화


버지니아풍년화의 변종


버지니아풍년화

꽃받침에서 갈색이나 암자색이 보이지 않는다.


버지니아풍년화

잎이 남아 있을 때 꽃이 피지만 추운지방에서는 낙엽이 진 이후에 꽃이 피기도 한다.



버지니아풍년화

완전하게 기울어진 비대칭이며 털이 거의 없어 중국풍년화보다는 일본풍년화에 가깝다.


버지니아풍년화

낙엽은 노랗다.


버지니아풍년화

수분이 된 상태인데도 꽃받침의 색상이 갈색이나 자색이 없다.


버지니아풍년화 동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