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물푸레나무과/ 영춘화(자스민)속

자스민(영춘화)속 총정리

낙은재 2017. 1. 31. 13:57

전세계 200여 종이 분포하는 자스민은 그 중 상당수가 꽃 모습이 매우 비슷하여 서로 구분하기 어렵지만 그래도 뭔가는 다른 점이 있기때문에 구분된 종으로 인정받고 있는 것 아니겠는가. 다만 내가 일일이 모두 다를 직접 길러보지 않고서 그리고 시간이 없어서 그 차이점을 명확하게 일일이 파악하지 못할 뿐이다. 우리나라에 등록된 9종과 미등록종이지만 시중에 널리 보급된 아라비안 자스민과 워낙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된 중국의 소형화(素馨花)를 포함 모두 11종을 비교 정리해 본다.


이 중 노란 꽃이 피는 종은 영춘화를 비롯하여 5종인데 원예종 한 종을 제외하면 모두 향기가 없거나 있더라도 미약하다. 따라서 노란 꽃이 피는 자스민을 차로 마실 이유는 없고 나머지 흰꽃이 피는 6종은 모두 자스민 특유의 좋은 향기가 강하게 나기때문에 향수로 이용되기도 하고 차의 재료로 많이 이용하는 것이다. 거의 대부분의 가짜 자스민들은 독성을 내포하기 때문에 향기는 좋더라도 차로 끊여 마시면 안되는 것과 대비된다. 지중해가 원산지인 오피키날레 자스민은 서양 자스민향수의 주원료가 되며 중국원산인 말리화와 소형화는 중국 자스민차의 주원료가 되는데 특히 말리화로 불리는 아라비안 자스민은 말리화차로 유명하다.


등록명(유통명)

 학  명

 원산지 이름

꽃색상

방향성

 잎차례

구분포인트

영춘화

 Jasminum nudiflorum

 영춘화(迎春花)

미약

대생, 3출복엽

잎나기전 개화, 노지월동

오피키날레자스민

 Jasminum officinale

 소방화(素方花)

백(홍)

강함

대생, 우상복엽

최고의 향수

 아피네자스민

Jasminum officinale f. affine

대화소방화(大花素方花)

백(홍)

강함

대생, 우상복엽

 꽃이 큰 소방화의 원예종

미등록종

 Jasminum grandiflorum

 소형화(素馨花)

강함

대생, 우상복엽

꽃지름 5cm인 큰 꽃

학자스민

Jasminum polyanthum 

 다화소형(多花素馨)

백(홍)

강함

대생, 우상복엽

수십 개의 꽃송이

미등록종(아라비안자스민)

 Jasminum sambac

 말리화(茉莉花)

강함

대 생

말리화차

물티파르티툼자스민

Jasminum multipartitum 

 Starry Jasmine

백(홍)

강함

대 생

자스민 차, 유통명 별자스민

플로리둠자스민

Jasminum floridum 

탐춘화(探春花) 

없음

호생, 복엽

수시로 개화

프루티칸스자스민

 Jasminum fruticans

 Wild Jasmine

없음

호생, 복엽

내한성이 다소 강함

후밀레자스민

 Jasminum humile

 왜탐춘(矮探春)

약함

호생, 복엽

대개 덩굴성이 아닌 왜성

 후밀레자스민 '레볼루툼'

Jasminum humile 'Revolutum' 

 

강함

호생, 복엽

 왜탐춘의


오피키날레자스민 소방화(素方花)

유럽에서 자스민 앱솔루트나 자스민 에센스 오일의 원료로 사용


아피네자스민 대화소방화

오피키날레 자스민의 원예종인데 꽃 크기가 원종의 두 배나 된다.


중국원산 소형화(素馨花) 미등록종

향기가 좋으며 꽃 지름이 5cm로 아피네 자스민보다도 크며 핑크색이 없는 순백색이다. 향수의 원료


학자스민 = 다화소형

하나의 꽃화서에 수십 송이의 꽃이 핀다.


아라비안 자스민 = 말리화 (미등록종)

중국 말리화차의 원료, 잎차례가 우상복엽이 아니고 대생이다.


물티파르티툼 자스민(별자스민)

아프리카 원산의 향기가 좋아 차의 원료로 이용된다.

우상복엽이 아니고 대생이며 꽃잎이 7~8개로 많다.


영춘화

잎이 나기도 전에 꽃이 이른 봄에 핀다. 잎은 대생 3출엽이다. 향기는 없거나 미약하다.


플로리둠자스민 = 탐춘화(探春花)

잎이 호생 복엽이며 향이 없다.


프루티칸스자스민

지중해연안 원산으로서 내한성은 강하나 향이 없다.

잎차례는 주로 호생 3출엽이다.

 

후밀레자스민 = 왜탐춘(矮探春)

호생 복엽 약한 향이 있다. 덩굴성이 아닌 경우가 많다.


후밀레자스민 '레볼루툼'

위 왜탐춘의 원예종으로 강한 향기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