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물푸레나무과/개나리속

277 당개나리 = 연교(连翘)

낙은재 2017. 2. 16. 18:16

당개나리, 중국명 : 연교(连翘)

이런 처지는 모습에서 영어명 weeping forsythia가 붙었다. 우리나라 일부에서도 이를 처진개나리라고 부르기도 한다.



당개나리, 중국명 : 연교(连翘)


당개나리, 중국명 : 연교(连翘)

꽃부리의 끝이 둥근 것이 특징 중 하나


당개나리로 우니나라에 등록된 중국 원산 연교(连翘)는 중국을 상징하는 당(唐)나라 개나리라는 뜻으로 우리나라에서는 당개나리라는 이름을 붙었다. 그러나 이 연교는 중국에서 개나리속 즉 연교속의 대표적인 식물로 취급받을 뿐만아니라 세계적으로도 이 개나리속 즉 Forsythia의 모식종이므로 대표적인 수종이 취급받고 있다. 참고로 모식종(模式種)이란 영어로는 type species로 표기하며 새로운 속을 설정할 때 그 속의 여러 개체 중에서 대표가 되는 종을 말한다. 그런데 이 모식종의 표본을 채취한 장소는 중국이 아닌 일본이라는 점이 흥미롭다.


자생 개나리가 별로 시원치 않은 일본에서는 오래 전부터 이 중국원산 연교와 또 다른 중국원산 의성개나리 그리고 우리나라 원산 개나리 등 3종이 널리 식재되어 있었는데 개나리속 중에서는 처음으로 이 연교가 서양에 알려진 것은 18세기 말 일본에 와서 활동하던 린네의 17 사도 중 한 명이며 일본의 린네라고도 불리는 스웨덴출신 의사 튠베르그에 의해서이다. 그는 처음에 이 개나리를 라일락의 일종으로 분류하였으나 나중에 덴마크 식물학자인 Martin Vahl에 의하여 분리 독립되어 개나리속이 된다. 


등록명 : 당개나리

학  명 : Forsythia suspensa (Thunb.) Vahl

분  류 : 물푸레나무과 개나리속 낙엽 관목

원산지 : 중국

중국명 : 연교(连翘), 황화간(黄花杆), 황수단(黄寿丹) 등

일본명 : 렌교(レンギョウ)

영어명 : weeping forsythia
수  고 : 3m
줄  기 : 전개 또는 처짐, 갈색혹담황갈색, 소지토황색혹회갈색, 4릉형, 소생피공

골  수 : 절간 중공, 절부실심수

잎차례 : 통상단엽 대생, 혹3렬지3출복엽

잎특징 : 엽편란형, 관란형혹타원상란형지타원형

잎크기 : 2~10 x 1.5~5cm

잎모양 : 선단예첨, 기부원형, 관설형지설형

잎거치 : 기부제외예거치혹조거치

잎색상 : 상면심록색, 하면담황록색, 양면무모

잎자루 : 0.8~1.5cm, 무모

꽃차례 : 통상단생혹2~3송이, 엽액생, 선엽개화

꽃자루 : 5~6mm

꽃받침 : 녹색, 열편장원형혹장원상타원형, 5~7mm, 선단둔혹예첨, 변연구첩모, 화관관근등장

꽃부리 : 황색, 열편도란상장원형혹장원형, 1.2~2 x 0.6~1mm

장주화 : 화주 5~7mm, 수술 3~5mm

단주화 : 화주 3mm, 수술 6~7mm

방향성 : 개화시 약한 향기

열  매 : 구형, 난상타원형혹장타원형, 1.2~2.5 x 0.6~1.2mm, 선단훼상점첨, 표면소생피공

과  경 : 0.7~1.5cm

개화기 : 3~4월

결실기 : 7~9월

용  도 : 비누, 화장품, 약용

종소명 suspensa는 메달린 즉 처진 줄기를 뜻한다. 그러나 실제로 야생에서 발견되는 당개나리는 처진 모습과 직립 수형이 비슷한 비율로 섞여 있다고 한다. 우리나라에는 당개나리외에도 줄기가 직립한다는 Forsythia suspensa var. fortunei(포르투네이당개나리)와 줄기가 검은 색인 Forsythia suspensa f. atrocaulis(아트로카올리스당개나리)가 더 등록되어 있으나 이들 모두 국제적으로는 당개나리의 이명으로 취급되고 있어 하나로 통합된 것으로 봐도 무방하겠다.


우리나라에서는 너무나도 흔하여 그 귀함을 전혀 몰라 절대적으로 평가절하된 대표적인 꽃나무가 바로 개나리가 아닌가 한다. 봄의 전령인데다가 가지에 촘촘히 달리는 그 수많은 꽃들 게다가 잎이 나기도 전에 개화하여 너무나도 선명하게 저 멀리서도 보이는 노란색 그리고 높은 곳에서 아래로 아름답게 늘어지는 줄기들 이런 점 때문에 서양인들도 매우 좋아하는 꽃나무가 이 개나리인데 이 중국원산의 당개나리는 우리 자생종 개나리와 매우 흡사하여 겉모습으로는 거의 구분하기 어렵다. 그런데 원산지 중국에서는 관상용 꽃으로보다는 치료용 약으로 먼저 사용하여 그 기원은 저 멀리 중국 삼황오제 시절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매우 오랜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중국에서는 이 당개나리를 매우 다양하게 부르지만 중국 정명은 연교이며 우리나라에서도 개나리속의 생약명은 연교로 통한다. 그리고 연교라는 이름에 대하여는 우리나라에서 연(蓮)꽃과 결부시키거나 새꼬리(翹)와 연관시켜 찾는 경우가 있는데 중국에서는 중국 한의학 아버지 즉 중국의 히포크라테스로 불리는 의성 기백과 관련된 설화에서 비롯되었다고 전한다. 아주 먼 옛날 약 5천 년전 중국의 삼황오제 시절 황제내경으로 유명한 황제(黄帝)의 의학스승이었던 기백(岐伯)이란 사람이 약초를 채취하러 손녀와 함께 깊은 산에 들어가서 여러 가지 약초를 직접 씹어서 맛을 보면서 시험하던 중 불행하게 독초에 중독되어 거품을 물고 의식을 잃자 옆에 있던 손녀가 다급하여 주위에 있는 푸른 나무잎을 따서 입으로 씹어 그 즙액을 할아버지 입에 넣어주자 얼마 후 의식을 찾아서 귀가하였다고 한다. 나중에 기백이 그 식물을 다시 찾아 연구한 결과 매우 뛰어난 청열해독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명되어 그 때부터 약으로 사용하였으며 그 나무의 이름을 손녀의 이름인 연교(連翹)라고 불렀다고 한다. 


기백(岐伯)

서양에 히포크라테스가 있다면 동양에 기백이 있다. 황제내경의 저자


위 중국에서 화하 중의 시조(华夏中医始祖) 또는 의성(医圣)으로 불리는 기백의 전설에서도 나와 있듯이 개나리는 중국 50대 기본 한약재로도 꼽힐 정도로 그 효용성이 높은 약재라고 한다. 줄기와 잎 그리고 열매와 뿌리까지 약으로 사용하는데 성미는 쓰고 차며 청열(清热), 해독(解毒),산결(散结),소종(消肿), 치온열(治温热), 단독(丹毒),반진(斑疹),옹양종독(痈疡肿毒),라력(瘰疬),소변임폐(小便淋闭)에 효능이 있다고 한다. 우리나라 개나리도 이와 비슷한 약효가 있으나 결실율이 낮아 열매를 많이 얻지 못하여 약용에는 한계가 있다. 그래서 또 다른 중국원산 개나리인 금종화(金钟花)를 도입하여 특히 경북 의성지방에 많이 식재하였는데 이를 우리는 의성개나리라고 부른다.



당개나리, 중국명 : 연교(连翘) 장주화


당개나리, 중국명 : 연교(连翘) 장주화


당개나리, 중국명 : 연교(连翘) 장주화


당개나리, 중국명 : 연교(连翘) 장주화

두 개의 수술과 하나의 긴 암술대(화주)



당개나리, 중국명 : 연교(连翘) 단주화

꽃잎이 4개 이상인 변태도 보인다.



당개나리, 중국명 : 연교(连翘) 단주화



당개나리, 중국명 : 연교(连翘) 단주화


당개나리, 중국명 : 연교(连翘) 단주화


당개나리, 중국명 : 연교(连翘) 단주화


당개나리, 중국명 : 연교(连翘) 단주화

두 개의 긴 수술과 하나의 암술대(화주)


당개나리, 중국명 : 연교(连翘) 수피


당개나리, 중국명 : 연교(连翘)

우리 개나리와 너무 흡사하다.


우리나라에는 당개나리가 거의 없고 중국에는 우리 개나리가 없어서 별 문제가 없으나 일본에는 우리 개나리와 당개나리가 혼재하고 있는데 둘 다 잎이 나기 전에 꽃이 피고 가지가 처지는 성질이 있어 이들간 구분에 어려움이 많은 것 같다. 그럼 여기서 그 차이점에 대하여 알아본다. 참고로 일본에서는 정원 식재용으로는 우리 개나리가 더 인기가 있다고 한다.


당개나리(连翘)와 개나리의 차이점

1. 당개나리는 줄기 마디를 제외한 부분에는 골수가 없으나 개나리는 부분부분 가로 계단상 골수가 있다.

2. 당개나리는 잎의 기부 극히 일부를 제외하면 모두 거치가 있지만 개나리는 상부 절반 정도에만 거치가 있다.

3. 꽃잎은 당개나리는 다소 둥글고 짧은편이지만 개나리는 길쭉하고 가늘다고 하는데 반드시 그렇지는 않다.

4. 개나리잎은 단엽 대생이지만 당개나리는 3렬 또는 3출복엽도 제법 보인다.

5. 개나리는 결실율이 매우 낮지만 당개나리는 결실율이 높다.

6. 우리 개나리는 줄기가 활처럼 아래로 처지지만 당개나리는 직립하는 경우도 있다. 


당개나리, 중국명 : 연교(连翘)

마디가 아닌 부분은 속이 비어있다.


당개나리, 중국명 : 연교(连翘)

이런 삼출복엽도 있다.


우리 자생종 개나리

줄기 속이 마디는 물론 마디가 아닌 부분도 얇은 계단상 막이 있다.


당개나리, 중국명 : 연교(连翘) 

당개나리는 잎의 기부 극히 일부를 제외한 잎 전체에 거치가 있으며 삼출복엽상도 보인다.


당개나리, 중국명 : 연교(连翘)

잎이 개나리만큼 길쭉하지는 않다. 


당개나리, 중국명 : 연교(连翘) 


당개나리, 중국명 : 연교(连翘) 


당개나리, 중국명 : 연교(连翘) 


당개나리, 중국명 : 연교(连翘) 


당개나리, 중국명 : 연교(连翘) 


당개나리, 중국명 : 연교(连翘) 


당개나리, 중국명 : 연교(连翘) 


당개나리, 중국명 : 연교(连翘) 


당개나리, 중국명 : 연교(连翘)

종자에서 기름을 짜 비누 또는 화장품 등으로 사용한다.


당개나리, 중국명 : 연교(连翘)

충매화임을 알려준다.


당개나리, 중국명 : 연교(连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