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성개나리 = 금종화(金钟花)
줄기가 곧추서는 것이 개나리와는 확연하게 다른 모습이다.
의성개나리 = 금종화(金钟花) 장주화
꽃이 주로 아래로 향하는 특성이 있다.
우리나라 경북 의성(義城)지방에 가면 약용 작물로 많이 재배하는 개나리가 있는데 이는 우리 자생종은 아니고 중국에서 들여온 외래 재배종이다. 개나리 열매가 약효가 워낙 뛰어나니까 이를 얻으려고 하였으나 우리 주변에 흔한 우리 자생종 개나리는 결실율이 매우 낮아 거의 열매를 맺지 않으므로 열매 결실율도 높고 약효도 이미 중국에서 검증된 중국 원산 개나리의 일종인 금종화(金钟花)를 재배한 것이 시초라고 한다. 주 산지 경북 의성지방의 이름을 따서 우리나라에서 의성개나리로 등록한 것이리라. 이명으로 등록된 방울개나리는 중국명 금종화의 의역으로 보이며 약개나리는 이를 도입한 이유를 나타내고 있다.
이 개나리 열매는 해열제로 특히 겨울철 열감기에 효과가 좋아 많이 사용하였으므로 지금은 마늘밭으로 변한 의성지방 농가에서 과거 많이 재배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그후 아스피린 등 많은 양약들이 밀려오면서 그 수요가 떨어져 이제는 거의 자취를 감췄다고 하는데 그 주변을 많이 왕래하였지만 개나리 밭을 본 기억은 없다. 하기야 개나리는 개화기가 아니면 시선을 끌지 못하는 나무이다. 1600년대 중반 중국에서 들여온 한약재를 파종 발아에 성공한 것이 의성개나리의 시초라고 추정한다는데 정확하게 언제부터 사라졌는지에 대하여는 쉽게 정보를 찾을 수가 없다.
여하튼 의성개나리 그 이름만으로 봐서는 우리 자생종 같지만 중국원산인데 약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도입한 외래종이라는 것이다. 그런데 의성지방에서는 북한산에서 최초로 자생하는 것이 발견되어 북한산개나리로도 불리는 산개나리도 자생하는 것이 발견되었다고 하므로 지금 현재 의성지방 여기저기서 보이는 개나리 모두가 의성개나리는 아니고 산개나리와 의성개나리 또는 그 교잡종일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든다. 특히 의성개나리는 꽃받침 열편 가장자리의 첩모 외에는 나무 전체에 털이 없다고 원산지 중국 도감에 분명하게 명시하고 있으므로 잎 뒷면에 털이 수북한 개나리는 절대 의성개나리가 될 수가 없다.
등록명 : 의성개나리
이 명 : 방울개나리, 약개나리
학 명 : Forsythia viridissima Lindl.
분 류 : 물푸레나무과 개나리속 낙엽 관목
원산지 : 중국
중국명 : 금종화(金钟花), 영춘류(迎春柳) 등
일본명 : シナレンギョウ(支那連翹)
영어명 : Greenstem forsythia
수 고 : 3m
특 징 : 꽃받침조각의 가장자리 첩모를 제외한 전주 무모
줄 기 : 갈색혹홍갈색, 직립, 소지녹색혹황록색, 4릉형, 피공명현, 편상수
잎특징 : 장타원형지피침형, 혹도란상장타원형
잎크기 : 3.5~15 x 1~4cm
잎모양 : 선단예첨, 기부설형, 상반부불규칙예거치혹조거치, 희근전영
잎색상 : 상면 심록색, 하면 담록색, 양면무모, 중맥과 측맥상면오목, 하면볼록
잎자루 : 6~12mm
꽃차례 : 1~3송이 엽액생, 개엽전개화
꽃자루 : 3~7mm
꽃받침 : 3.5~5mm, 열편록색, 란형, 관란형혹관장원형, 2~4mm, 첩모
꽃부리 : 심황색, 1.1~2.5cm, 화관관 5~6mm, 열편협장원형지장원형, 0.6~1.8cm x 3~8mm, 내면기부귤색줄무늬, 반권
장주화 : 수술 3.5~5mm, 암술 5.5~7mm
단주화 : 수술 6~7mm, 암술 3mm
열 매 : 난형혹관란형, 1~1.5 x 0.6~1cm, 기부초원, 선단훼상점첨, 피공
과 경 : 3~7mm
개화기 : 3~4월
결실기 : 8~11월
용 도 : 뿌리와 잎 그리고 열매껍질 약용
생약명 : 금종화(金钟花)
효 능 : 청열해독(清热解毒), 거습사화(祛湿泻火), 산결(散结), 감기발열(感冒发热) 목적종(目赤肿) 등
종소명 viridissima는 녹색인 작은 줄기의 색상을 뜻하며 일반 영어명 Greenstem forsythia 또한 같은 의미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개나리속 모든 수종들의 열매를 연교라고 부르며 약으로 사용하지만 중국에서도 개나리속 열매 전체를 연교라고 통칭하기도 하지만 이 의성개나리의 약명은 금종화(金钟花)라고 명시하고 있어 흥미롭다.
의성개나리 장주화
의성개나리 단주화
의성개나리 단주화
의성개나리
개나리와 의성개나리, 중국 연교(당개나리)의 차이점
우리나라에서는 중국 연교(당개나리)와 의성개나리가 흔하지 않아서 주변에서 거의 볼 수가 없으므로 크게 혼동할 일이 없지만 일본만 해도 이들 3종의 개나리가 비슷한 비중으로 심어져 있는데 이들 모두 잎이 좁고 긴데다가 잎의 앞뒤 모두에 털이 없으므로 매우 비슷하여 서로 구분하기 어려워 한다. 게다가 거의 모든 일본 도감에서는 개나리속은 모두 자웅이주라고 설명하고 있어 도감에 따라서는 꽃의 암술과 수술 모습이 다르니마느니 하면서 설명하고 있어 더더욱 혼란스럽다. 이는 모두 개나리속 나무들이 모두 이화주성(異花柱性)으로 장주화와 단주화가 각기 다른 나무에서 피는데 이를 아직 인정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생긴 혼란으로 보인다.
1. 수형
개나리는 직립하지 않으며 넓게 퍼지며 끝부분이 활처럼 처지지만 연교(당개나리)는 줄기가 직립하거나 개전(넓게 퍼짐)며 활처럼 아래로 처지기도 한다. 그러나 의성개나리는 오로지 직립한다.
의성개나리
직립하는 모습이다.
2. 줄기
개나리의 신년지는 녹색이고 노지는 회갈색이지만 연교(당개나리)의 작은 가지는 황갈색이며 의성개나리는 녹색 또는 황록색이다.
의성개나리 장주화
뒷에 보이는 신가지는 녹색이 완연하고 꽃이 핀 가지도 녹색기운이 있다.
이래서 영어명 Greenstem forsythia가 붙었다.
3. 골수
개나리의 골수는 부분부분 비어있지만 연교(당개나리)의 골수는 마디를 제외한 부분은 확실하게 비어있고 의성개나리는 얇은 판으로 거의 꽉 차있다.
의성개나리
줄기 속 골수가 얇은 판막으로 꽉 찼다.
4. 꽃
개나리는 노란 1~3송이 꽃이 액생하며 연교(당개나리)의 꽃은 금황색이며 통상 단생이고 드물게 3개가 액생하지만 의성개나리는 황록색 1~3개의 꽃이 액생한다. 일부에서는 개나리와 의성개나리 꽃잎은 좁고 가늘지만 연교(당개나리)의 꽃잎은 넓고 두툼하여 차이점을 보인다고 하지만 모든 개체에서 그런 특성을 보이지는 않는다.
좌 연교(당개나리), 중 개나리, 우 의성개나리
연교의 꽃잎은 두툼하고 개나리와 의성개나리는 가늘다.
좌 연교(당개나리), 우 의성개나리
5. 꽃받침열편
개나리와 연교(당개나리)의 꽃받침 열편은 꽃부리통과 거의 같은 길이이지만 의성개나리 악편은 꽃부리통(화관통)의 절반에 미친다.
의성개나리
꽃받침 조각이 꽃잎의 아래 원통의 반쯤에서 멈췄다.
개나리
꽃받침조각이 화관통 전체를 덮을 정도로 긴 것과 대비된다.
좌 연교(당개나리), 우 의성개나리
꽃받침 조각의 길이와 잎의 성장 속도 그리고 꽃의 방향에서 차이를 보인다.
6. 잎차례
연교(당개나리)의 잎은 단엽 또는 3소엽 대생이지만 개나리와 의성개나리는 오직 단엽 대생만 보인다. 일부에서는 개나리와 의성개나리도 3소엽 형태가 있다고는 하는데 실제로 그런 형태의 사진도 본 적이 없다.
연교(당개나리)는 이런 3출복엽 모습이 흔하다.
의성개나리는 개나리와 잎모습은 비슷한다.
개나리
7. 잎거치
연교(당개나리)는 거의 전체에 거친 톱니가 있지만 개나리와 의성개나리는 중부 이상에만 거치가 있거나 없다.
의성개나리
개나리와 마찬가지로 중간 이상의 부분에만 톱니가 있다.
연교(당개나리)
중간 이하까지 톱니가 있다.
8. 개화시기
개나리와 연교(당개나리)는 잎이 나기전에 꽃을 피워 개화 초기에는 전혀 잎이 보이지 않지만 의성개나리는 중국과 우리나라 도감에서는 개나리와 동일하게 잎보다 먼저 꽃이 핀다고 하지만 잎이 나옴과 동시에 개화한다는 일본 도감도 있고 실제로 개화기에 잎이 매우 무성한 사진이 매우 많이 보이므로 분명 차이점이 있는 것 같다. 우리나라 일부 연구자료에서는 의성개나리의 잎이 개화후 매우 빨리 자란다고 한다. 따라서 설혹 꽃이 선엽개방을 하더라도 개화 중에 잎이 매우 빨리 자라므로 잎의 나옴과 동시에 꽃이 핀다는 주장이 설득력 있어 보인다.
의성개나리
만개시에 이미 잎이 이렇게 크게 자란다. 따라서 잎과 꽃이 동시에 나온다는 설이 설득력있어 보인다.
의성개나리 개화사진을 잎이 많이 자라서 대개 이런 모습이다.
9. 결실율
모두 동일하게 이화주성 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연교(당개나리)와 의성개나리는 결실율이 높은데 반하여 우리 자생종 개나리만 동일한 조건이 주어져도 유독 결실율이 낮아 열매 보기가 어렵다.
의성개나리
우리 개나리에서는 거의 볼 수 없는 열매가 이렇게 많이 달렸다.
의성개나리
연교(당개나리)의 열매는 매끈한 편이데 의성개나리 열매는 세로줄이 있고 울퉁불퉁하다.
'물푸레나무과 > 개나리속' 카테고리의 다른 글
280 구주개나리, 발칸반도 원산 유럽 개나리 (0) | 2017.02.17 |
---|---|
279 기랄디아나 개나리 = 진연교(秦连翘) (0) | 2017.02.17 |
277 당개나리 = 연교(连翘) (0) | 2017.02.16 |
276 장수만리화 = 장수개나리, 장수만리화도 향기는 없다. (0) | 2017.02.14 |
275 만리화(萬里花)는 금강산에 자생하는 개나리의 일종 (0) | 2017.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