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 등록된 3소엽 잎모양을 가진 즉 삼출복엽 단풍나무들을 모아서 정리 비교해 본다. 우리나라 자생종으로 복자기와 복장나무가 있고 일본에서 들여온 일본복장나무와 일본 고유종인 개복장나무가 있으며 중국고유종들인 중국복자기(혈피단풍)와 헨리단풍이 있다. 그리고 가끔 5~7소엽 형태를 보이기는 하지만 주로 3소엽인 미국원산의 네군도단풍도 여기에 포함시킬 수 있다. 여기서는 편의상 잎 모양만 보고서 같은 삼출복엽으로 묶었지만 실제로는 전세계 단풍나무를 두 개의 아속으로 분류할 때 다수의 단풍나무아속과 소수의 네군도단풍아속으로 대별되는데 여기 네군도단풍는 물론 일본 개복장나무와 중국의 헨리단풍은 네군도단풍아속으로 분류되어 나머지 복자기나 복장나무 그리고 일본복장나무와 중국복자기 등과는 분류체계상 거리는 멀다. 네군도단풍아속은 동아의 크기가 작으며 인편의 수도 적고 통상 총상화서이며 꽃도 통상 4배수이다.
국내등록된 3출복엽 단풍나무들
우리나라 이름 | 학 명 | 원산지 | 원산지명 | 특 징 |
복 자 기 | Acer triflorum | 한국, 중국 | 삼화축(三花槭) | 잎 상부에 2~3조 거치, 꽃이 3개씩 달림, 벗겨지는 수피 |
복장나무 | Acer mandshuricum | 한국, 중국 | 동북축(东北槭) | 잎 전체 둔거치, 거의 무모. 꽃 3~7개, 수피 매끈 |
일본복장나무 | Acer maximowiczianum | 일본, 중국 | 목약목(目薬木) | 온통 흰 털로 덮힘, 잎거치 거의 없음 |
개복장나무 | Acer cissifolium | 일본 고유종 | 삼수풍(三手楓) | 아이비 닮은 잎, 늘어진 긴 총상화서 |
중국복자기 | Acer griseum | 중국 고유종 | 혈피축(血皮槭) | 종이처럼 얇게 벗겨지는 매력적인 붉은 수피 |
헨리단풍 | Acer henryi | 중국 고유종 | 건시축(建始槭) | 개복장나무와 유사, 늘어진 수상화서 |
네군도단풍 | Acer negundo | 미국,캐나다 | ash-leaved maple | 딱총나무 닮은 잎, 3~7 소엽 우상복엽, 긴 수술, 총상 자화서 |
1. 잎으로 구분
우리 자생종 복자기와 복장나무은 잎으로 구분이 가능하겠지만 일본과 중국 그리고 미국종까지 합하면 잎만으로는 구분이 어렵다.
복자기, 복장나무
잎의 거치에서 우리 자생종은 구분이 된다.
일본복장나무, 개복장나무
일본복장나무는 털이 밀생하고 개복장나무는 아이비 잎을 닮았다.
중국복자기(혈피단풍), 헨리단풍
네군도단풍은 주로 3소엽이지만 가끔 5소엽 또는 7소엽일 경우도 있다.
2. 꽃차례로 구분
복자기, 복장나무
복자기는 반드시 꽃이 3개씩 달린다. 그러나 복장나무는 그 이상도 달린다.
일본복장나무, 개복장나무
일본복장나무에는 털이 많고 개복장나무는 길게 늘어지는 총상화서이다.
중국복자기(혈피단풍), 헨리단풍
혈피는 우리 복자기 비슷하지만 헨리는 개복장나무와 흡사하나 약간 다른 수상화서이다.
네군도단풍 웅화와 자화(우)
웅화는 수술이 매우 긴 취산화서이며 자화는 총상화서이다.
3. 열매로 구분
복자기, 복장나무
복장나무 열매는 털이 없고 벌어지는 각도가 둔각이라서 예각인 복자기와 구분이 된다.
일본복장나무, 개복장나무
꽃차례가 다르므로 열매차례도 당연히 확연하게 다르다.
중국복자기(혈피단풍), 헨리단풍
혈피단풍은 취산화서이며 헨리단풍은 수상화서라서 많이 다르다.
네군도단풍
자화가 총상화서이므로 열매차례가 길다.
4. 수피로 구분
복자기, 복장나무
우리 자생종 둘은 수피가 너무 다르다.
일본복장나무, 개복장나무
일본 자생종 둘은 수피로 구분은 어렵다.
중국복자기, 헨리단풍
수피가 가장 아름다운 단풍나무 이래서 혈피단풍이라고 한다.
네군도단풍 어린나무와 성목의 수피
어릴 때는 푸르지만 크면 이렇게 변한다.
'무환자나무과 > 단풍나무속' 카테고리의 다른 글
416 당단풍(唐丹楓)의 국적은? 온 세상이 Korean maple로 부르는데 우리는 왜 애써 중국(唐) 단풍이라고 하는지? (1) | 2017.12.03 |
---|---|
415 단풍나무와 유사종 - 내장단풍, 일본왕단풍, 야촌단풍, 공작단풍과 뜰단풍 (5) | 2017.11.28 |
413 자주네군도단풍과 플라밍고, 엘레간스, 켈리스 골드, 바리에가툼 등 원예종들 (0) | 2017.11.23 |
412 네군도단풍- 북미 원산 단풍나무 중 유일하게 우상복엽이며 내한성이 매우 강한 속성수 (0) | 2017.11.23 |
411 헨리단풍 - 일본의 개복장나무와 매우 흡사한 중국 원산 3출복엽 단풍 (0) | 2017.1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