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기타 과 식물/때죽나무과

476 시노야키아 레데리아나 - 중국 고유 희귀종 협과칭추수(狭果秤锤树), 중부 월동가능한 유망 정원수

낙은재 2018. 4. 23. 08:15


시노야키아 레데리아나

티하나 없는 순수한 백색의 꽃이 피어 결백무하(洁白无瑕) 고아탈속(高雅脱俗)이라고 표현한다.


시노야키아 레데리아나

때죽나무보다 크고 긴 열매가 낙엽이 진 다음에도 주렁주렁 달려있어 정원수로 인기가 높다.


우리나라 시노자키아속에 등록된 또 하나의 수종 시노야키아 레데리아나 또한 중국 고유종으로서 강서와 호남, 호북 그리고 광동성에서 자생하는 희귀종으로서 중국 국가2급 중점 보호식물 즉 위급한 멸종위기종으로 분류하여 관리하는 종이다. 이 또한 중국 식물분류학의 창시자로 불리는 호선숙(胡先骕 : 1894~1968)박사에 의하여 1930년 Sinojackia rehderiana 명명되었는데 종소명 rehderiana는 하버드 유학시절 그의 스승이며 중국 식물 명명에 많이 관여한 Alfred Rehder(1863~1949)의 이름에서 온 것이다. Alfred Rehder(알프레드 레더)는 우리나라 물황철나무를 Populus koreana로 명명한 자이기도 하다.


중국명은 협과칭추수(狭果秤锤树)인데 이는 앞에서 탐구한 시노야키아 크실로카르파 즉 중국 칭추수(秤锤树)에 비하여 열매의 크기가 그다지 작은 편은 아니지만 끝이 뾰족하게 좁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다. 그외에 칭추수는 키가 7m까지도 자라는 소교목이지만 협과칭추수는 5m 이하로 자라는 소교목 또는 관목이라서 오히려 정원수로 적합한 사이즈이며 내한성 또한 영하 23도라서 우리나라 중부지방에서도 노지월동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우리나라 이름 시노야키아 레데리아나는 속명 시노자키아와 상충하므로 이를 바로잡을 필요가 있어 보인다. 영어권에서는 칭추수와 구분없이 모두 Jack tree라고 부른다. 이는 그만큼 흔하지 않은 수종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좌(상) : 시노야키아 레데리아나 = 협과칭추수(狭果秤锤树)

우(하) : 시노야키아 크실로카르파 =칭추수(秤锤树) 

전반적인 열매 크기도 칭추수에 비하여 좀 작지만 특히 하부가 좁고 길게 나온 점이 다르다.


등록명 : 시노야키아 레데리아나

학  명 : Sinojackia rehderiana Hu

분  류 : 때죽나무과 시노자키아속 낙엽 관목, 소교목

원산지 : 중국 고유종

중국명 : 협과칭추수(狭果秤锤树)

영어명 : Jack tree

수  고 : 5m

잎크기 : 5~9 x 3~4cm

꽃차례 : 총상취산화서, 4~6송이 측생소지끝

열  매 : 2~2.5 x 1~1.2cm, 하부절협, 갈색, 내과피견경 목질

개화기 : 4~5월

결실기 : 7~9월

내한성 : 영하 23도


시노야키아 레데리아나


시노야키아 레데리아나


시노야키아 레데리아나


시노야키아 레데리아나


시노야키아 레데리아나


시노야키아 레데리아나


시노야키아 레데리아나


시노야키아 레데리아나


시노야키아 레데리아나


시노야키아 레데리아나


시노야키아 레데리아나


시노야키아 레데리아나


시노야키아 레데리아나


시노야키아 레데리아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