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종나무
꽃잎의 갈라짐이 얕고 크게 벌어지지 않아서 때죽나무와 약간 다른 느낌이다.
은종나무
이듬해 개화기까지 전년도의 열매가 남아 있다. 새 잎의 뒷면에는 털이 많지만 이후에 대부분 탈락한다.
은종나무
대체적으로 꽃은 때죽나무를 닮고 열매는 나래쪽동백을 닮았다.
때죽나무과(Styracaceae)에 속하는 나무들은 대개 관목이거나 소교목으로 키가 별로 크지 않은데 은종나무속(Halesia)에는 무려 39m까지나 자라는 나무도 있다. 은종나무속은 전세계 모두 3~5종이 분포하는데 중국에 자생하는 은종화(银钟花) Halesia macgregorii 단 한종을 제외하면 모두 북아메리카이다. 속명 Halesia는 영국 성직자 겸 과학자인 Stephen Hales의 이름을 따서 영국의 실업가 겸 자연학자인 John Ellis(1710–1776)가 명명한 것을 린네가 1759년 은종나무를 Halesia carolina로 이 속의 모식종으로 명명하면서 사용한 것이다. 사실 Halesia는 1756년 아일랜드 학자에 의하여 꼭두서니과의 다른 불확실한 식물의 비합법적인 학명의 속명으로 사용된 적이 있는 이른바 보존명(保存名) conserved name이다.
은종나무는 캐롤라이나주 등 미국 남동부에 많이 자생하므로 학명 Halesia carolina의 종소명이 캐롤라이나이다. 따라서 영어 일반명도 Carolina silverbell이라고 한다. 꽃이 상대적으로 작다고 가끔 영어로 little silverbell이라고도 부르는데 이는 이 은종나무의 유사종으로 이명처리되는 논란의 학명 Halesia parviflora와 같은 맥락이다. 즉 parviflora가 작은 꽃이라는 뜻이다. 이 은종나무속은 과거에서부터 현재까지 끊임없이 논란이 지속되고 있는 속이다. 학자에 따라서는 린네의 Halesia carolina에 대한 묘사가 불명확하다고 Halesia parviflora가 정명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그 외 산은종나무(Halesia monticola) 등도 논란에 휩싸여 있어 학자에 따라서 이 속에 분포하는 종의 숫자가 오락가락한다. 또 다른 논란은 중국 원산의 Halesia macgregorii 즉 중국명 은종화(银钟花)이다. 중국을 포함한 일부에서는 이 나무를 은종나무속으로 분류하지만 일부에서는 이를 Perkinsiodendron속이라는 별도의 속을 신설하여 학명을 Perkinsiodendron macgregorii로 표기하며 그 속의 유일한 종으로 분류하고 있다.
여하튼 저멀리 미국에서 도입된 이 은종나무는 홍릉수목원에 심어져 있기 때문인지 일부 도감에서도 다루고 있어 간단한 정보도 얻을 수 있다. 서양에서 실버벨이라고 하므로 우리도 따라서 은종나무라고 하는 것 같은데 우리나라 일부에서는 이 은종나무를 미국때죽나무라고 부르고 있으며 일본에서는 이 은종나무를 아메리카아사가라라고 하는데 이는 미국나래쪽동백이라는 뜻이다. 이 은종나무가 꽃은 때죽나무와 비슷하고 열매는 나래쪽동백과 마찬가지로 날개가 있어 비슷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미국에 은종나무속 수종이 이 나무 하나 뿐이라면 그렇게 불러도 될 법하지만 실제로 미국에는 이 은종나무 외에도 산은종나무도 있고 양날은종나무도 있으며 이 들은 이미 우리나라에도 등록되어 있다.
은종나무를 우리나라 때죽나무와 비교하면 잎 모양이 비슷하고 꽃이 흰색이고 꽃과 열매가 아래로 처지는 점에서는 유사하지만 꽃자루가 짧고 꽃잎의 갈라짐이 얕아 넓게 벌어져 탁터진 때죽나무에 비하여 답답함을 느끼게 하며 무엇보다도 꽃향기가 없다. 그리고 열매에는 때죽나무에는 없는 4개 또는 2개의 선명한 날개가 붙어있어 확연하게 차이가 난다. 은종나무를 일본나래쪽동백과 비교하여도 열매에 날개가 있다는 점은 유사하지만 은종나무 열매에는 털이 없으며 꽃모습도 어깨술 같은 나래쪽동백과는 많이 달라 구분이 된다.
은종나무의 원예종으로 적당한 사이즈로 빨리 자라며 가을에 노랗게 단풍이 들고 핑크색 꽃도 피게 개발된 Halesia carolina Vestita group이라는 종은 영국 왕립원예협회로부터 우수품종(AGM)으로 선정된 바도 있다. 이 품종도 '은종나무 베스티타 그룹'이라는 이름으로 우리나라에 등록되어 있다. 그외 분홍색 꽃이 피는 Halesia carolina 'Rosea' 등의 원예종이 있다.
등록명 : 은종나무
학 명 : Halesia carolina L.
이 명 : Halesia parviflora Michx.
분 류 : 때죽나무과 은종나무속 낙엽 관목, 소교목
원산지 : 미국
영어명 : Carolina silverbell, little silverbell
수 고 : 3.5~10m
잎크기 : 6.5~12.5 x 3~5cm
꽃차례 : 2~5송이
열 매 : 4개의 날개
개화기 : 4월
내한성 : 영하 28도
은종나무
은종나무
소교목으로 자란 모습
은종나무
큰 관목으로 자란 모습
은종나무
은종나무
은종나무
은종나무
은종나무
은종나무
어린 잎의 뒷면에는 털이 많지만 나중에 점차 탈락한다.
은종나무
수술은 8~16개이며 암술이 더 길어 밖으로 쭉 나온다.
은종나무
은종나무
은종나무
은종나무
열매에는 4개의 날개가 선명하고 털이 없어 나래쪽동백과 구분이 된다.
은종나무
은종나무
은종나무 열매
은종나무 수피
은종나무 수피
'기타 과 식물 > 때죽나무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479 양날은종나무 - 미국 원산 two-wing silverbell (0) | 2018.04.25 |
---|---|
478 산은종나무 - 미국 원산 마운틴 실버벨 (0) | 2018.04.24 |
476 시노야키아 레데리아나 - 중국 고유 희귀종 협과칭추수(狭果秤锤树), 중부 월동가능한 유망 정원수 (0) | 2018.04.23 |
475 시노야키아 크실로카르파 - 중국 원산 세계적인 희귀종 칭추수(秤锤树) (0) | 2018.04.22 |
474 나래쪽동백 - 중부지방 월동 가능한 유망 정원수 (0) | 2018.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