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기타 과 식물/때죽나무과

475 시노야키아 크실로카르파 - 중국 원산 세계적인 희귀종 칭추수(秤锤树)

낙은재 2018. 4. 22. 22:14


시노야키아 크실로카르파

총상취산화서


시노야키아 크실로카르파

열매가 마치 저울추 같이 생겼다고 중국이름이 칭추수(秤锤树)이다. 

그리고 열매가 단단한 목질이라고 종소명이 xylocarpa로 명명되었다.


시노자키아라는 매우 생소한 속의 나무 두 종이 우리나라 때죽나무과에 등록되어 있다. 이 시노자키아속은 전세계 모두 7종만 분포하는 매우 희귀한 수종인데 모두 중국에서만 자생한다. 중국 식물분류학의 창시자로 불리는 호선숙(胡先骕 : 1894~1968)박사에 의하여 중국이라는 뜻의 Sino와 하버드대 시절 그의 은사 아놀드수목원 John George Jack (1861-1949)교수의 이름을 딴 jackia의 합성어인 Sinojackia로 1928년 명명되었다. 이 속의 모식종 Sinojackia xylocarpa는 중국 강소성에서만 자생하는데 종소명 xylocarpa는 나무를 뜻하는 xylo와 열매를 뜻하는 carpa의 합성어로서 목질의 단단한 열매를 뜻한다.


중국 식물분류학의 창시자로 불리는 호선숙(胡先骕 : 1894~1968)박사

존경받는 식물학자가 있다는 것은 부럽다.


중국 국가2급 보호 멸종위기종인 Sinojackia xylocarpa의 원산지 중국 이름은 열매가 마치 저울(秤)의 추(錘)와 같이 생겼다고 칭추수(秤锤树)라고 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칭추수나 저울추나무 등으로 불러도 될 법하지만 국가표준식물목록에는 시노야키아 크실로카르파라는 어려운 이름을 국명으로 추천하여 등록하고 있다. 영어 일반명은 Jack tree로서 속명과 맥을 같이 한다. 미국인 존 조지 잭 교수의 Jack이 왜 야키아가 되었는지 참으로 어리둥절하다. 중국에서도 捷克木(첩극목)으로 표기하여 재크 비슷하게 발음한다. 더구나 같은 글자를 두고서 속명은 시노자키아속이라고 한글표기하고 있어 정말 우리나라 국가표준식물목록이 일관성도 성의도 없다는 것을 스스로 입증하고 있다.


내한성이 다소 약하여 우리나라 중부지방에서는 노지월동이 어려워 보이지만 이 나무 가지와 잎이 무성하고 초여름 백색의 작은 꽃을 아름답게 피우며 가을에 낙엽진 다음 조롱조롱 달린 열매가 그야말로 저울추 같이 보여 훌륭한 정원수로서 전혀 손색이 없어 보인다.  


秤锤树的特点是(칭추수적특점시) - 칭추수의 특징은

春季花白如雪(춘계화백여설) - 봄에 백설같이 꽃피고

秋季果实累累(추계과실누누) -가을에 열매가 조롱조롱

形似秤锤(형사칭추) - 마치 저울추 같이 

果序下垂(과서하수) - 아래로 처져 달리어

随风摆动(수풍파동) - 바람에 따라 흔들리므로

颇为独特(안위독특) - 매우 독특하도다.

有较高的观赏价值(유교고적관상가치) - 따라서 높은 관상가치가 있다.


등록명 : 시노야키아 크실로카르파

학  명 : Sinojackia xylocarpa Hu

분  류 : 때죽나무과 시노자키아속 낙엽 소교목

원산지 : 중국 고유종

중국명 : 칭추수(秤锤树), 첩극목(捷克木) 

영어명 : Jack tree

수  고 : 7m

개화기 : 3~4월

결실기 : 7~9월

내한성 : 영하 17도


시노야키아 크실로카르파

수술은 10~14개이다.


시노야키아 크실로카르파

꽃자루는 최대 3cm이다.


시노야키아 크실로카르파


시노야키아 크실로카르파

열매 길이는 2~2.5cm이며 지름은 1~1.3cm이다.


시노야키아 크실로카르파


시노야키아 크실로카르파


시노야키아 크실로카르파


시노야키아 크실로카르파

잎의 크기는 3~9 x 2~5cm이며 측맥은 5~7조이다.


시노야키아 크실로카르파

총상취산화서가 측지의 끝에서 나온다.


시노야키아 크실로카르파


시노야키아 크실로카르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