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목련과 옥란속/캠밸목련 15

1097 캠밸목련 '에릭 발터'

캠밸목련 '에릭 발터'는 캘리포니아 식물을 전문적으로 연구한 미국 식물학자 Elizabeth May McClintock (1912~2004)의 발표에 의하여 1965년 널리 알려졌지만 그다지 매력이 없는지 많이 보급되지는 못한 것 같다. 품종명 '에릭 발터'는 샌프란시스코 금문교 인근에 있는 San Francisco Botanical Garden (SFBG)의 최고 책임자로 1937년부터 20년간 근무한 사람으로서 이 식물원이 세계적인 목련 컬렉션을 보유하게 만든 Eric Walther의 이름에서 온 것이다. 원추형 수형에 진분홍색 지름 25cm의 꽃을 풍성하게 피우는 것이 특징이라고 한다. 화피편은 12장인데 외측 화피편은 넓게 펴지고 내측 화피편은 암수술을 감싸는 형태를 취하며 야생에서는 30m 이상..

1096 캠밸목련 '찰스 래필'

캠밸목련 '찰스 래필'은 영국 왕립식물원 큐(Kew)의 Charles p. Raffill이라는 육종가가 1920년부터 1940년 사이에 시킴에서 발견되어 유럽에 도입된 진한 핑크색 캠밸목련과 중국 운남에서 발견되어 도입된 자색이 짙은 핑크색인 털캠밸목련의 교잡을 시도하여 여러 품종을 개발하였는데 이들을 Raffill group이라고 부른다. 그 래필그룹 중에서 가장 먼저 1949년에 선종된 품종이 바로 그의 이름을 딴 '찰스 래필'이다. 이 품종 중 하나가 Windsor Great Park의 관리사무소 즉 The Crown Estate Commissioners의 앞에 심어져 있었는데 14년 생이 12m 높이로 자랐고 12장의 꽃잎(화피편)에 지름 23cm의 rose bengal 색 꽃을 피웠다고 기록하고..

1095 캠밸목련 '베티 제슬'

캠밸목련 '베티 제슬'은 영국 켄트 가우드허스트에 있는 Ladham House 정원의 George Jessel(1891–1977)경이 인도 서벵골의 다르질링식물원에서 1939년 경에 도입한 캠밸목련 묘목에서 자란 품종인데 유난히 꽃 색상이 짙은 자색을 보이고 개화시기가 늦겨울에서 이른 봄에 피는 일반 캠밸목련에 비하여 매우 늦은 4~5월이라서 냉해 피해가 전혀 없는 특징을 보인다. 그래서 1972년 영국 왕립원예학회(RHS)로부터 우수 정원수(AGM)로 선정되기도 하여 인도 다르질링에서 왔다고 처음에는 'Darjeeling'이라는 품종명을 붙였으나 버들목련 '저민스'를 개발한 바 있는 영국 햄프셔에 있는 Sir Harold Hillier Gardens의 Harold Hillier경이 먼저 '다르질링'이라..

1094 털캠밸목련 - 지금은 원종에 통합된 캠밸목련의 아종

털캠밸목련의 학명 Magnolia campbellii subsp. mollicomata (W.W.Sm.) Johnstone는 원래 스코틀랜드 식물학자 William Wright Smith(1875-1956)가 중국과 미얀마의 접경지대인 운남성 Salween강과 Shweli강 즉 중국명으로는 노강(怒江)과 서려강(瑞丽江) 분기점 여러 지점에서 운남지역 식물 채집으로 유명한 스코틀랜드 식물채집가 George Forrest(1873~1932)가 채집한 표본을 대상으로 1920년에 꽃자루에 털이 많다고 Magnolia mollicomata W.W. Sm.라고 명명한 것을 1955년에 영국 식물학자 George Horace Johnstone (1882-1960)이 캠밸목련의 아종으로 편입하여 명명한 것이다. 같은..

1093 캠밸목련 - 중국 인도 시킴 등 히말라야 원산인 대교목

세상의 어느 식물이던 그 실체를 파악할 때 그 식물의 특성을 상세하게 나열한 도감이 가장 정확은 하겠지만 그 복잡한 특징 묘사는 읽을 때는 그런가 싶어도 지나가면 금새 잊어버린다. 그래서 낙은재는 항상 어느 식물이던 그 이름이 지어진 유래를 파악하려고 노력하여 왔다. 많은 경우는 원산지인 그 나라에서도 잘 알려지지 않은 이름 유래를 어렵게 파악하려고 애를 쓰는 등 여기에 집착하고 있다. 그 이유는 어떤 이름이던 새로운 이름을 붙일 때는 그만한 이유가 있었을 것이라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원산지나 학명 그리로 그 식물을 도입한 이 나라 저 나라에서 붙인 이름의 유래만 파악하여도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대부분 나오게 되며 특히 가장 중요한 것은 그렇게 파악하면 기억이 오래 간다는 것이다. 이 낙엽성 대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