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장미과 아몬드아과/사과나무족 37

1907 프레이저 홍가시나무와 ‘레드 로빈’

우리나라에 홍가시나무속으로 등록된 수종이 모두 14종인데 그 중에서 원예품종과 변종을 제외한 원종 기준으로도 9종이 된다. 그런데 자세히 들여다 보니 그 중 4종만 홍가시나무속이고 나머지 5종은 현재 다른 속으로 분류되는 종들이다. 그러니까 윤노리나무속으로 분류되는 종이 둘 있고 다소 생소한 스트란배시아속으로 분류되어 나간 종이 세 종이나 된다. 그래서 모두가 상록 관목 또는 소교목인 홍가시나무속은 홍가시나무와 중국홍가시나무 불두홍가시나무 등 3종과 홍가시나무와 중국홍가시나무의 교잡종인 이 프레이저홍가시나무를 합하여 모두 4종만이 우리나라에 등록되어 있는 셈이다. 그럼 이번에는 이 교잡종에 대하여 알아보자. 이 수종은 높이 4.5m로 다소 왜성으로 아담하게 자라고 새 잎이 유난히 붉은 색을 띠고 있어 수..

1906 불두홍가시나무 - 구화석남(球花石楠)

불두홍가시나무라고 학명 Photinia glomerata Rehder & E.H.Wilson로 등록된 홍가시나무속 수종이 있다. 불두(佛頭)란 부처님이 머리를 말하는 것으로 꽃이 마치 불두화와 같은 공모양이라는 뜻이다. 실제로 이 수종은 가지끝에 복산방화서인 꽃차례가 밀집하여 불두화 정도는 아니더라도 느슨한 공모양을 하고 있다. 유명한 식물채집가인 어네스트 윌슨(1876~1930)이 중국 운남성 보이(普洱)시 사모(思茅)구에서 발견하여 1912년 미국 하버드대학 아놀드수목원에 근무하던 미국 식물학자인 Alfred Rehder(1863~1949)교수와 함께 명명한 학명 Photinia glomerata의 종소명도 공모양이라는 뜻이다. 그래서 이 수종을 구화석남(球花石楠)이라고 하는 중국에서는 그 학명을 따..

1905 중국홍가시나무 = 석남(石南, 石楠)

우리나라에는 가시나무가 매우 많다. 현재 국가표준식물목록에는 무려 237종이나 가시나무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는데 이 중에서 잎의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가시가 있는 감탕나무과 감탕나무속 호랑가시나무 종류가 217종이나 된다. 그리고 돌가시나무와 용가시나무, 대청가시나무 등 진짜 줄기에 가시가 있는 장미과 장미속 수종도 3종이 된다. 이들을 제외한 나머지 17종은 식물 전체에 아무리 찾아봐도 가시가 없는데도 이상하게 가시나무라고 불리는 수종들이다. 참나무과 참나무속으로 상록수인 가시나무와 붉가시나무 종가시나무 등 9종이 있으며 나머지 8종은 바로 이제부터 탐구할 대상들인 장미과 홍가시나무속 홍가시나무와 중국홍가시나무 등 8종이다. 도대체 왜 가시가 전혀 없는 이들 17종이 가시나무로 불리고 있는지 그게 궁금하..

1904 비파나무의 어원과 시(詩) 그리고 학명 변경

비파나무는 2016년 제155번 게시글에서 다룬 바 있었는데 그 당시 나름대로 많은 정보를 수집하여 정리하였기에 정보면에서는 크게 보완할 것이 없어 보이지만 그 사이 비파나무속과 다정큼나무속을 통합하여야 한다는 새로운 주장이 바로 원산지 중국에서 나와서 세계 식물학계에서 논란 중에 있다는 것이다. 비파나무의 어원은 악기 琵琶(비파)에서 왔는데 그 현악기는 고대 서역에서 중국으로 전래된 것이다. 한나라 유희(刘熙)라는 사람이 악기 이름을 풀이한 석명 석악기( 释名 释乐器)라는 기록이 있는데 거기에 비파는 서역에서 왔으며 말 위에서 타는 악기로 앞으로 내밀면서 타는 것을 비(批)라고 하고 뒤로 당기면서 타는 것을 파(把)라고 하는데 양쪽으로 연주하기에 비파(批把)라는 이름을 붙였다라고 설명되어 있다. 그러다..

1903 서양모과 = 메들라

앞 1898번 게시글에서 학명 Cydonia oblonga인 중앙아시아 원산의 관목 또는 소교목이 국내에 털모과라고 등록되었지만 시중에서 유럽모과 또는 마르멜로라고도 부른다고 언급한 바 있다. 사실 털모과의 원산지는 엄연히 중앙아시아이지만 일찍이 유럽으로 전파되어 키도니아라는 속명도 그리스 크레타섬의 지명에서 온 것이라서 우리에게는 유럽에서 온 모과로 인식되었기 때문에 그렇게 부른 것 같다. 그런데 이번에 탐구할 대상인 학명 Mespilus germanica는 사이즈가 작기는 하지만 털모과와 비슷한(?) 모양의 열매가 달리는데 그 원산지가 발칸반도와 흑해 주변인 유럽 동남부와 아시아 남서부이다. 일찍이 기원전 700년에 그리스로 건너갔으며 기원 200년에 로마로 가서 유럽 전역으로 전파되어었다. 그래서 ..

1896 아로니아 원예품종 '어텀 매직'과 '브릴리언트'

국내 아로니아 원예품종으로 두 종이 등록되어 있다. 하나는 아로니아 멜라노카르파 '어텀 매직' 즉 Aronia melanocarpa 'Autumn Magic'인데 이 품종은 단풍이 그다지 아름답지 못한 검은아로니아 중에서 특별히 단풍이 아름다운 특징을 가진 원예품종이다. 그리고 또 다른 하나는 아로니아 프루니폴리아 '브릴리언트'로서 학명 Aronia × prunifolia 'Brilliant'로 등록되어 있어 자주아로니아의 원예품종으로 되어 있다. 하지만 후자는 실제로 붉은 열매가 달리는 레드아로니아의 원예품종으로 분류하여 학명을 Aronia arbutifolia 'Brilliant'로 표기하는 것이 대세이다. 그렇게 되면 국명도 아로니아 아르부티폴리아 '브릴리언트'로 변경되어야 할 것 같다. 그럼 이들..

1895 아로니아 프루니폴리아 = 자주아로니아

아로니아 3종 중에서 이제 마지막 남은 한 종인 아로니아 프루니폴리아에 대하여 알아보자. 이 수종의 학명 Aronia × prunifolia (Marshall) Rehder는 1938년 그 당시 최고의 수목학자로 알려진 미국 하버드대학 아놀드수목원에 근무하던 독일계 미국 식물학자인 Alfred Rehder(1863~1949)교수가 발표한 것이다. 붉은아로니아의 학명 Aronia arbutifolia가 1806년에 명명되고 검은아로니아 Aronia melanocarpa가 1821년에 명명된 것에 비하면 무려 100년 이상이나 뒤늦다. 자주색 열매가 달리기에 영어로 purple chokeberry로 불리며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자주아로니아로 불리는 이 수종 또한 북아메리카 동부지역에서 자생하는데 얼핏 봐서는 ..

1894 아로니아 멜라노카르파 = 검은아로니아, 블랙 초크베리

이번에는 우리나라에서 블루베리만큼은 아니더라도 매우 많은 농가에서 약용 또는 건강식품용 열매를 수확하기 위하여 재배하는 아로니아에 대하여 알아본다. 검은색 떫은 열매가 달리므로 이 아로니아를 서양에서 일반적으로 black chokeberry라고 하기에 우리나라에서도 흔히들 블랙 초크베리라고 부른다. 하지만 이 수종의 우리나라 공식 등록명칭이 아로니아 멜라노카르파인 줄을 정확하게 아는 사람은 드물 것이다. 외래 식물들의 이름을 왜 이렇게 어렵게 붙여서 국민들이 부르기 어렵게 만드는지 알 수가 없다. 중국의 경우는 아로니아속을 떫은(涩) 홍가시나무(石楠)속이라고 부르고 검은 열매가 달리는 아로니아 멜라노카르파는 흑삽석남(黑涩石楠)으로 부르고 앞 게시글에서 다룬 붉은 열매가 달리는 아로니아 아르부티폴리아는 홍..

1893 아로니아 아르부티폴리아 - 윤노리나무(x) 섬개야광나무(x)

아로니아 아르부티폴리아라고 우리나라 국가표준식물목록에 등록된 수종이 있는데 그 학명은 이름 그대로 Aronia arbutifolia이다. 아로니아속은 전세계 오직 미국과 캐나다 등 북아메리카 동부지역에서만 자생하는 단 세 종으로만 구성되어 있다. 유럽에 가장 먼저 알려진 아로니아속의 모식종인 붉은 열매가 달리는 아로니아 아르부티폴리아 외에도 검은 열매가 달리는 아로니아 멜라노카르파가 있고 이들 둘간의 자연교잡종으로 알려진 자주색 열매가 달리는 아로니아 프루니폴리아가 있다. 이들을 학명으로는 각각 Aronia arbutifolia와 Aronia melanocarpa 그리고 Aronia × prunifolia라고 표기하지만 원산지에서는 지름 6~10mm인 작은 식용 가능한 그 열매의 색상으로 구분하여 일반적..

1881 팥배나무는 감당(甘棠)이나 당리(棠梨)가 아니다.

장미과 아몬드아과 사과나무족 팥배나무속 장미과는 실질적으로 담자리꽃나무족 하나를 제외하면 장미아과와 아몬드아과로 크게 양분되며 오늘 현재 우리나라에 등록된 장미과 아몬드아과 목본은 이미 앞에서 다룬 아몬드족과 가침박달족 황매화족 외에도 사과나무족 국수나무족 쉬땅나무족 조팝나무족 등 4개 족으로 분류된다. 우리나라에 등록된 장미과 목본 분류 아과(subfamily) 학 명 족(tribe) 학 명 아몬드아과 Amygdaloideae 아몬드족 Amygdaleae 가침박달족 Exochordeae 황매화족 Kerrieae 사과나무족 Maleae 국수나무족 Neillieae 쉬땅나무족 Sorbarieae 조팝나무족 Spiraeeae 담자리꽃나무아과 Dryadoideae 담자리꽃나무족 Dryadeae 장미아과 R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