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장미과 아몬드아과 207

1868 윌슨가침박달 - 녹병백견매

윌슨가침박달은 원래 영국 출신으로 미국 식물학자이자 20세기 최고의 식물채집가인 어네스트 윌슨(1876~1930)이 중국 호북성 흥산에서 처음 발견한 것이다. 그가 1907~1908년 그리고 1910년 중국에서 채집한 식물 표본을 정리하면서 미국 하버드대학 아놀드수목원의 Alfred Rehder(1863~1949)교수가 처음에는 진주가침박달의 변종으로 Exochorda racemosa var. wilsonii Rehder라고 명명한 것을 1913년 미국 하버드대학부설 아놀드수목원장이었던 Charles Sprague Sargent(1841~1927)박사가 출판하여 발표한 것이다. 그리고 이듬해인 1914년 리더교수는 지랄드가침박달의 변종으로 분류하여 Exochorda giraldii Hesse var. w..

1867 지랄드가침박달 - 홍병백견매(红柄白鹃梅)

지랄드가침박달은 우리나라에서는 1908년 독일 식물학자가 명명한 학명 Exochorda giraldii Hesse로 2023년 7월 10일까지 등록되어 있었지만 통합론자들은 1913년 미국 하버드대학의 아놀드수목원의 Alfred Rehder(1863~1949)교수가 진주가침박달의 변종으로 재명명한 학명 Exochorda racemosa var. giraldii (Hesse) Rehder로 표기하거나 1998년 중국 식물학자인 Gao Fang You (1964~ )와 네덜란드 식물학자인 Laurentius Josephus Gerardus van der Maesen(1944~ )가 모식종인 진주가침박달의 아종으로 명명한 학명 Exochorda racemosa subsp. giraldii (Hesse) F.Y..

1866 진주가침박달 – 백견매 = 이휴매

장미과는 장미아과와 아몬드아과로 대체로 크게 둘로 나눠지고 아몬드아과는 목본의 경우 벚나무속 하나로 구성된 아몬드족과 가침박달족 사과나무족 황매화족 국수나무족 조팝나무족과 쉬땅나무족 등 7개 족(族, tribe)으로 분류된다. 앞에서 아몬드족 즉 벚나무속의 탐구를 마쳤으므로 이제부터는 가침박달족의 탐구를 시작한다. 가침박달족은 가침박달속과 오임레리아속 그리고 빈추나무속 등 모두 3개 속에 겨우 10종이 등록되어 있는 매우 간단한 속이다. 그러니까 우리나라에 등록된 장미과 목본 37속 중 하나인 가침박달속은 중국과 우리나라에 분포하고 극히 일부가 중앙아시아 투르키스탄에 분포하는 키가 5m이내인 낙엽 관목으로서 한때는 수많은 종으로 분류되었지만 최근의 체계적인 연구 결과에 의하여 이들 모두를 하나의 속으로 ..

1762 장미과 – 가장 아름다운 꽃나무와 가장 중요한 과일나무로 가득 찬 집안(family)

장미과는 식물분류학적으로는 진핵식물역(Eukarya) 식물계(Kingdom) 관다발식물문(Phylum)에서 쌍떡잎식물강 즉 목련강(Class)으로 분류되는데 지상의 모든 식물의 거의 70%가 쌍떡잎식물이므로 목련강에 해당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식물은 실질적으로 여기 목련강(木蓮綱)에서부터 분류된다고 보면 된다. 따라서 목련강은 무려 53개에 달하는 목(目) 즉 order로 세분되는데 그 중에서 장미과는 장미목으로 분류된다. 장미목에는 장미과 외에도 갈매나무과와 보리수나무과 뽕나무과 삼(대마)과 쐐기풀과 느릅나무과 등 모두 9개 과로 구성되어 있다. 글쎄 이들이 과연 어떤 공통된 특징이 있기에 장미목으로 분류되는지 한 마디로 설명하기는 매우 어렵고 그런 정의가 있는 것 같지도 않다. 하여튼 장미목(薔薇目)..

321 서장모과(西藏木瓜)와 명자나무속 교잡 원예종들

서장모과(西藏木瓜) 이제 명자나무속의 마지막으로 중국의 티벳지방에서 자생하는 서장모과와 명자나무속의 인기있는 4대 교잡 원예종들에 대하여 간단하게 알아보고 마무리하려고 한다. 이런 다양한 교잡 원예종이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는 것은 그만큼 이 명자나무속의 세계적인 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