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들채진목의 학명 Amelanchier laevis Wiegand는 미국 식물학자인 코넬대학교수 Karl McKay Wiegand(1873~1942)가 미국 메사추세츠주에서 처음 발견하여 1912년 명명한 것이다. 여기서 종소명 laevis는 영어로 smooth하다는 뜻으로 이 수종의 잎에 털이 없기 때문에 붙은 것이다. 그래서 우리나라 이름도 반들채진목이고 중국에서도 같은 의미로 이를 평활당체(平滑唐棣)라고 부른다. 이 수종 또한 북아메리카대륙 동부에 분포하는데 키는 9m 정도 최대 15m까지도 자라는 교목이지만 키가 1m에 불과하게 관목형으로 자라기도 하며 키가 높게 자라더라도 뿌리에서 여러 개의 줄기가 나와 함께 자라는 경우 등 다양한 모습을 보인다. 이 수종이 다소 뒤늦게 명명된 것은 그동안 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