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위수국 '로세움'
바위수국 '로세움'
우리나라 국가표준식물목록에 등록된 품종은 아니지만 시중에서 로지움 또는 분홍이나 핑크 바위수국으로 유통되는 장식화가 분홍색인 원예품종이 있다. 이는 라틴명으로 Schizophragma hydrangeoides 'Roseum'으로 표기되는 원예종의 이름이 분명해 보인다. Roseum은 영어로 Rosy 즉 장미빛이 난다는 뜻인데 우리나라 국표식에서는 이를 모두 로세움으로 한글표기한다. 그러나 일반인들은 주로 로제움으로 부르고 일부 유통업체에서는 로지움이라고까지 한다. 라틴어는 성별에 따라 철자가 달라지기 때문에 학명도 중성인 Roseum을 여성형으로는 로제아 즉 Rosea로 표기하기도 한다.
이 품종은 장식화가 분홍 장미색이라는 것인데 처음부터 핑크색으로 피는 것은 아니고 흰색에서 핑크색으로 점차 변해가는 것이다. 원래 영국 Hillier Nurseries가 1933년 육종한 품종으로서 인기가 높아 2002년 영국왕립원예학회(RHS)로부터 우수 품종(AGM)으로 선정되기도 하였는데 그 때 표기한 학명은 Schizophragma hydrangeoides var. hydrangeoides 'Roseum'이었다. 그런데 이와 매우 유사한 품종이 Schizophragma hydrangeoides 'Rose Sensation'이라는 이름으로 특히 미국시장에서 유통이 된다. 이 Rose Sensation 품종은 프랑스 Pepinieres Minier가 육종한 품종으로서 Schizophragma hydrangeoides 'Minsens'라는 이름으로 미국 특허도 신청하였다고 한다. 그래서 많은 업체들이 이들 둘을 다른 품종으로 취급을 하고 있다. 그런데 그 상품의 이미지들이 너무나도 똑 같다. 이게 도대체 뭐란 말인가?
알고보니 이는 원래 영국에서 육종된 품종을 프랑스 Nursery Minier에서 미국의 Spring Meadow Nursery와 손잡고 미국특허를 신청하고 미국 시장에 Proven Winners라는 브랜드로 Rose Sensation이라는 다른 품종명으로 유통하는 것 같다. 그러니까 하나의 품종이 두 개의 이름을 가지게 된 것이다. 그리고 특허명은 프랑스 업체 Minier에서 따온 Minsens으로 하여 헷갈리게 하고 있다. 결국 Schizophragma hydrangeoides 'Roseum'은 Schizophragma hydrangeoides 'Rose Sensation'과 동일한 품종인 것이다. 하지만 모두가 다른 품종으로 인정받기를 원하는 것 같다.
품종명 : 바위수국 '로세움'(미등록종)
이 명 : 바위수국 '로제움', 바위수국 '로지움'
이 명 : 바위수국 '로즈 센세이션'
유통명 : 분홍바위수국, 핑크바위수국
학 명 : Schizophragma hydrangeoides 'Roseum'
이 명 : Schizophragma hydrangeoides 'Rosea'
이 명 : Schizophragma hydrangeoides var. hydrangeoides 'Roseum'
이 명 : Schizophragma hydrangeoides 'Minsens'
이 명 : Schizophragma hydrangeoides 'Rose Sensation'
분 류 : 수국과 바위수국속 낙엽 덩굴성 목본
길 이 : 10m
특 징 : 장식화가 처음에는 원종과 같이 희게 피지만 점차 핑크색으로 변함
내한성 : 영하 28도
육종가 : 영국 Hillier Nurseries 1933년
특허권 : 미국시장 특허 신청
바위수국 '로세움'
미국 하버드대학 아놀드수목원인데 처음에는 이렇게 흰색이 강하다.
바위수국 '로세움'
아놀드수목원
바위수국 '로세움'
바위수국 '로즈 센세이션' = 바위수국 '로세움'
미국에서는 Proven Winners 브랜드로 유통된다.
바위수국 '로즈 센세이션' = 바위수국 '로세움'
바위수국 '로세움'
바위수국 '로세움'
바위수국 '로세움'
바위수국 '로세움'
'수국과 기타속 > 바위수국속' 카테고리의 다른 글
664 중국바위수국 (0) | 2019.02.28 |
---|---|
662 바위수국 문라이트 (0) | 2019.02.26 |
661 바위수국의 특징, 등수국과 바위수국의 구분법 - 중부 노지월동 가능한 아름다운 덩굴식물 (0) | 2019.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