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콩과/미모사아과

820 미모사 그리고 고려자귀나무의 정체는 미국 원산의 미모사 보레알리스

낙은재 2019. 10. 4. 21:37

미모사


콩과 미모사속에는 전세계적으로 500종 이상의 식물이 분포하며 그 대부분은 중남미가 원산지이다. 식물분류학상 매우 복잡하게 얼키고설켜 누적 3,000개 이상의 학명이 부여되었다가 통합되거나 변경되는 등 이합집산을 거듭한 골치아픈 속이 바로 미모사속이지만 우리나라에는 학명 Mimosa pudica L.로 1753년 린네가 명명한 단 한 종만 등록되어 있다. 이 종의 우리 국명은 속명 그대로인 미모사이다. Mimosa pudica가 미모사속 중에서는 관상용으로 가장 인기가 높은 식물이기는 하지만 이렇게 속명을 국명으로 정하면 나중에 추가로 다른 종이 도입되면 난감해 진다. 미모사라는 국명은 1949년 발간된 박만규선생의 우리나라식물명감에 근거하는데 그 때 같이 제시한 감응초(感應草)가 오히려 적합한 이름이었다고 판단이 된다. 왜냐하면 미모사 즉 Mimosa pudica는 건드리면 감응을 하는 초본이지만 미모사속에는 관목도 있으며 건드린다고 모두 반응을 보이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영어권에서도 이 Mimosa pudica의 특징을 잘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 이를 sensitive plant라는 이름으로 널리 부르기 때문이다.


미모사속 500여 종의 식물 중에서 현지에서는 Mimosa pudica 외에 또 하나의 종인 Mimosa tenuiflora가 유명한데 이는 관상용이 아닌 주술용으로 사용된 관목이라서 우리가 관심둘 만한 것은 아닌 것 같다. 목본도 아닌 초본인 미모사를 탐구하는 이유는 첫째 미모사가 자귀나무속 그리고 칼리안드라속 및 아카시아속과 매우 유사한 점이 있기 때문이며 둘째 최근에 시중에 고려자귀나무라는 이름으로 정체불명의 식물이 일본에서 들어와 유통되고 있는데 이 식물이 자귀나무속이 아닌 미모사속 관목인 Mimosa borealis인것 같아서이다. 직접 고려자귀 실물을 본 적이 없어서 장담은 못하겠지만 떠도는 정보를 봤을 때 미국 중부지역에 흔하게 자라는 fragrant mimosa 또는 pink mimosa로 불리는 Mimosa borealis일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미모사의 속명 Mimosa는 흉내를 낸다는 뜻으로 하나가 잎을 접으며 뒤따라서 접는 모습을 말하고 종소명 pudica는 수줍어 한다는 뜻과 닫는다는 뜻이 있어 이 또한 잎을 건드리면 닫는 모습에서 온 이름이다. 그래서 중국에서는 이를 부끄러움을 머금은 풀이라는 뜻인 함수초(含羞草)라고 부른다. 그래서 우리나라 국표식에 미모사의 이명 중에 함수초가 있는 것이다. 중국 별명 중에 파축초(怕丑草)라는 것이 있는데 이는 소를 두려워하는 풀이라는 뜻으로 아마 소가 이 풀을 너무 좋아하므로 잎을 접는 것으로 본 이름 같다. 미모사와 비슷한 자귀나무를 우리나라에서 소쌀나무라고 부르는 것과 비슷한 맥락으로 보인다. 일본에서는 이 미모사를 오지기소우(オジギソウ)라고 하며 한자로는 御辞儀草(어사의초)라고 쓰는데 이는 머리를 숙여 절한다라는 뜻이다. 건드리면 잎을 닫고 축 처지므로 절하는 것으로 본 것이다. 


미모사는 흐트러진 모습을 하는 아관목상 초본으로서 키는 1m까지 자란다. 줄기는 원형이고 가시가 있거나 가시털이 있다. 탁엽은 피침형이며 1cm 정도 길이에 강모가 있다. 건드리거나 밤이 오면 접어서 아래로 처지는 잎은 우상복엽으로 4쌍이 2쌍씩 마주하여 손가락 모양으로 엽축 끝에 달린다. 소엽은 10~20쌍이 마주하며 그 크기는 8~13 x 1.5~2.5mm 이며 끝이 급하게 뾰족하며 잎 가장자리에는 딱딱한 털이 있다. 지름 1cm의 작은 담홍색 여러 개의 꽃으로 구성된 꽃차례는 원구형두상화서이며 총화경이 길고 잎 겨드랑이에 하나 또는 2~3개가 달린다. 총포는 선형이며 꽃받침은 작고 꽃잎은 종모양으로 끝이 4개로 갈라지며 외면에 단유모가 있다. 수술은 4매이며 꽃잎 밖으로 돌출한다. 자방은 자루가 짧고 털이 없으며 배주는 3~4개이고 암술대는 선상이며 주두는 작다. 협과는 장원형으로서 1~2cm 길이에 0.5cm 너비 사이즈이며 편평하고 약간 휘어졌다. 꼬투리의 가장자리는 파상이며 가시털이 있고 익으면 껍질이 탈락하지만 가장자리는 남는다. 종자는 난형으로서 3.5mm 길이이다. 개화기는 3~10월이고 과기는 5~11월이다.


등록명 : 미모사

이  명 : 감응초, 신경초, 함수초, 잠풀

학  명 : Mimosa pudica L.

분  류 : 콩과 미모사속 일년생 초본 (열대에서는 다년생 초본)

원산지 : 중남미

영어명 : sensitive plant, sleepy plant, action plant, touch-me-not, shameplant, zombie plant, shy plant

중국명 : 함수초(含羞草) 별명 - 지수초(知羞草), 호갈초(呼喝草), 파축초(怕丑草)

일본명 : 오지기소우(御辞儀草)

내한성 : 영하 6도

용  도 : 관상용, 약용 - 신경안정, 청열해독, 불면증 등


참고로 모양이 비슷한 미모사속과 자귀나무속 그리고 칼리안드라속을 구분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수술의 숫자이다. 미모사속은 10개 이하이고 자귀나무속은 20~50개이고 칼리안드라속은 매우 많아 거의 100개에 달한다는 것이다. 원래 린네가 식물을 분류할 때 수술의 수로 강(綱)을 분류하고 암술의 수로 목(目)을 분류하려고 시도했을 정도로 식물의 분류에서 수술의 숫자는 매우 중요한 구분 포인트라고 할 수 있다. 


미모사


미모사


미모사


미모사


미모사


밤이 오지 않아도 건드리면 잎을 닫는 미모사


그럼 여기서 국내에서 고려자귀나무라고 불리는 식물에 대하여 알아보자. 이는 분명 일본에서 고우라이히메네무(コウライヒメネム)라고 불리며 한자로는 高麗姫合歓 즉 고려왜성자귀나무라는 뜻으로 표기되는 관목이 분명해 보인다. 그런데 일본에서도 최근에 외국에서 들어온 신품종이라서 그 정확한 이름을 모르고 있다는 것이다. 물론 이 식물을 일본에 들여와 유통하는 업자는 당연히 알겠지만 굳이 그 출처를 밝혀서 여러 업자들이 쉽게 들여오게 할 이유가 없으므로 밝히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우선 이 고려자귀의 사진을 보고나서 이야기를 이어가자.

 

유통명 : 고려자귀(나무)

학  명 : 미상

일본명 : 고우라이히메네무(コウライヒメネム), 高麗姫合歓(고려희합환) 

특  징 : 잎도 꽃도 매우 작으며 잎이 야간에는 수면운동은 하지만 건드려도 잎을 닫지를 않는다. 


고려자귀(나무)


고려자귀(나무)


고려자귀(나무)


고려자귀(나무)


고려자귀(나무)


이상이 시중에서 고려자귀라고 불리는 식물인데 일본에서 도입된 것이 거의 확실해 보인다. 위 사진들을 유심히 살펴본 결과 이 식물은 자귀나무도 아니고 그렇다고 홍자귀라고 불리는 칼리안드라속도 아닌 미모사속으로 보인다. 그렇지만 건드려도 반응을 보이지 않는데다가 초본이라기보다는 관목이라서 국내는 미등록된 종이지만 미국 원산의 아래 수종인 것으로 보인다. 미모사속의 모든 식물이 접촉시 반응을 보이는 것은 아니다. 물론 실물을 관찰할 기회가 있다면 보다 더 정확한 동정이 가능하겠지만 일단 사진으로만 봤을 때는 다음과 같이 미모사 보레알리스일 것으로 추정이 된다. 고려 즉 우리나라와 아무런 상관이 없는 나무가 일본에서 이상하게 고려왜성자귀나무라고 불리고 그 것이 우리나라에 와서 그대로 고려자귀라고 불리는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혹시 일본에서 종소명 borealis를 corealis나 korealis로 착각한 것이 아닌가 한다. 여하튼 종소명 borealis는 원래 북쪽에서 온 것이라는 뜻이다. 그러니까 미모사는 주로 열대나 아열대지방에서 자생하는데 이 미모사 보레알리스는 예외적으로 북쪽인 미국 중부 내륙에서 발견된 종이라는 뜻이다 . 따라서 내한성이 생각보다 강하여 우리나라 충청이남이나 서울시에서는 노지월동도 가능해 보인다.


이  름 : 미모사 보레알리스(미등록종)

유통명 : 고려자귀(나무)

학  명 : Mimosa borealis A.Gray

이  명 : Mimosa texana (A.Gray)Small

분  류 : 콩과 미모사속 낙엽 관목

원산지 : 미국

영어명 : fragrant mimosa, pink mimosa

일본명 : 高麗姫合歓(고려희합환)

수  고 : 1.8m

줄  기 : 털이 없고 중간중간 날까로운 휘어진 가시가 있음

잎차례 : 3~10쌍의 소엽이 모여 중엽을 이루고 1쌍 5쌍의 중엽이 마주하는 2회우상복엽

작은잎 : 1.5cm 길이

꽃차례 : 두상화서

꽃향기 : 좋음

수술수 : 8~10

특  징 : 건조한 지역에 잘 적응하여 가뭄에 매우 강함

내한성 : 영하 18도


미모사 보레알리스(미등록종)

국내 유통명 : 고려자귀


미모사 보레알리스(미등록종)

국내 유통명 : 고려자귀


미모사 보레알리스(미등록종)

국내 유통명 : 고려자귀


미모사 보레알리스(미등록종)

국내 유통명 : 고려자귀


미모사 보레알리스(미등록종)

국내 유통명 : 고려자귀


미모사 보레알리스(미등록종)

국내 유통명 : 고려자귀


미모사 보레알리스(미등록종)

국내 유통명 : 고려자귀




미모사 보레알리스(미등록종)

국내 유통명 : 고려자귀


미모사 보레알리스(미등록종)

국내 유통명 : 고려자귀


미모사 보레알리스(미등록종)

국내 유통명 : 고려자귀


미모사 보레알리스(미등록종)

국내 유통명 : 고려자귀


미모사 보레알리스(미등록종)

국내 유통명 : 고려자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