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리안드라 해마토세팔라(미등록종)
칼리안드라속 중에서 가장 인기가 높은 수종으로서 중국과 일본에서는 주영화와 대홍합환이라는 이름까지 있지만 우리나라에는 등록조차 되지 않았다. 그래서 시중에서 업자들이 들여와 홍자귀나무로 이름을 붙여서 판매하고 있다.
칼리안드라 브레비페스(미등록종)의 아름다운 모습
그 꽃과 잎의 모습이 그리고 밤에 잎을 닫고 잔다는 점에서 자귀나무를 많이 닮은 콩과에 속하는 칼리안드라속이 있다. 주로 아메리카 대륙의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서 자생하는데 대부분 다년초이거나 관목이고 드물게 소교목인 경우도 있다고 한다. 전세계 모두 140여 종이 분포하지만 우리나라에는 3종이 등록되어 있고 국내 수목원에서 재배하거나 시중 화원에서 일본에서 들여와 판매하는 몇 종이 더 있는 것 같다. 국내 도입된 종은 거의 모두 상록 관목인 것으로 보인다. 꽃의 색상이 진한 붉은색으로 매우 아름답지만 거의 모두 내한성이 매우 약한 열대 식물이므로 국내서는 제주도에서나 노지월동이 가능할 것 같다. 따라서 화분에서 재배하려면 사이즈가 적은 것을 골라야 될 듯싶다.
칼리안드라속은 탁엽이 항상 있으며 나중에 가시로 변하기도 한다. 잎은 2회우상복엽인데 중엽은 한쌍이거나 몇 개가 마주하고 소엽의 쌍은 일정하지 않다. 꽃은 통상 구형 두상화서를 이루어 엽액이나 가지의 끝에 생겨 전체적으로는 총상화서를 이룬다. 5~6기수이며 잡성화이다. 꽃받침은 종모양이며 얕게 갈라지고 꽃잎은 중간까지 합해져 있다. 중앙 정생화는 크고 긴 관상화관이다. 수술은 매우 많아 최대 100개에 이르며 홍색 또는 백색이다. 수술의 기부는 합관을 이루며 꽃밥에는 선모(腺毛)가 있다. 심피는 하나이고 자루가 없고 배주는 다수이고 암술은 선형이다. 열매는 협과로서 선형이며 편평하고 곧거나 약간 휘어져 있으며 기부가 좁고 가장자리가 두텁다. 열매는 성숙 후 세로로 두 개로 갈리지며 종자는 도란형 또는 장원형이며 납작한 것이 특징이다.
그러면 여기서 우리나라에 등록된 칼리안드라속 3종에 시중에 유통되는 2종 등 모두 6종에 대하여 간략하게 알아보자. 속명 Calliandra는 라틴어 아름답다는 뜻인 kallos와 남성 또는 수술이라는 뜻인 andro가 결합된 말로서 겉보기에는 꽃잎으로 보이는 수술이 매우 아름답다는 뜻으로 1840년 영국의 식물학자 George Bentham(1800~1884)이 명명한 것이다. 자귀나무의 꽃 수술이 20~50개인데 이 칼리안드라속은 무려 100에 달하고 있는데다가 칼리안드라 해마토세팔라 같은 경우 꽃 색상이 매우 진한 붉은색이라서 매우 아름답다는 평을 듣는다. 속명을 명명한 조지 밴담은 개별 종도 많이 명명하였는데 아래에서 소개하는 6종 중에서 4종을 명명하기도 했다. 영어권에서 칼리안드라를 powder-puff 또는 fairy duster라고 부른다. 파우더 퍼프는 분바르는 화장용품이고 페어리 더스터는 요정의 먼지털이를 말한다.
원래 이런 걸 powder-puff라고 말한다.
시중에서 말하는 홍자귀나무
요즘 시중 화원에 가면 다양한 외래 식물들을 들여와 판매하고 있어 매우 반갑기는 한데 가끔 아니 거의 대부분 그 식물의 이름 등 정체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게 엉뚱한 이름이나 정보를 붙여서 팔고 있어 답답하다. 그게 정말 제 이름인줄 알고서 구입한 사람은 평생 그렇게 생각할 것이 아니겠는가. 요즘 홍자귀나무라고 시중에 많은 정보가 떠 돌고 있는데 그 중에는 진짜 우리 자생종 붉은자귀나무를 말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은 일본 등지에서 수입한 칼리안드라를 종에 상관없이 그렇게 부르는 것 같다. 칼리안드라속을 홍자귀나무라고 부르는 것까지는 이해할 수도 있다. 일본에서도 홍합환(紅合歓)이라고 하고 자귀나무를 별명으로 마영화(马缨花)라고 부르는 중국에서도 칼리안드라속을 주영화(朱缨花)속이라고 한다. 하지만 그 세부 정보에 들어가면 홍자귀나무가 마치 자귀나무의 한 원예종인 양 자귀나무속에 대한 기본정보를 제공하고 있다는 것이다. 다시 한번 강조하자면 자귀나무와 시중에서 홍자귀나무로 불리는 칼리안드라는 같은 콩과에 속하기는 하지만 속이 다른 식물이라는 것이다.
등록명 : 칼리안드라 트웨에디
학 명 : Calliandra tweedii Benth.
분 류 : 콩과 칼리안드라속 상록 관목
원산지 : 브라질,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등
영어명 : Mexican Flame Bush, Brazilian Flame Bush
수 고 : 2.4m
꽃색상 : 적색
내한성 : 영하 1도
종소명 tweedii는 19세기 스코틀랜드에서 아르헨티나로 이민가서 유명한 식물학자가 된 John Tweedie의 이름에서 온 것이다.
칼리안드라 트웨에디
칼리안드라 트웨에디
칼리안드라 트웨에디
등록명 : 칼리안드라 수리나멘시스
학 명 : Calliandra surinamensis Benth.
분 류 : 콩과 칼리안드라속 상록 관목
원산지 : 수리남, 브라질, 에쿠아도르 등
영어명 : Surinam Powderpuff
수 고 : 5m
꽃색상 : 핑크
내한성 : 영하 1도
종소명 surinamensis는 수리남에서 발견한 것이라는 뜻이다.
칼리안드라 수리나멘시스
칼리안드라 수리나멘시스
칼리안드라 수리나멘시스
등록명 : 칼리안드라 테르게미나 에마르기나타
학 명 : Calliandra tergemina var. emarginata (Willd.) Barneby
분 류 : 콩과 칼리안드라속 상록 관목
원산지 : 콜롬비아, 쿠바 등
영어명 : Pink Powderpuff
수 고 : 3m
꽃색상 : 핑크
내한성 : 영하 4도
매우 복잡한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1998년 미국 식물학자 Rupert Charles Barneby (1911~2000)에 의하여 현재의 학명이 명명된 것이며 종소명 tergemina는 3출엽이라는 뜻이고 변종명 emarginata는 중소엽의 가운데가 깊이 파인데서 온 말이다.
칼리안드라 테르게미나 에마르기나타
칼리안드라 테르게미나 에마르기나타
칼리안드라 테르게미나 에마르기나타
칼리안드라 테르게미나 에마르기나타
이 름 : 칼리안드라 해마토세팔라(미등록종)
학 명 : Calliandra haematocephala Hassk.
분 류 : 콩과 칼리안드라속 상록 관목
원산지 : 방글라데시, 대만, 미얀마 등 동남아, 브라질 페루 등 남미, 하와이 등
영어명 : Red Powderpuff
중국명 : 주영화(朱缨花)
일본명 : オオベニゴウカン(大紅合歓)
수 고 : 1.8m
꽃색상 : 레드
내한성 : 영하 4도
1855년 독일의 탐험가이자 식물학자인 Justus Carl Hasskarl (1811~1894)가 붉은 머리라는 뜻인 Calliandra haematocephala로 명명함
칼리안드라 해마토세팔라(미등록종)
칼리안드라 해마토세팔라(미등록종)
칼리안드라 해마토세팔라(미등록종)
칼리안드라 해마토세팔라(미등록종)
칼리안드라 해마토세팔라 백색 변종
이 름 : 칼리안드라 에리오필라(미등록종)
학 명 : Calliandra eriophylla Benth.
분 류 : 콩과 칼리안드라속 상록 관목
원산지 : 멕시코, 미국
영어명 : Pink Fairyduster
일본명 : ベニゴウカン(紅合歓)
수 고 : 0.9m
꽃색상 : 핑크
내한성 : 영하 7도
종소명 eriophylla는 잎에 융모가 있다는 뜻이다. 왜성종이라서 일본에서 특히 인기가 높다. 밤이면 잎 뿐만아니라 꽃도 오므렸다 폈다를 한다.
칼리안드라 에리오필라(미등록종)
칼리안드라 에리오필라(미등록종)
칼리안드라 에리오필라(미등록종)
이 름 : 칼리안드라 브레비페스(미등록종)
학 명 : Calliandra brevipes Benth.
분 류 : 콩과 칼리안드라속 상록 관목
원산지 : 남미, 동남아
영어명 : Pink Powderpuff
수 고 : 1.8m
꽃색상 : 핑크, 화이트
내한성 : 영상 2도
종소명 brevipes는 열매 꼬투리가 짧다는 뜻이다.
칼리안드라 브레비페스(미등록종)
칼리안드라 브레비페스(미등록종)
칼리안드라 브레비페스(미등록종)
'콩과 > 미모사아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821 아카시아속 - 호주 원산 아름다운 관상수들 (0) | 2019.10.06 |
---|---|
820 미모사 그리고 고려자귀나무의 정체는 미국 원산의 미모사 보레알리스 (0) | 2019.10.04 |
818 왕자귀나무 - 대엽 백화의 우리 자생종 그리고 자귀나무의 이름 유래 (0) | 2019.10.02 |
817 자귀나무와 붉은자귀나무 그리고 자귀나무 '서머 초콜릿' (3) | 2019.10.01 |
50 아카시아(Acacia)와 아까시나무 (0) | 2016.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