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콩과/-게니스타족

889 나무루피너스 - Lupinus arboreus

낙은재 2019. 12. 13. 18:03

나무루피너스(미등록종)


콩과 콩아과 중에서 게니스타족에 속하는 약 27개 속 중에서 우리나라에는 10개 속이 등록되어 있다. 그 중 8개 속은 이미 앞에서 탐구한 바 있고 이제 2개 속이 남았는데 페테리아(Petteria)속과 루피너스(Lupinus)속이 그들이다. 루피너스속은 471종으로 구성된 큰 속인데 거의 대부분 초본으로 구성되어 있고 몇 종만 목본이다. 그 중에서 국내는 미등록종이지만 유럽에서는 나름대로 인기가 높아 영국 RHS의 AGM를 획득한 수종인 Lupinus arboreus에 대하여 먼저 간단하게 알아본다. 


학명은 영국 식물학자 John Sims (1749-1831)가 나무 같다는 뜻의 종소명으로 Lupinus arboreus라고 명명한 것이다. 속명 Lupinus는 1753년 린네가 그 당시에 이 식물이 토양의 영양분을 흡수하는 능력이 매우 강하여 탐욕스럽기가 늑대와 같다고 명명하였다는데 실제로는 여타 콩과 식물과 마찬가지로 뿌리혹박테리아에 의하여 토양을 오히려 개선시키며 특히 이 수종은 해안가 암석지역이나 모래 언덕 등 척박한 토양에서도 잘 자라므로 토양을 황폐화시킨다는 속명을 정한 취지와는 거리가 멀다. 일반 영어명도 영어 wolf를 뜻하난 루핀 즉 lupin 또는 lupine인데 이는 추리소설에 나오는 주인공 괴도 루팡과 스펠링과 발음이 같다. 그래서 호랑이 이빨이라는 작품 마지막에 루팡이 은거하는 집 마당에 루피너스를 많이 심는 내용이 나온다고 한다. 중국에서는 이 속을 우선두속(羽扇豆属)이라고 하는데 잎 모양이 깃털 부채 같은 모습이기 때문이다. 일본도 이 속을 엽단선두속(葉団扇豆属)이라고 하는데 이는 잎이 둥근 부채 같은 모습이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이를 엉뚱하게 가는잎미선콩속이라고 하는데 아마 미선콩속(尾扇)이라고 하여야 할 것을 실수한 것 같다. 미선이란 둥근 부채의 일종으로 중국과 일본의 우선이나 단선과 같은 맥락이다.


Lupinus arboreus는 미국 캘리포니아가 원산지인데 일반 영어로 yellow bush lupine 또는 tree lupin 즉 노란관목루핀 또는 나무루핀으로 불리고 있어 학명과 일맥상통한다. 그래서 국내 미등록종이기 때문에 아직 우리 이름이 없는 이 수종을 일단 나무루피너스라고 불러 본다. 키가 2m까지 자라는 상록 관목으로서 내한성은 영하 12도이므로 중부지방에서는 노지월동이 불가능하다. 그리고 수명이 7~8년에 불과하여 관목이기는 하지만 다년생 초본에 가까운 행태를 보인다. 그래서 심지어는 이 수종을 다년생 초본으로 설명하는 경우도 있다. 길이 2~6cm의 회녹색 소엽 5~12개로 둥근 장상복엽을 구성하고 있으며 견모가 성글게 난다. 봄에 여러 개의 향기가 좋은 노란 꽃이 모여 30cm 길이의 총상화서를 구성하는데 자주색 꽃이 피는 품종도 있다. 꽃받침은 2순형이고 수술은 단체로서 꽃밥은 긴것과 짧은 것이 교차한다.


이  름 : 나무루피너스(미등록종 : 가칭)

학  명 : Lupinus arboreus Sims

분  류 : 콩과 루피너스(미선)속 상록 관목

원산지 : 미국 서부

영어명 : yellow bush lupine 또는 tree lupin

수  고 : 2m

개화기 : 5~8월

특  징 : 응달에서도 잘 자람, 열매에 독성이 있음

내한성 : 영하 12도


나무루피너스


나무루피너스


나무루피너스


나무루피너스


나무루피너스


나무루피너스

독성이 있어 사람이나 동물에게 해롭다.


나무루피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