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른루피너스
우리나라에 푸른루피너스라는 이름으로 등록된 Lupinus polyphyllus는 키가 1.5m까지도 자라는 다년생 초본이다. 학명 Lupinus polyphyllus는 잎이 많다는 뜻으로 1827년 영국 식물학자 John Lindley (1799 – 1865)이 명명한 것이다. 학명도 그렇고 일반 영어명에도 many-leaved lupine이라는 것이 있으므로 중국과 일본에서 잎이 많은 루피너스라는 의미로 각각 다엽우선두(多叶羽扇豆)와 タヨウハウチワマメ(타요우하우치와마메) 즉 다엽우단선두(多葉羽団扇豆)라고 하는 것은 자연스러워 보인다. 그런데도 우리 이름이 푸른루피너스가 된 것은 꽃 색상이 푸르기 때문일 것이다. 이 초본의 다양한 영어명 중에 blue pod lupin이라는 것이 있기는 하지만 영어로 blue lupine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미국에서는 우리나라에 숙근루피너스로 등록된 Lupinus perennis를 말하며 유럽에서는 진짜 색상이 진한 청색인 이스라엘 특산식물인 Lupinus pilosus나 지중해 연안 원산의 재배역사가 무척 긴 Lupinus angustifolius를 지칭하게 된다. Lupinus angustifolius는 우리나라에 가는잎미선콩이라는 이름으로 등록되어 있다.
숙근루피너스
루피너스 필로서스
가는잎미선콩
이 초본은 many-leaved lupine이나 blue pod lupin이라는 이름 외에도 매우 다양하게 잎이 크다고 large-leaved lupine이나 big-leaved lupine으로 불리기도 하며 원산지에서 목초지에 많이 자란다고 meadow lupine으로 그리고 습지에서 잘 자란다고 bog lupine으로도 불리며 특히 정원에 많이 심는다고 garden lupin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학명의 종소명 polyphyllus가 many-leaved라는 뜻인데 large나 big-leaved라는 이름이 있는 이유는 이 꽃의 장상복엽을 구성하는 소엽이 여러 장이기도 하지만 그 사이즈도 크기 때문이다. 대개 어느 식물이던 일반명이 다양하면 그 이름들 속에 그 식물의 특성이 모두 들어 있게 된다. 푸른루피너스도 이미 그 다양한 이름에서 잎이 크고 많으며 꽃이 푸르며 습한 장소를 좋아하며 볕이 잘드는 넓은 초원에서 잘 자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루피너스가 400종이 넘는데 이 종을 garden lupin이라고 하는 이유는 Russell hybrids를 비롯하여 이 종으로 개발한 원예종들이 가장 인기가 높아 정원에 화초로 심는 루피너스 대부분이 바로 이 푸른루피너스 혈통이기 때문이다. 그외에 이 초본의 특징이 더 있다면 내한성이 매우 강하고 루피너스 종류 중에서는 가장 키가 크며 비옥한 토양이나 거름 주는 것을 싫어 한다는 점이다. 그리고 우리나라 남부지방과 같이 더운 지역에서는 여름에 말라 죽을 수도 있다는 점이다. 참고로 루피너스를 뜻하는 영어 스펠링은 lupin와 lupine을 구분없이 쓴다.
푸른루피너스
잎이 크고 여러 장이다.
푸른루피너스
열매가 푸르기보다는 은색 털로 덮인 녹색이다.
미국에는 카너 블루(Karner blue)라는 이름의 푸른색 나비종이 있다. 그 나비의 유일한 먹이가 바로 푸른꽃이 피는 또 다른 루피너스인 숙근루피너스이다. 이 숙근루피너스가 야생에서 이 푸른루피너스와 저절로 교잡이 쉽게 이루어지는데다가 푸른루피너스를 기본으로 한 원예종의 개발이 늘어나 이들 원예종들이 정원에서 이탈하여 자연으로 가서 숙근루피너스를 오염시켜 점차 개체수가 줄어들자 먹이가 줄어든 이 나비 또한 멸종 위기에 처하였다고 한다. 그래서 미국에서는 숙근루피너스 자생지 보존에 힘쓴다고 한다. 이는 그만큼 우리가 보는 아름다운 루피너스들은 거의 모두 원예종들이고 원종은 원산지에서도 보기 힘든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이 푸른루피너스는 러셀 교잡종을 비롯한 많은 교잡원예종들의 개발에 부모종으로 활용이 되어 Russell hybrids라고 하면 바로 이 종으로 인식하는 경우도 많다.
카너 블루 나비
숙근루피너스를 먹고 사는데 푸른루피너스 때문에 먹이가 오염되어 멸종위기에 처했다.
등록명 : 푸른루피너스
학 명 : Lupinus polyphyllus Lindl.
분 류 : 콩과 루피너스(미선콩)속 다년생 초본
원산지 : 미국
수 고 : 1.5m
잎특징 : 3~15cm의 소엽 5~17장이 모인 장상복엽
꽃차례 : 1~1.5cm의 청색 또는 자색의 다수 꽃이 60cm나 되는 긴 총상화서를 구성
내한성 : 영하 32도
한여름에 뿌리 부분이 너무 뜨겁지 않게 멀칭하는 것이 좋다.
푸른루피너스
원종은 꽃이 촘촘하지 않고 다소 성글다.
루피너스
영국의 러셀이라는 원예가가 푸른루피너스를 기반으로 하여 나무루피너스나 누트가루피너스 등과 교잡시켜 개발한 매우 아름다운 원예종들인데 우리는 이를 그냥 루피너스라고 한다. 이에 대하여는 다음에 다시 자세하게 알아 본다.
'콩과 > -게니스타족' 카테고리의 다른 글
892 가는잎미선콩 - 식용 루피너스 (0) | 2019.12.17 |
---|---|
891 숙근루피너스 (0) | 2019.12.15 |
889 나무루피너스 - Lupinus arboreus (0) | 2019.12.13 |
888 아담금사슬나무 - 금사슬나무에 자주양골담초를 접목한 키메라 (0) | 2019.12.12 |
887 워터러금사슬나무 '보시' - 내한성이 강한 매우 아름다운 원예품종 (0) | 2019.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