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콩과/콩아과

917 에리트리나 카프라 - 아프리카 원산, 겨울부터 봄까지 아름답게 꽃피는 수종

낙은재 2020. 1. 27. 17:46

에리트리나 카프라


에리트리나 카프라


에리트리나 카프라는 우리나라에 등록된 닭벼슬나무속 3개 종 중에 하나로서 남아프리카공화국의 동부 해안 이스턴케이프와 콰줄루나탈지역이 원산지이다. 학명 Erythrina caffra는 1800년 툰베리(1743~1828)가 명명한 것으로 종소명 caffra는 현재 이스턴 케이프의 옛지명인 Kaffraria에서 온 아랍어 kafir의 라틴어 표기이다. kafir는 Kaffraria에 사는 사람들을 뜻하지만 아랍어로 무신론자를 뜻하기도 한다. 이는 과거 그 지역 주민들이 모두 무신론자들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무신론자들이 사는 지역에서 발견한 산호수(coral tree) 즉 Erythrina라는 뜻으로 명명한 것이다. 현재 영어로는 coast coral tree 또는 African coral tree라고 일반적으로 부른다. 현재 이 학명은 포르투칼 선교사이자 식물학자인 João de Loureiro (1717 – 1791)가 1790년에 베트남에서 발견한 표본을 대상으로 명명한 Erythrina fusca Lour.와 동일성 논란이 있어 일부 학자들은 이 학명에 통합시키기도 한다. 그리고 꽃을 제외한 모든 부분이 같은 남아프리카 원산의 또 다른 종인 Erythrina lysistemon와 매우 흡사하여 구분하기 어렵다고도 한다.


잎이 다 떨어진 겨울부터 봄까지 가지 끝에 황적색 꽃이 약 80송이가 모여서 아름답게 피며 키가 12m까지 자라는 이 수종은 일찍이 유럽으로 건너가 다시 미국과 중국에까지 보급되었다. 미국에서는 온난한 서부 기후와 적합하여 가로수로 많이 심어져 있으며 이른 봄 잎이 나기도 전에 꽃을 피우는 모습이 너무 아름다워 많은 사랑을 받는다. 그래서 현재 미국 로스앤젤레스시의 시화로 지정되어 있다. 중국에서는 이를 홍콩이나 복건성 천주(泉州)시 등에 많이 식재하고 있는데 이를 남아프리카에서 왔다고 남비자동(南非刺桐)이라고 한다. 중국에서 비주(非洲)는 아비리가주(阿非利加洲)의 준말로 아프리카를 뜻한다. 남미 원산의 닭벼슬나무에 비하면 나무의 사이즈는 교목으로서 더 크고 꽃 색상은 오랜지색에 가깝고 잎이 더 넓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잎과 꽃이 동시에 초여름부터 가을까지 꽃이 피는 닭벼슬나무와는 달리 이 아프리카 원산의 카프라는 겨울에 앙상한 가지에서 꽃만 피워서 장관을 이룬다는 것이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최고의 봄꽃나무라는 찬사를 듣는다. 


등록명 : 에리트리나 카프라

과거명 : 카프라 닭벼슬나무

학  명 : Erythrina caffra Thunb.

분  류 : 콩과 닭벼슬나무속 낙엽 교목

원산지 : 남아프리카 동부 해안

영어명 : coast coral tree 또는 African coral tree

중국명 : 남비자동(南非刺桐)

수  고 : 12m (최대 20m)

줄  기 : 매끈한편, 가시

잎차례 : 3소엽 우상복엽, 8~16 x 8~18cm

꽃차례 : 총상화서 정생, 액생, 기판 대, 익판 소 또는 무, 용골판 소, 오랜지 레드색

열  매 : 협과 65mm

개화기 : 겨울~봄

내한성 : 영하 4도


에리트리나 카프라


에리트리나 카프라


에리트리나 카프라


에리트리나 카프라


에리트리나 카프라


에리트리나 카프라


에리트리나 카프라

수피가 닭벼슬나무와는 다르게 매끈하다.


에리트리나 카프라


에리트리나 카프라

꽃에 과즙이 많아 새들이 모인다. 조매화 겸 충매화이다.


에리트리나 카프라


에리트리나 카프라